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2 Download: 0

감각 자극이 저체중아의 조기 성장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감각 자극이 저체중아의 조기 성장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자형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인간은 변화하는 환경과 상호 작용하며 적응하는 생리·정신·사회적 존재로서, 수정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인간은 이미 그 발달 과정 초기에 환경과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태어나며, 그 잠재력은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에 의해 촉진되어진다. 그러나 저체중아는 생물학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으며, 정상 신생아들과는 다른 보육기내의 특수한 환경에 처하게 된다. 그러므로 저체중아가 그의 취약 상태로부터 회복되고 환경과의 원만한 상호 작용을 통해 잘 적응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원활한 성장 발달을 꾀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지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각 자극이 저체중아의 성장 양상과 신경행동 및 감각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감각 자극을 포괄하는 간호 중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감각 자극이 저체중아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본 연구는 감각 자극이 저체중아의 체중 증감, 신경행동과 감각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1983년 7월부터 1984년 1월까지 이화대학부속병원 미숙아실에 입원한 저체중아 68명을 재태기간과 성(sex)이 두 군에 편중되지 않도록 차례로 번갈아가는 체계적(systematic) 방법에 의하여 각각 34예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게는 감각 자극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상례적 치료와 간호만을 실시하여 입원기간 중 체중증감과 퇴원시에 신경행동 사정(neuro-behavioral assessment), 청각 및 촉각 자극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문헌 고찰을 통한 신생아의 감각기관의 발달 수준을 기초로 하여 실험조사하고, 임상 전문가의 의견을 근거로 감각 자극의 기준을 설정하고 음향의 강도를 측정하여 선정된 장난감을 감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고 연구자와 보조자의 손으로 촉각 자극을 제공하였다. 또한 퇴원시 행동 평가는 J. Scanlon 등이 개발한 신생아 신경행동 사정(Neonatal Neurobehavioral Assessment) 도구를 사용하였고, 감각 반응은 청각과 촉각 자극에 대한 심박동수의 변화를 심전도로 측정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검정, X2 검정, 분산 분석과 최소 자승 평균치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각 자극의 효과 분석 제1가설 : e감각 자극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감각 자극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할 것이다u 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1일 체중 증가 P=0.1, 체중감소 이후 1일 체중 증가 P=0.03). 제2가설 : e감각 자극을 제공 받은 실험군이 감각 자극을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실생아 신경행동 사정의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u 또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각성 상태 P=0.01, Pinprick반응 P=0.04, 착석 견인력 P=0.001, 체간 긴장력 P=0.001, 청각 반응 P=0.001, Placing 반사 P=0.002). 제3가설 : e감각 자극을 제공 받은 실험군이 감각 자극을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극에 대한 반응이 높을 것이다.u도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심박동 변화 시기; 70dB P=0.02, 음악 P=0.04, 심박동 변화치; 40dB P=0.05, 70dB P=0.01) . 제4가설 : e저체중아의 제특성(재태기간, 출생시 체중, 아프가 점수, 성, 합병증)에 따라 성장 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u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체중감소; 재채기간 P=0.05, 젖병포유시기; 재태기간 P=0.0001, 출생시 체중 P=0.0001, 아프가 점수 P=0.3, 입원기간; 재태기간 P=0.0003, 출생시 체중 P= 0.0001). 이상과 같이 감각 자극을 제공 받은 실험군이 체중의 증가와 신경행동 및 감각 반응에 어느 정도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저체중아의 초기 성장에는 출생시 체중과 재태기간에 의한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의 성별 합병증 등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저체중아의 경우 그들이 감각결핍 상태에 있음을 고려하여 상례적인 간호에 감각 자극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다음에 제언을 하고저 한다. 1) 초기 자극 경험에 대한 계속적인 추후 검정이 필요하다. 2) 초기 자극 경험에 어머니를 포함시켜 모아 애착의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 Low Birth Weight infants are vulnerable because they are not fully prepared for life and separation from adeguate stimulation. The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effect of sensory stimulation on the Low Birth Weight infant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fant’s growth.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983 through January, 1984 at Ewha University Hospotal. The infants, consisting of 68 Low Birth Weight infants, were divided equally into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tools for sensory stimulation were a music box (40-70dB) and a color ball, which were selected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experimental study and expertise. The tool for measurement was the testing protocol for Neurobehavioral Assessment of the neonate which was developed by Scanlon et. al. and measured heart rate change by E.K.G. Hypotheses were examined by the t-test, X2-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1 :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gain more weight than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Hypothesis 2 :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ll show a higher score on the Neonatal Neurobehavioral Assessment was partially supported. Hypothesis 3 :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more sensitive to the stimula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Hypothesis 4 : That an infant’s characteristics will influence upon the growth was partially supported. This study shows that sensory stimulations are important to the Low Birth Weight infant’s growth, sensitivity and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nurse can foster growth and development of Low Birth Weight infants by providing appropriat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ation.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long-term value of early stimulation. Also, mothers should join in a nursing care program, including sensory stim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