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한국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Title
한국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Authors
김순이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모든 인간은 노인이 되어가면서 여러 가지 변화를 경험한다, 이러한 노화과정은 인간발달 단계의 자연스런 과정이다. 즉 노인들은 자신의 삶을 새롭게 계속적으로 창조 변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인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적 맥락 내에서 자신의 생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노인 나름대로의 고유한 건강행위를 하고 있다. 이러한 건강행위는 개개인이 인지한 된 지각의 장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건강행위의 구조를 발견하여 분석함으로서 노인 개인에게 내재된 건강행위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간호 실무에 적용하여 각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기간은 1994년 10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였으며 연구방법은 행위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의 장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건강행위의 현상을 객관화하기에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한국노인들의 건강행위의 자아 참조적 진술문을 모으기 위한 Q-모집단의 수집절차는 가정노인 2명, 양노원 노인 1명, 한의사 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행하였고, 가정노인 27명, 양노원 노인 10명, 한의사 10명, 한방간호사 10명 노인 가족 5명의 총 6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Q-모집단을 수집하였고, 노인건강과 관련된 서적, 일간신문을 통하여 건강행위와 관련된 Q-모집단을 완성하였다. 수집된 Q-모집단은 간호학교수, 방법론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38개 범주로 분류하였고 범주를 중심으로 38개의 Q-진술문이 확정되었으며 35명의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국문해독이 가능한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Q-분류를 통해 건강행위유형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는 Q-분류결과를 점수화한 후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노인의 건강행위의 주관성의 구조는 4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 1유형은 정서 유지형이다. 이는 우선적으로 마음의 상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노인으로서의 정체감을 가지고 노인다움을 나타내는 성숙과 발달을 이루기위해 노인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합하는 노력을 계속적으로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즉 마음을 열고 사는 것, 어울려사는 것, 베풀고 사는 것, 즐겁고 기쁘게 사는 것, 여유로움을 가지고 사는것에 초점을 두고 신앙생활, 자신의 죽음을 수용하여 준비하고, 즐거운 시기를 회상하면서 마음의 평안을 유지하여 건강을 도모하고자 한다. 제 2유형은 활동지향형이다. 이는 몸을 유지하기 위한 행위로서 자신의 신체적인 한계를 인식하고 신체변화를 수용하여 자신의 신체리듬을 조절하는 실존적인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즉 소화 잘되는 음식을 먹는 것,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 입맛대로 먹는 것,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 몸을 피로하지않게 유지하는 것, 몸을 청결히 하고 주변을 깨끗이 하는 것, 일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자신의 신체 변화에 맞추어 체력을 유지보호하고 있으며 몸의 기능을 유지하고자 한다. 제 3유형은 관계지향형으로서 이 유형에 속하는 노인들은 서로 베풀면서 이해하고 더불어 사는 것을 통해 자신의 존재의미를 확인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자식, 손자녀, 친구, 이웃들과의 관계망을 통해 자식이나 주위사람들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소외되는 삶이 아니라 화합하고 가까워지면서 마음과 몸의 지지를 받아 건강하게 사는데 삶의 초점을 두고 있다. 제 4유형은 심신의 일체가 조화를 이루도록 절제할 수 있는 심신 절제형으로 무엇에나 지나침이 없는 안정된 중도 지향적인 성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즉 순리대로 살면서 마음의 동요가 없고 너무 지나치지도 모자람도 없는 노인다운 몸과 마음을 유지하고 몸에 무리가 없는 운동을 하거나 자신의 분수에 맞게 일을 적절히 하여 건강을 유지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노인 개개인의 건강행위의 구조는 가각의 독특한 특성을 보이며 노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의 집합체인 건강행위라는 관점에서 볼 때 네개의 유형은 상호배타적이지 않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 한편 유형별 초점을 두는 차원이 존재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간호에 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연구와 간호이론에서, 노인 건강행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네개의 노인 건강행위는 서로 공존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나타날 수 있고 노인 건강행위는 서로가 공존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나타날 수 있고 노인 건강행위를 통하여 노인의 발달 지향적인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노인의 건강행위의 독특한 특성은 간호연구와 이론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간호실무와 교육에서, 기존의 노인에 대한 고정된 관념에서 벗어나 노인도 건강행위를 통해 건강한 삶을 살고자 하는 대상자로서 인식하게 하고 노인의 관점에서 노인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교육의 현장에서 노인 건강행위의 구조를 기초로 하여 노인건강과 관련되어 좀더 포괄적으로 교육하는데 기본적인 틀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노인이 가지고 있는 네개의 독특한 건강행위의 유형을 발견하였다는 사실과 네개의 건강행위 유형을 통하여 건강행위의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 설명함으로서 노인 건강행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노인 건강행위에 대한 간호학의 이론적 기틀을 구성하였다는 점이다. ; All human beings experience various change as they grow old. The aging process is a natural progression in the stages of human development. In other words, it is a creative and continuous self adjusting developmental process. This study was initiated to find the typolog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subjectivity of geriatric health behavior on the premise that elders are the ones who maintain their own unique health behavior in their ow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omote understanding towards the elderly and suggest the strategies to improve geriatric health by discovering the patterns of elderly health behavior and describe its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employed Q-methodology which is based on self-psychology and abductive logic.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1. collecton of concourse (Q-population): self-referent statements have been derived from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4 subjects (2 elderly domestic residents, 1 nursing home resident, 1 oriental medicine doctor), open-ended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62 subjects (27 domestic residents elderly, 10 nursing home residents, 10 oriental medicine doctors, 10 oriental medical nurses, 5 elderly families) and from topic-related literature reviews. Statements were categorized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semantics. Its credi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by a nursing professor and a methodology professor. 2. Selection of Q-sample: a total of 38 representative statements from the 38 categories were selected. 3. Selection of P-sample: 35 of the elders were selected by criteria of literacy, independence in daily life and over 60 years of age. 4. Q-sorting : based on a 9-point scale, the selected elderly were made to participate in Q-Soqting. 5. Data analysis method : analysis of Q-type was obtained by QUANL pc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behavior was analyzed on typal array, extreme comments, and the subject’s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revealed four different types of elder korean health behavior. The four types are named as follows: The first type, The Peaceful, consists of 15 subjects.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open to others, mingling with people, being helpful, enjoying life and being calm and at ease. They try to promote health by keeping a peaceful mind, reminscing on the happiest moments, accepting forth coming death and devoting themselves to religion. The second type, The Operational-Oriented, consists of 6 subjects. To maintain good health, they put emphasis on eating digestable and tasty food, balanced and scheduled meals, light exercise, refraining from being overtiring, keeping themselves clean, keeping their personal environment clean and working regularly. The third type, The Relationship-Oriented, consists of 6 subjects. This type is emphasizes having a close-knit relationship with their next of kin family members and neighbours. So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is type is not being isolated from others. The fourth type, The Abstinent, consists of 8 subjects. They like to be rational, tranquil and self-sufficient. They exercise and work properly.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Korean geriatric health behavior is very unique according to individual situations. Subjects have a tendency to cocurrent, coexistent, collective and developmental-oriented health behavior. Each individual shares a commonality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subjectivity but they are prone to independence. This study helps u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elders as individuals who want to live a healthy lifestyle through healthy behavior. We can help them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encouraging their health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