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7 Download: 0

학습자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의 수행행동 조사연구 : 가상대학 시범·실험기관을 중심으로

Title
학습자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의 수행행동 조사연구 : 가상대학 시범·실험기관을 중심으로
Authors
강지연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첨단 정보통신공학의 발달로 인한 정보화 사회의 도래는 사회 구조의 변화는 물론, 교육분야에도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안겨주고 있다. 특히 최근의 고등교육기관들은 상승하는 교육비, 대학의 자율화 추세, 변화하는 사회 전반의 요구, 증가하는 질 관리에 대한 요구, 다양한 학생집단의 등장이라는 위기에 직면하여, 변화를 모색할 수 밖에 없게 되었으며, 이러한 위기의 타개책으로서 대학이 선택한 수단이 가상대학이다. 현재 가상 대학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교육변화의 주체라 할 수 있는 교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가상수업의 최대 이점인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의 역할과 수행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대학 시범·실험 기관에서 가상수업을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교수가 수행하는 역할과 수행행동들의 요구되는 수준과 현재수준을 알아보고, 둘 사이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국내 가상수업에서 학습자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가시키 위해 교수가 수행해야 ?求? 역할과 역할에 수반되는 행동을 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상수업에서 교수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할과 수행행동들은 무엇인가? 2. 가상수업에서 교수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역할과 수행행동들의 수준은 어떠한가? 3. 가상수업에서 교수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수행행동들의 중요도와 현재수준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과 가상수업 운영 전반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각 역할과 관련행동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순위를 추출하였다. 이때, ASTD의 Competency 연구(McLagan & Suhadolnik, 1989)에서 문항의 중요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였던 기준을 적용하여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상위항목을 도출해냈다. 중요도 결정기준에 따르면, 4점척도에서 응답자의 50%이상이 3(매우 그렇다)에 체크하면 중요한 항목으로 선정한다. 셋째, 각 역할과 관련행동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요구되는 수준과 현재수준간의 차이가 큰 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Yang(1994)이 사용하였던 “실질적 유의성(practical significance)" 기준을 적용하였다. 실질적 유의성이 있으려면, 요구되는 수준과 현재수준간의 평균차가 1이 넘으면서 그 차이가 유의미해야 하고, 동시에 중요도 평균이 2이상이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수업에서 교수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할은 교수적 역할이었다. 그 다음으로 기술적 역할, 관리적 역할, 사회적 역할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기술적 역할로, 아직 가상수업을 도입한지 1년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기술적 역할에 대한 요구가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수행행동들의 중요도가 살펴보면, 총 49개의 행동 중 73.5%에 해당하는 36개 행동의 중요도 평균이 2.0이상으로 상당히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36개의 행동 중 응답자들의 50% 이상이 “매우 중요하다”인 3에 체크한 12개 행동들은 중요도 결정 수준((McLagan & Suhadolnik, 1989)에 따라 실제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12개 행동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학습목표를 명확히 밝힌다. 2. 그룹별 토론, 논쟁, 투표, 그룹과제, 일대일 메시지 교환 등 다양한 학습방법으로 참여를 독려한다. 3. 강의가 개시되기 전, 사전 준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한다. 4.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우수한 참여자를 칭찬한다. 5. 수업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소감을 요청한다. 6. 명료한 과제를 부여한다. 7. 토론 주제 및 기대사항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8. 기술적 문제에 대한 신속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9. 자신이 올린 글을 타인이 비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지않도록 개개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의견목록에서 삭제하지 않는다. 10. 학습자의 학습결과물에 대한 평가기준, 평가도구를 개발한다. 11. 학습자의 참여를 고무하기 위해 개별적인 전자메일을 활용한다. 12. 운영기간 중 온라인 시스템 이용과 관련된 질문에 답해줄 수 있는 기술지원 인력을 확보한다. 둘째, 가상수업에서 교수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현재 가장 잘 수행하고 있는 역할은 사회적 역할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관리적 역할, 교수적 역할, 기술적 역할 순으로 수행을 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행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총 49개의 행동 중 2.0 이상으로 상당히 잘 하고 있는 행동을 14개였다. 특히, 20개의 행동 중 응답자의 50%이상이 3(매우 그렇다)에 체크한 5개의 행동들은 중요도 결정기준(McLagan & Suhadolnik, 1989)에 따라 실제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순위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목표를 명확히 밝힌다. 2. 강의가 개시되기 전, 사전 준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한다. 3. 자신이 올린 글을 타인이 비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지 않도록 개개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의견 목록에서 삭제하지 않는다. 4. 권위주의적이지 않은 태도를 유지한다. 5.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우수한 참여자를 칭찬한다. 반면, 현재 수행수준이 낮았던 행동 5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학습자들과 의견을 나누도록 한다. 2. 유사한 관심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끼리의 토론방을 벗어난 사적인 대화의 기회를 제공한다. 3. 시스템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학습자용 매뉴얼을 개발한다. 4. 온라인 수업 개시 전에, 어떤 학습자가 기술적인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한다. 5.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는 주제들을 통합·정리함으로써 심도있는 토론을 유도한다. 셋째, 가상수업에서 교수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역할의 중요도와 현재수준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4개 역할 모두에서 중요도와 현재수준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중요도와 현재수준 사이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역할을 기술적 역할로, 교수의 현재 수행수준은 가장 낮고,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상수업의 초기단계에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기술적 지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과 수업환경의 문제해결은 교수 단돈으로 결정한 사항이라기 보다는 학교 전체의 정책과 지원과 관련있는 문제이므로, 교수가 이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더욱 많은 관심과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수행 행동들의 중요도와 현재 수준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밝혀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α = .05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밝혀진 행동은 전체 49개 행동의 75.5%에 해당하는 37개였다. 이들 행동들에 대해 응답자들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을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행동의 중요도와 현재수준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행동은 다음과 같다. 1.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학습자들과 의견을 나누도록 한다. 2. 그룹별 토론, 논쟁, 투표, 그룹과제, 일대일 메시지 교환 등 다양한 학습방법으로 참여를 독려한다. 3. 시스템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학습자용 매뉴얼을 개발한다. 4. 다른방향으로 진행되는 주제들을 통합·정리함으로써 심도있는 토론을 유도한다. 5. 온라인 수업 개시 전에, 어떤 학습자가 기술적인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한다. 6. 토론 주제에 대한 비판과 논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상반되는 관점을 제공한다. 7. 운영기간 중 온라인 시스템 이용과 관련된 질문에 답해줄 수 있는 기술지원 인력을 확보한다. 8. 토론을 이끌고, 중재하는 토론의 리더 역할을 학습자들이 수행해보도록 한다. 9. 소그룹 활동이나, 비공식적인 대화를 나누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10. 유사한 관심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끼리의 토론방을 벗어난 사적인 대화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상의 10개 행동은 중요도와 현재수준 사이의 차이가 큰 행동들이므로, 교수가 이러한 행동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전략과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차이가 있다고 밝혀진 37개의 행동 중 실질적 유의성(practical significance) 개념을 적용하였을 때, 실제로도 중요하고 앞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는 행동이라고 밝혀진 행동은 2개였다. 실질적 유의성이 있으려면, 중요도와 현재 수준 사이의 평균차가 1이 넘고, 그 차이가 유의미한 한 동시에, 중요도의 평균이 2.00 이상이어야 한다(Yang, 1994). 실제적 유의성이 있는 행동은 ‘그룹별 토론, 논쟁, 투표, 그룹과제, 일대일 메시지 교환 등 다양한 학습방법으로 참여를 독려한다’와 ‘시스템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학습자용 매뉴얼을 개발한다’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가상수업을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국가적 차원의 지원체제에는 가상대학의 구현을 위한 면대면 출석시간 및 학점이수에 의한 성적과 학위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는 법령, 규정의 개정과 가상수업을 위한 시설도입을 촉진할 수 있는 관련 규정의 개정, 복수의 교육 공급자들로부터 얻어지는 학습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관련 규정의 개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둘째, 기관/학교 차원에서의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지원체제에는 교수와 직원의 노력과 성과에 대한 격려 및 보상에 대한 약속, 가상대학 관련 행정적 정책 및 절차 개발, 수업에 필요한 자원 지원과 연수 프로그램 제공, 가상수업에 대한 대학 전체의 경험 공유, 풍부하고 안정적인 인프라 지원, 모범 사례의 개발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이익이 되는 대내외적인 파트너십개발, 가상수업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지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가상강의실에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접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지원체제는 필수적이며, 안정적인 교내 전산망에의 접근을 보장하는 동시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문의사항이 있을 때 즉각적으로 응답해줄 수 있는 기술지원 담당자가의 배치, 대학내에 가상수업 플랫폼이 있는 경우 사용법에 관한 워크?事犬? 매뉴얼의 개발·제공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와함께 하드웨어 구축, 학생 개인의 수업 환경의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마련 또한 요구된다. 셋째, 가상수업 교수자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제공이 요구된다. 연수 내용에는 공학관련 지식, 인식의 전환, 효율적 교수 실천을 위한 지식과 기술, 가상수업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기술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연수 프로그램 제공에 있어서는 일회적인 제공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자문과 감독 활동이 병행되어야 한다. 넷째, 가상수업에 대한 팀 접근법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자들의 역할과 업무 영역을 규명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가상대학의 성장을 위해서는 개별 교수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교수 설계자, 그래픽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이 필요해짐에 따라 이들의 서로 긴밀히 협조하는 팀워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것이다. 그러므로, 관련자들의 역할 및 수행행동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다섯째, 가상수업은 교수에게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구하므로, 지원 조교진을 양성하여 교수의 업무를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상수업에서 조교의 역할과 업무 영역, 자격 요건 등을 규명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여섯째, 교수가 가상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가상수업에 대한 교수의 기대와 관심이 높은 반면, 과연 어떠한 방법으로 수업을 운영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몰라 망설이지 않도록 학교 차원에서 교과목의 특성 및 교수, 학생의 요구에 맞는 방법론에 관련된 연수와 자문을 제공하고, 이를 위해 지속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방법론을 연구해 나가야 한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는 교수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수의 역할과 행동을 규명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보는 효과적인 교수의 역할과 교수 행동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 The advances of information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bring a structural changes in educational system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offers education field uniqu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Especially Korean Universities faces to crisis such as increasing educational cost, appearance on various students, changing society needs, and they make a choice changes. Therefore Korean Universities are interested in adapting and introducing into their lecture room of online education. Instructors should be equipped with new roles and behaviors so they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new learning situation. During the time there are needs for research in aspects of hardware, software, faculty members to accomplis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online education system.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part of instructor development in online education, especially what should do instructor in onlin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structor’s roles and behaviors encourag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list of roles and behaviors for instructors in online education through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opinions of Korean Instructors that have a experience of implementing a online course. Th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nd certifi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and as a checklist of evaluating by themselv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several questions. 1. What roles and behaviors are perceived to be important by online instructors to encourag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2. What level of each roles and behaviors is currently performing by online instructors to encourag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3. What are the gap between important level and current level in roles and behaviors of online instructors for encourag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venty-four instructor currently working in cyber universities in Korea. Response rate was 51.0%(74 survey forms have used). For examining the three questions mentioned: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for ranking important and current level of performing roles and behaviors of online instructors for encourag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were used. Second, the significance of the gap between important and current level was analyzed with paired t-test. The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echnical role i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role with following pedagogical role, managerial role. Twelve behaviors for performing roles are founded to be highly important, in rank order, were: (1) Have clear objectives, (2) Encourage partition, (3) Sufficient time and effort for preparation before starting course, (4) Praise and model the discussant behavior your seek, (5) Request comments on meta-comminications, (6) Use simple assignments, (7) Succinctly and clealy state the conference topic, (8) Provide immediately feedback, (9) Guard against fear in your course, (1) Developing new methods and criterion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Second, current role performing most high level is social role following managerial role, pedagogical role in rank order but technical role is performing most low level. Instructors are currently well performing as following rank order: (1) Have clear objectives, (2) Use simple assignments, (3) Sufficient time and effort for preparation before starting course, (4) Guard against fear in your course, (5) Maintain a non-authoritarian style, (6) Run a class process with flexibility, (7) Praise and model the discussant behavior your seek, (8) Be objective on tone and content, (9) Urge participants to join in the discussion, to initiate debates, and to solicit suggestions, (1) Succinctly and clealy state the conference topic.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t and current level of instructor’s roles at p<.001. Paired t-test results shows that that is the largest gap between important and current level on the technical role be companied by behaviors such as using face-to-face tutorials sessions for novice online participants, having technical support people available to answer e-mailed of telephoned inquiries, and knowing who is available for technical support that is needed beyond his/her skills level. 37 behavior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t level and current level under α =.05. Ordered by size of differences between important and current level two behaviors were founded out having practical significance. Two behaviors are “using of various learning options can stimulate learne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such as small group discussion, debates, polling activities, dyadic learning partnership exchanges” and “using technical support”. According to Yang(1994)’s practical significances, when importance is moderately important and important level subtract current level is 1 over and differences is significant. Top ten behaviors, having largest gap, for instructors in online education are defined as following: (1) Invite visiting experts, (2) Encourage participation, (3) Develop a study guide, (4) Weave several strands of conversation into a summarization that may prompt people to pursue the topic further, (5) Know who is available for technical support that is needed beyond his/her skills level, (6) Present conflicting opinions, (7) Have technical support people available to answer e-mailed or telephoned inquiries, (8) Let make students perform leader of the discussion, (9) Facilitate interactivity by using special introductory techniques, dyadic partnering that facilitated informal discussion among learners, (1) Promote private conversations. These ten behaviors is considered important, maintaining suppor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technical support system should build for supporting instructor’s performing roles and behaviors. This technical support system is most important for students as well as instructor. Safe access to local access networking is key components for success of online education. In addition to technical support staff should be available for instructor and students and be provided training for improving instructor’s capability. Second, according to increasing teamwork among people related online education, these people related online education should be studied on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Third, assistant who can help instructor is required, especially his/her certification should be reinforced and trained. Fourth, information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Instructional tactics that are suitable to course characteristics, instructor and students’s need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Fifth, following studies should be focused on instructor’s role, therefore instructor’s competencies in part of students should be research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