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주사방법 교육을 위한 코스웨어 개발 및 효과

Title
주사방법 교육을 위한 코스웨어 개발 및 효과
Authors
장희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다가오는 21세기 사회는 컴퓨터와 통신을 결합한 정보통신매체가 주도하는 이른바 정보사회로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교육도 스스로 문제해결을 위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별학습, 반복학습, 자율학습을 위한 학습전략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 변화해야 한다(허운나 1994), 왜냐하면 교육은 학습자가 스스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때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즉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학습내용도 학습자가 새로운 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수업방식은 개별학습, 반복학습이 어려우며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부족하고 교수-학습과정에서 지식이 실제 상황으로 전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교육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잇는 방안의 하나로 컴퓨터 보조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이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CAI가 효과적으로 학업성취를 높이고 학생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려면 우수한 코스웨어가 필수적이다. CAI의 성패는 실질적으로 코스웨어의 질에 딸려 있다고 할 수 있다(박성익, 1988: 나일주, 1990: 박명주, 1990: 강병재, 1995). 간호학에선 활용되는 코스웨어는 간호전문가의 지식패턴이나 인지적 구조에 근거하지 않은 상업적인 코스웨어가 대부분이었으나, 90년대 진입하면서 간호전문가들(Ward, 1990: Wahl, 1992: Dreher, 1992: Wood, 1992: Bash, 1992: Poston, 1993: 유지수, 1994)이 개발 및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아니라 CAI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이나 변인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이론, 교수설계이론, 화면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코스웨어가 부족한 실정이다(Dreher, 1992). 또한 CAI의 학습효과 측정에 있어서도 인지적 영역인 학업성취도만을 측정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유정경, 1992: 조웅식, 1992: 강지용, 1993: 구본학, 1993: 구혜원 1993: 염명숙, 1993: 이현옥, 1993: 권룡웅, 1994: 김근곤, 1994: 김영수, 1995: 문용길, 1995: 박문규, 1995: 유정아, 1995: 고인정, 1996: 김문희, 1996: 이경순, 1996). 특히 주사방법은 기본간호학에서 주력하는 부분이며 간호사에 의해 행해지는 기본간호 행위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Muller 198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간호학에서의 주사방법 교육을 위해 개별학습, 반복학습의 기회를 넓히고 현재의 간호실습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주사방법”코스웨어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학습이론인 Gagne & Briggs의 교수설계이론, Keller의 ARCS이론을 적용하고 교수설계 모형(Hannafin & Peck의 설계모형)을 적용한 “주사방법” 코스웨어를 1995년 3월부터 9월까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개발하였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주사방법”코스웨어를 학습할 학습자의 특성, 코스웨어가 사용될 환경, 개발시 제한 요인, 학습과제의 목적 및 학습목표, 선수지식 등을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주사방법” 학습의 목표에 따른 학습내용을 계열화 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우한 학습 전략으로 Gagne & Briggs의 9가지 수업사태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CAI를 설계하였으며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해 Keller의 동기유발 이론인 ARCS이론에 근거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메뉴 및 피이드백의 설계에 중점 두어, 즉 메뉴 설계에 있어 “주사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개념도에 근거한 설계를 시도하였다. 개발 및 수행의 단계에서는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였고 저작도구 GREAT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하였다. 평가 및 수정단계에서는 4명의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 보완하였다.이렇게 개발된 “주사방법” 코스웨어의 효과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심체적 영역에서 검증하였다. 연구설계는 CAI와 일반수업을 각각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와 비 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를 혼합하여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C전문대학 간호과 1학년 학습자 8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에 학업성적을 상·중·하로 구분한 다음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라 장의존적 학습자, 장독립적 학습자로 구분한 후 짝짓기를 통해 블록 설계하여 실험군은 43명, 통제군은 41명이었다. 자료수집 절차는 1995년 10월 2일부터 1995년 12월 14일까지 이루어졌다. 1995년 11월 22일 실험처치 이전에 두 집단에서 주사방법에 대한 절차 및 학습내용을 설명한 후 실험집단에서는 본 연구자가 참여한 가운데 CAI를 하도록 하였으며 통제집단에서는 본 연구자의 직접 강의를 통한 수업이 이루어졌다. 실험처치 이전에 두 집단에게 3주간 개념도 작성에 대한 연습과정이 있었으며 모든 대상자의 학습선호도 측정이 있었다. 사전검사로 “주사방법”에 대한 객관식 검사와 개념도 검사가 있었고 사후에는 동일한 객관식 검사, 개념도 검사, 학습동기측정이 있었다. 이외 CAI후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설문이 이루어졌다. 실험처치 이후 간호기술 수행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3주간의 기본간호학 실습시 근육주사, 피하주사, 피내주사의 간호기술 수행 정도 측정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실험전후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제작한 5지선다형의 30문항으로 구성된 객관식 검사가 이용되었으며 개념도 검사는 사전에 연습과정을 거쳐 백지에 학습자가 “주사방법”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개념도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학습동기는 5점 척도로 이루어진 Keller(1194)의 IMMS(Instruct ional Material Motivation Survey)로 측정되었으며 간호기술 수행정도는 정현숙(1987)의 4점척도로 이루어진 평가도구를 이용하였다. 학습선호도는 Fisher(1992)의 학습선호도(Learning Preference Inventory)로 측정되었다. 인지양식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코리안 테스팅 센터’의 ‘잠입도형검사’를 이용하였다. 이외 CAI후 대상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였으며 유의판정수준은 5%로 정하였다. 자료검증의 특성에 따라 실수, %, 평균, 표준편차, t-test, x²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MANOVA, ANCOVA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 동질성검증에서 두 집단은 객관식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t= -0.044 p>0.05), 개념도검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t=0.94 p>0.05), 동질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학습선호도의 각각 특성에 따른 x²검증결과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p>0.05).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인 “코스웨어를 이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낼 것이다” 에서 객관식 검사 점수를 t-test로 분석한 결과 객관식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t=2.90 p<0.05). 또한 개념도검사에서 repeated measures ANOVA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12.80 p<0.05). 가설1은 지지되어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 제2가설인 “코스웨어를 이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간호기술 수행정도를 나타낼 것이다”에서는 두 집단의 사후검사를 t-test한 결과 두 집단간의 차이는 근육주사영역(t=2.18 p<0.05), 피하주사영역(t=2.63 p<0.05)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피내주사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t=1.146, p>0,05)나타났다. 가설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는데 이는 피내주사 경우 매우 정교한 간호기술을 요할 뿐만아니라 반복적인 학습을 통한 연습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로써 간호기술 수행정도에 부분적으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3. 제3가설인 “코스웨어를 이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학습동기 정도를 나타낼 것이다”에서는 두 집단의 사후검사를 t-test한 결과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73 p<0.05). 가설3은 지지되어 간호학생의 학습동기를 크게 유발시켰음을 나타내었다. 4. 제4가설인 “인지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 간호기술 수행정도, 학습동기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서는 실험집단에서 장의존-장독립의 학습자에 따라 학업성취도(객관식검사: t= -0.48 p>0.05, 개념도 검사: t= -0.58 p>0.05), 간호기술수행정도(근육주사영역: t= -0.096 p>0.05, 피하주사영역: t= -0.057 p>0.05, 피내주사영역: t= -1.77 p>0.05), 학습동기정도(t= 0.67 p>0.05)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통제집단에서도 인지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객관식검사 t= -1.53 p>0.05, 개념도 검사 t= -0.40 p>0.05), 간호기술수행정도(근육주사영역: t= -1.27 p>0.05, 피하주사영역: t= -1.61 p>0.05, 피내주사영역: t= -0.63 p>0.05), 학습동기정도(t=0.33 p>0.05)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CAI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간호기술 수행에서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고,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학 교육에서 CAI를 통해 자율학습의 기회나 반복학습의 기회를 넓히고 간호학생의 개별학습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적극활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측면에서는 다양한 인지양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인지양식에 따른 CAI의 개발과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간호상황을 시뮬레이션하여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가상현실에 대한 코스웨어와 멀티미디어를 통한 코스웨어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효과 검증 연구도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아니라 CAI와 기존의 학습형태와의 효과 검증 연구에서 기존의 학습형태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효과 측정을 위해 신뢰도가 높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고 유의판정 수준을 1%로 엄격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 For the 21st century, the industrial society is expected to turn to an information society and we will become to need a new technology to solve the nursing educational problems effectively.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can be one of the methods that would solve the nursing educational problems, which are not individual, not repetitive and lack of goo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educators. However, poorly designed and commercial Courseware were counterproductive to nursing education. Billings(1985) states that the Courseware is the essence of CAI. There was rare research that related to instructional technology’s theoretical foundation: instructional theory, cognitive psychology, motivation theory and visual literacy and then illustrate the integration of these constructs in Courseware in nursing education. Furthermore, at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n Courseware, there was no reported nursing research on the relation of Bloom’s learning evaluation-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respectively.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y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theory and nursing expert’s knowledge construct in a Coursewar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ware in a injection by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instructional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Courseware, Gagne & Brigg’s instructional design theory, Keller’s ARCS theory and the CAI model of Hannafin & Peck were applied. The contributions of Gagne & Briggs theory to the theoretical base for this injection CAI include Gage’s nine events of instruction and this Courseware was applied by Keller’s ARCS theory attempted to synthesize what was known about motivation identifying four dimensions of motivation: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developmental levels of injection Courseware were divided into four phases: need assessment phase, design phas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phase and evaluation phase. During the need assessment phase, development team was composed and the subject matter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was identified. The activities during the design phase were identification of the instructional goal, analysis of the instructional content and learner characteristics, statement of performance objectives,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tems and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toryboard. The activities of the development phase were system analysis, programming by authoring tool-GREAT and documentation. Finally, during the evaluation phase, form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84 nursing college students in Pusan from Oct 1995 to Dec 1995. In this research,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learning achievement tool, concept mapping, Keller’s IMMS(Instructional Material Motivation Survey), Fisher’s Learning Preference Inventory, Group Embedded Figure Test and survey about response after CAI.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AI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ith the conventional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I group and conventional group on a posttest measuring cognitive domain(achievement t=2.90 p<0.05 concept mapping F=12.80 p<0.05).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I group and conventional group on a posttest measuring affective domain(motivation t=3.73 p<0.05). 3.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I group and conventional group on a posttest measuring psychomotor domain (intramuscular injection t=2.18 p<0.05, subcutaneous injection t=2.63 p<0.05, intradermal injection t=1.146 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spectly within CAI group and conventional group according to cognitive style. At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achievement t= -0.48 p>0.05 concept mapping t= -0.58 p>0.05), nursing performance skill (intramuscular injection t= -0.096 p>0.05, subcutaneous injection t= -0.057 p>0,05, intradermal injection t= -1.77 p>0,05) and learning motivation (t= 0.67 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AI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the inj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self-learning and repeated learning as assisted instruction Recommendation would be give that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eveloped in the Courseware by cognitive learning style and by multimedia Courseware and virtual reality system in the nursing education. And the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evaluated with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as well as CAI by learner. Finally the further study needs to be measured by the best reliable tool and to elevate up to significant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