View : 438 Download: 0

조선시대 민화를 중심으로 한 현대자수의 조형성 연구 : 까치 호랑이를 중심으로

Title
조선시대 민화를 중심으로 한 현대자수의 조형성 연구 : 까치 호랑이를 중심으로
Authors
정진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민화는 우리의 생활 양식과 민족 정서 저변에 깔려있는 미적 감정을 가시적으로 표현한 그림이며, 무명 화가들의 자유분방한 생활 미의 표현이다. 특히 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호랑이는 우리 고유의 심상과 감정을 순수한 조형요소로 표현한 상징성과 작가의 경험을 통한 사실적이고 현실적인 조형 개념으로 나타난 구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민화가 가지는 특성과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민화의 특성과 미의식은 우리의 주체성을 찾고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가치와 잠재력을 발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민족의 정서와 미적 감정에 기초한 까치 호랑이의 특성을 현대 자수 작품으로 표현하여 그 조형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민화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고찰해 보고, 둘째, 호랑이 그림에 대한 역사와 특징을 통해 까치 호랑이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며, 셋째, 한국 섬유 공예에서의 호랑이 표현과 현대 자수에 나타난 호랑이 표현 작품을 분류, 분석하여 현대 자수 작품 제작에 적용하였다. 작품 표현 방법으로는 민화에 나타난 호랑이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거나 또는 확대, 축소, 단순화하여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사실적 표현을 위하여 실크스크린과 전사프린트를 이용하였고, 텍스타일 염료와 아크릴 물감, 염료 등으로 색의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표현의 변화와 입체감을 주기 위해 천을 잇거나 부분 접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화면 위에 여러 피스(piece)들을 올려주어 보조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수 기법은 평수를 기본으로 하여 이것을 응용한 수를 사용하였다. 작품의 표현 재료로는 옥스포드천, 광목천을 염색하고, 견사, 면사, 합성 사, 은사, 금사 등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부분적인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우드락, 아트지 등의 재료를 이용하였다. 민화에 나타난 호랑이의 특성을 현대 자수의 다양한 표현 방법과 재료를 이용하여 자수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실의 굵기와 푼 사, 반푼 사, 꼰 사 등의 꼬임의 변화를 이용하여 다양한 호피(虎皮)질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실크스크린과 전사프린트를 일부 사용하여 자수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형태의 정교함, 뚜렷한 명암 처리와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었다. 셋째, 민에 나타난 실제 모습 그대로를 표현한 호랑이는 전통 자수 기법에 의해 표현하고 단순하게 그 특징만을 표현한 호랑이는 현대적인 감각에 맞는 자수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수의 전통 기법과 현대 기법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단위 형태를 이용한 접기 방법은 화면에서의 시각적인 변화와 입체감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설치 방법은 현대 자수의 표현 방법과 형식의 범위를 확장 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민화에 나타나 호랑이의 조형성과 미적 감정을 자수 기법을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현대 미술 안에서의 현대 자수가 가지는 창조적 방향을 모색하고 새로운 조형 예술의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Min-Wha is not only a picture that visually expresses esthetic passion of our way of life and national sentiment but a performance of liberal ideas by unknown artists. In particular, the tiger picture in Min-Wha during the Cho-Sun dynasty is symbolic of our native mental image and emotion, and it is manifested by pure formative factors ; moreover,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artist, it also represents a realistic formative conception. The property and esthetic sense of "Min-Wha help us to find dour identity and determine the tenor of our life, and ultimately, these will make us realize our potential and self-confid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formativeness of the modern embroidery through the characteristic impression of the tiger that is based on national sentiment and esthetic feeling.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researched the history and pattern of the tiger painting and formative property of the magpie-tiger in Min-Wha Furthermore, I classified and analyzed all descriptions about the tiger by an era and applied them to my performance of the modern embroidery. In the technical aspect, I revived the feature of the tiger exactly the same as it was in Min-Wha or reconstructed it by extending, reducing, and simplifying, and I was enable to achieve a realistic expression by using a silkscreen and transfer print. I tried to enhance the variety of colors, with acid dyestuffs, sirius dyestuffs, textile dyestuffs, and acrylic colors, and I also used linking and part-folding techniques to change expression and give a cubic effect on my work. In addition, I piled up many pieces on the canvas to get the embossed effect and then added various embroidery techniques for the final completion. Indeed, I used oxford cloth and white cotton cloth as a texture to emphasize its natural beauty and applied silk yarn, cotton yarn, synthetic yarn, silver yarn, and gold yarn. Sometimes, the wood rock and art paper were needed to stress the partial cubic effect. By using diverse properties of the modern embroidery and different materials,I could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the tiger in Min-Wha on my embroidery work, therefore,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 could express the touch of a tiger skin with the thickness of thread, untwisted silk thread, half-twisted silk thread, and twisted silk thread. Second, as I applied a silkscreen and transfer print to embroidery performance, I could accomplish the exquisiteness of the shape, clear light and shade, and a cubic effect. Third, I could achieved unific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embroidery technique because the actual feature of the tiger in Min-Wha this expressed by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 moreover simplified and characteristic feature was this described by the various modern techniques. Fourth, as I did piece work by taking every form as a unit and used the folding and attaching method, I could obtain visual modification, cubic effect, and new formative beauty. In other words, plane and emboss installation works with a unit format could extend the way of expression and range of a mode. Thus, as I have expressed the formativeness of the tiger in Min-Wha and esthetic feeling through embroidery technique, I hope that I groped for the creative direction of the embroidery in contemporary art and suggested the potential of new formative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