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규연-
dc.creator임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8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1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12-
dc.description.abstract컴퓨터와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통신공학의 발달과 함께 교육체제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핵심은 바로 교사중심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학습으로의 전환이다. 즉,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관점을 형성해 나가고 이해를 구성해 가는 과정을 통해 능동적 학습, 실제적 학습, 상호작용적/협동적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능동적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도구로서 컴퓨터 매개 통신(Computer-mediated Cmmunication)을 꼽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컴퓨터 매개 통신의 대표적인 형태로서 인터넷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매개로 하여 서로의 의견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 각기 다른 구성원의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는 토론 활동이야말로 인터넷을 활용한 상호작용의 잇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인 동시에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간의 온라인 토론 활동을 면대면 수업상황과 병행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면대면 교수-학습현장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학습자간, 교수자-학습자간의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임을 감안할 때,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작용 활동은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매력적인 학습 전략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온라인 토론은 현재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교수전략이기는 하지만,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 및 온라인 토론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과정에 대한 이해는 부적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웹 기반 온라인 토론 활동과 관련된 학습자들의 참여도 및 성취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해 봄으로써, 온라인 토론 활동을 실시하는 중이거나 실시할 계획이 있는 교수자들에게 설계 및 운영과 관련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가 높은 학습자와 낯은 학습자가 각각 게시한 메시지의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에 대한 교수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관련 요인, 설계관련 요인, 환경관련 요인들 가운데, 학습자의 참여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2.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관련 요인, 설계관련 요인, 환경관련 요인, 참여도 가운데, 학습자의 성취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3.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관련 요인, 설계관련 요인, 환경관련 요인, 참여도 가운데, 학습자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4.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위도,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들간의 인과 관계는 어떠한가? 5.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 대한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 수준에 따라 토론 메시지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서 다루어진 학습자관련 변인으로는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태도, 쓰기에 대한 태도, 내적동기, 외적 동기, 사전지식이 포함되었으며, 설계관련 변인으로는 토론주제의 관련성(Reievance),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정도가 포함되었고, 환경관련 변인으로는 심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 지원이 포함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독립 변인은 학습자와 관련된 5개의 변인, 설계와 관련된 2개의 변인, 환경과 관련된 3개의 변인이었으며, 단 학습자의 성취도 및 만족도를 예측하는 연구문제 2,3번에서는 참여도가 독립변인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E대학교 4학년 8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약 한달간 진행되었으며, 이 가운데 7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의도적 표집을 총해 14명의 학습자를 표집하여 이들이 게시한 글을 내용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일주일에 1회 면대면 수업을 하였으며, 이와 병행하여 비동시적으로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이 이루어졌다. 원활한 토론의 진행을 위해 학습자들을 10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각 소집단은 8명에서 9명으로 무적위로 구성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한 변인들 가운데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진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수준에 따라 메시지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에 대한 학습자의 참여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외적 동기(Beta=.298, p<.01)와 쓰기에 대한 태도(Beta=.220, p<.05),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정도(Beta=.220, 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토론에 대한 학습자의 성취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참여도(Beta=.394, p<.001), 토론 주제에 대한 사전지식(Beta=.271, p<.01) 쓰기에 대한 태도(Beta=.203, 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토론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내적 동기(Beta=.320, p<.01), 토론주제의 관련성(Beta=.306, p<.01), 교수자와의 상호작용(Beta=.205, p<.05), 물리적 환경(Beta=.198, p<.05), 참여도(Beta=.189, p<.05)의 다섯가지로 나타났다. 넷째,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쓰기에 대한 태도, 외적동기,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성취도 및 만족도에 대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취도에 대해서는 쓰기에 대한 태도가 .087, 외적 동기가 .117,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은 .087의 간접 효과를 지니고 있었으며, 만족도에 대해서는 각각 .042, .056, .042의 간접 효과를 지니고 있었다. 다섯째,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를 기준으로 하여 의도적으로 표집한 14인의 학습자가 게시한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총 359개의 글을 게시하였으며, 이는 총 686개의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이 가운데 9.2%(63개)는 사회적 차원, 33.4%(229개)는 상호작용적 차원, 43.1%(296개)는 인지적 차원, 14.3%(98개)는 메타인지적 차원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를 직적으로 분석한 결과, 참여도 및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의 글에는 상호작용적 차원 및 메타인지적 차원의 의미단위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쓰기에 대한 태도는 참여도와 성취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밝혀졌을 뿐만 아니라, 경로분석 결과 성취도 및 만족도에는 간접 효과까지 나타남으로 인해 그 영향력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글을 쓰는 것에 대한 학습자의 지나친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수자는 문장력이나 문법, 철자법등과 같은 부분에 대한 잘못은 눈감아줄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워드 프로세서를 이용해 미리 글을 작성한 후 ‘토론방’에 게시하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다. 또한 토론을 시작할 때 학습자별 게시횟수의 범위를 명시해 주는 방법 역시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토론 주제에 대한 사전지식은 학습자의 성취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전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는 학습자가 최종적으로 높은 성취도를 획득하게 되는 것을 조절하고 좀더 발전적인 형태의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토론주제와 관련된 풍부한 학습 자료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토론을 위한 소집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미리 학습자의 사전지식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을 한 팀으로 묶어 줌으로써 서로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내적 동기는 만족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온라인 토론이 내적 동기가 높은 학습자, 즉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성향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습 전략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내적 동기 수준이 일반적으로 높은 학습자 집단, 예를 들어 대학원 이상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토론을 실시할 경우 좋은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교양 과목이나 필수 과목보다는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수강 신청한 교과목이나 전공 교과목에서 온라인 토론을 실시할 경우, 학습할 내용에 대해 학습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전제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촉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이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성적 및 외적 보상을 위해 학습하고자 하는 외적 동기가 높은 학습자들은 매우 높은 참여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동료 학습자 및 각 팀의 게시횟수 및 기여도를 손쉽게 알아볼 수 있는 기능을 활용한다거나 토론을 소집단으로 운영함으로써 집단간의 경쟁을 유발하는 방법을 통해 외적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확실한 방법은 온라인 토론의 학점 반영 비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교수자가 온라인 토론을 통해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 즉 단순한 상호작용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지, 혹은 심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정규 학습 활동을 운영하는 것인지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정도를 학점에 반영한다면 좀더 원활한 토론의 진행이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토론주제의 관련성은 학습자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곧 학습자들이 자신에게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주제, 자신의 목적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는 토론주제일 경우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온라인 토론을 실시할 때, 단순히 시사적인 내용을 주제로 하여 시험적으로 토론을 해본다던가 하는 것 보다는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나 지식을 다룰 수 있는 내용을 현실적 맥락을 반영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교수자의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이었으며, 간접적으로는 성취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토론이 진행되는 전 과정에 걸쳐서 적절한 방향의 제시 및 안내를 제공해야 하며, 학습자의 질문에 즉각적으로 피드백해야 한다.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토론을 운영하기 때문에 일대일로 상호작용하기가 어려울 경우에는 ‘공지사항’ 및 ‘Q&A 등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면 학습자들은 대리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되므로 토론의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일곱째, 환경과 관련된 변인은 만족도를 제외한 변인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이 컴퓨터에 익숙한 학습자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앞으로 컴퓨터가 보편화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물리적인 접근 환경이 개선될 경우, 일정 수준의 환경이 마련된 상황에서라면 결룰 학습을 주도하는 주체는 학습자이며, 이 때 중요한 요소는 학습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 및 교수자의 운영의 묘라는 점을 시사한다. 여덟째, 학습자들이 게시한 메시지를 내용 분석한 결과 참여도 및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의 경우 상호작용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의 의미단위를 많이 게시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로 하여금 토론에 참여할 때 단지 자신의 이야기만 하고 말 것이 아니라, 동료 학습자들의 의견을 충실히 읽고 이를 소화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토론이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고, 학습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동료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지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 ; The development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upon computers and the tele-communication have accelerated the paradigm shift in the educational system. The focus of the change is the shift from teacher-centered teaching to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e, authentic, interactive/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achieved by the process of meaning- making by learners themselves. Therefor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CMC), especially internet, which have made it possible to communicate actively among learners, are recognized as the useful educational tools that enable the discussion in the cyber space. As online discussion might further encourage reflection and dialogue through th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interaction, it is increasingly used as a supplementary activity to face-to-face instruction. In spite of the infinite potentiality of online discussion via internet, previous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discussion via the ITV or on the overall usage of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learner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earning process of the learner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messages posted on the discussion bulletin boar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proposed as follows: 1. Which factors may predict the number of messages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among learner-related factors, design-related factors, environment-related factors? 2. Which factors may predict the achievement of the learner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among learner-related factors, design-related factors, environment-related factors? 3. Which factors may predict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er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among learner-related actors, design-related factors, environment-related factors? 4. What i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predicting the number of messages, achievement, satisfaction of the learner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5.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more participative, achieved, satisfied learners and the less participative, achieved, satisfied learners in the content of the messages? For the research question 1, 2, 3, 4, literature reviews suggested ten factors: the attitude toward CMC, the attitude toward writing,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he previous knowledge on the subject(learner-related factors), the relevance of the discussion topic, the interaction with instructors(design-related factor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support(environment-related factors). These are us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and the number of message is also us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 concerning the research question 2, 3.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83 students enrolled in a course using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as a supplement to face-to-face instruction at university level. 77 questionnaire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question 1, 2, 3, 4. For the research question 5, the messages posted by 14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were analyzed by the framework by Henri(1992). The subjects met once a week for the class, and participated in the online discussion asynchronously. To proceed the discussion smoothly, 83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0 groups and had their own bulletin board.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number of messages were extrinsic motivation(Beta=.298, p<.01), attitude toward writing(Beta=.220, p<.05), interaction with instructors(Beta=.220, p<.05). Secon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achievement of learners were the number of messages(Beta=.394, p<.001), previous knowledge on the discussion topic(Beta=.271, p<.01), attitude toward writing(Beta=.203, p<.05). Thir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were intrinsic motivation(Beta=.320, p<.01), relevance of the discussion topic(Beta=.306, p<.01),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Beta=.205, p<.05), physical environment(Beta=.198, p<.05), the number of messages(Beta=.189, p<.05). Fourth, path analysis showed the indirect effect of extrinsic motivation, attitude toward writing,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to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Finally, content analysis of the 14 students’ messages showed that 686 units of meaning written by 14 students were consisted of 9.2% of social dimension, 33.4% of interactive dimension, 43.1% of cognitive dimension, 14.3% of metacognitive dimension. It also suggested that the messages by the more participative, achieved learners included the more interactive, metacognitive dimen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to practitioners utilizing the online discussion in higher education: alleviate anxieties on writing, assign students to the discussion group according to the previous knowledge on the topic, implement motivational strategies, assign grades for adequate portion, offer discussion topic which learners consider relevant to them, interact with learners actively, facilitate learners to interact with peer learn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8 D. 연구의 제한점 = 11 Ⅱ. 이론적 배경 = 12 A. 학습자 중심 교육환경과 테크놀로지 = 12 B. 웹 기반 학습 = 15 1. 웹 기반 학습의 개념 = 15 2. 웹 기반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 17 3.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웹 기반 학습 전략 = 23 C. 웹 기반 온라인 토론 = 26 1. 토론의 개념 및 특징 = 26 2.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의 개념 및 특징 = 27 3. 웹 기반 온라인 토론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 = 30 1) 학습자관련 요인 = 30 2) 설계관련 요인 = 34 3) 환경관련 요인 = 36 4)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 요인 = 39 D. 메시지 내용분석 = 42 1. 메시지 내용분석의 의의 = 42 2. Henri의 내용분석 모델 = 43 E. 관련 선행연구 = 49 Ⅲ. 연구방법 = 53 A. 연구설계 = 53 B. 연구대상 = 55 C. 연구도구 = 57 1. 온라인 토론 수업 = 57 2. 조사 도구 = 61 3. 사전지식 및 성취도 분석 도구 = 65 4. 참여도 분석 도구 = 67 5. 메시지 내용 분석 도구 = 67 D.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 69 1. 양적 연구의 절차 및 자료분석 방법 = 69 2. 질적 연구의 절차 및 자료분석 방법 = 72 Ⅳ. 연구 결과 = 73 A. 일반적 결과 = 73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73 2. 연구 변인의 평균 및 표준편차 = 76 3. 변인간 상관관계 = 81 B.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 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결과 = 84 1.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84 2.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86 3.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88 C.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에 대한 경로분석(Path Analysis) 결과 = 92 D. 학습자의 메시지 분석 결과 = 95 Ⅴ. 논의 = 110 A.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에 대한 논의 = 110 B. 메시지 내용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 118 Ⅵ. 결론 및 제언 = 121 참고문헌 = 129 부록 = 140 ABSTRACT = 1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433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