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3 Download: 0

물질 이미지와 상상력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Title
물질 이미지와 상상력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uthors
조정숙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의 미술은 삶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을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의 삶이 그만큼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미술의 다양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적인 토대 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가 자신의 개인적인 삶에 이러한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좀 더 풍요로와 지고, 또한 우리의 삶을 조건 짓는 외적 요인들에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우리는 미술의 조건에 있어서 가장 경이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 현대의 미술은 이제 끊임없이 자체 반성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철학적인 위치에 올라서게 되었다. 즉 어떤 종류의 작업을 할 것인지 작가 스스로 결정 하는 것이 허용된 반면에, 그것이 미술(예술)인지 아닌지를 스스로 규명해야 하는 과제가 함께 주어지게 된 것이다. 오늘날의 작가들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가 열려 있지만, 반면에 작업의 타당성을 인정 받아야 하는 또 다른 요구에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 자신의 이야기에 몰두하면서 동시에 자신을 객관화해야 하는 이중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이야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인의 작품은 자신의 개인적인 정서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과정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하여 바라보고, 또한 자신이 속해 있는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인의 작업 과정은 ‘자신에의 성찰’의 과정을 특징지어지며, 작품 속에 명상이나 묵상의 요소가 배어 나오게 됨은 당연한 귀결로 보여진다. 작업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나로 출발하는 세계의 이해가 아닌, 세계를 통해 나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과 다름 아닌 것이다. 관객에게도 작품의 감상을 통한 자신에의 성찰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해서, 명상을 유도하는 상상적 공간을 형성토록 노력하였다. 여기서 본인이 주목하게 된 것이 ‘물질 이미지와 상상력’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물질 이미지가 불러내는 상상력을 통해 각 개인(본인을 포함한 관객)의 미적 체험이 용이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누구나 흙이나 바람, 공기, 물, 빛, 등에 대한 정서적인 기억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보통, 오감을 통해 지각되기 때문에 보다 더 강력한 이미지들을 생성시킨다. 또한 이러한 물질들은 대부분 자연, 즉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기에 유용한 것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 이미지들은 본인의 작품에 있어서 주요 소재가 된다. 본 논문은 ‘물’과 관련된 이미지의 근작들을 대상으로 하여 쓰여졌다. 이 ‘물의 이미지’는 본인에게 가장 강력한 미적 체험을 제공해주는 원천으로서 늘 작용해왔으며, 본인의 성장 과정에 몇 개의 중요한 중심 축에 자리하고 있어서, 이러한 연구 과정은 보다 더 자신과 스스로의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었다.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물의 이미지는 주로 자신의 어린 시절을 지배하게 되는 연못의 이미지와 청소년기의 서해안의 특정지역의 바다의 이미지, 그리고 성장한 뒤에 다시 형성된 연못의 관념적인 이미지로 묶을 수 있으며, 이것들은 이러한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재료들로 재구성되고 형상화되어 새로운 의미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본인은 본 논문에서 작품의 배경, 사용된 주재료의 속성과 효과를 분석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이미지의 형상들을 재조명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작업 방향에 새로운 토대로 삼고자 하였다. ; Art today shows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our lives. Art accurately portrays how complex phases of our lives develop. It also denotes that we are now living upon the cultural foundation that can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art. If we can constructively accept such "plurality" in our lives, then they can be richer and we will be able to more flexibly cope with external factors that condition our lives. In fact, when it comes to art we art living in an amazing era. If artists today don t stop to self reflect philosophical then they will not fulfill their artistic ideals in the end. More specifically, artists are allowed to decide how they will express their ideals through art.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need to be able to explain why it is worthy to be called art. Contemporary artists are opened to unlimited possibilities in the world, but they ae still forced to earn recognition for their pertinence of their works. To me this means focusing my efforts in two ways: first, losing myself, and second, validating my work. Through such a process I aimed to objectively reflect myself in my work as well as help others to understand the world as I see it. Thus, my work process is characterized as a journey of "self reflection". For this reason it is not uncommon that elements of meditation or reverie are exhibited in my work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my inner world through my works is one that instead of causing me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myself, allows me to understand myself through the world. Through the appreciation of my works, I try to invite viewers to have an opportunity to indirectly experience what I have felt by allowing room for their imagination to work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make self-reflections of their lives. I concentrated on imagination and the images of matter throughout the works that I have done because I thought it would be easier for individuals(including viewers and I) to gain aesthetical experiences from them. All of us have emotional images and memories of earth, wind, air, water, and light etc. As these memories are perceived, in general, through the five senses, even more vivid images are a result. In general, these objects are useful to stimulate the imagery of nature, which is the foundation of existence for living organisms. Therefore, this kind of imagery became the main theme of my works. This dissertation is based on recent works related to the imagery of water. This imagery of water has been providing me with the main resource of my aesthetical experience. Hence, it has been the center of the growth of my learning, so that this process has contributed to heightened understanding of my works and myself. The images of water in my works have been a recurring theme throughout my life. I can categorize this according to my age: in my childhood I was affected mainly by the imagery of ponds, in my adolescence it was mainly the images of specific areas of the Yellow Sea. After I grew up the imagery of ponds was rekindled more conceptually so that the images of water in work became defined by the things I associated with in the past and became remolded into a new understanding of imagery of water. In this dissertation I tried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my works, the attributes of the main elements used in my works, and the effects produced when they are separate and combined. As a result, I intended to create a cornerstone for my future works by reinvestigating the shapes of new imagery of wa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