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인터넷을 활용한 생물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인터넷을 활용한 생물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최하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today s information society, people s demands on the education are getting varied. However it s impossible to satisfy everyone s need under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environment. Therefore, it becomes more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self-regulated ability to control the information process which includes abilities to find, collect, and utilize some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the internet, the treasure house of the information. Recently, most schools and companies try to use internet for learning and teaching, but they still follow old methods only with the new platform named internet. Accordingly, for more effective learning,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internet learning model with several design strategies which are for promoting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basic resource to help develop the design strategi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ddressed: 1.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self-efficacy for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2-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and the writing test result ? 2-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earching test result? 3.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self-efficacy for interne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3-1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the writing test result ? 3-2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the searching test result ? 4. Do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self-efficacy for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4-1 Do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 the writing test result? 4-2 Do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 the searching test result? For examining the four questions mentioned, firs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and low science achievement groups at the median score and then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students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if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Nex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ree kinds of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igh and low at the median score and then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if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inally,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which predi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among students prior science achievement, three kinds of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igh science achiev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in all kinds of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o the contrary, low science achiev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 in all kinds of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econd, High science achiev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To the contrary, low science achiev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The academic achievement includes both writing test score and searching test score. Third, Both high self-efficacy and high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but at this time the effect of the prior science achievement was not controlled. The academic achievement includes both writing test score and searching test sc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ffect of the prior science achievement was controlle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Fourth, Whe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enter method, the prior science achievement was the only variable that explai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However, when the sequenti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prior science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explain the writing test score, on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And the prior science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for internet(especially the test result after mock internet cla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explain the searching test score, on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In the end, when the sequenti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out the prior science achieve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explain the writing test score, and self-efficacy for internet(especially the test result after mock internet cla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explain the searching test score, In this research, although all kinds of student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correlated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prior science achievement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which directly influenc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rather tha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owever student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directly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biology class utilizing internet, by mediating the learning process. Therefore we need to get some design strategies involved in the internet learning model, which can get students motivat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e and continuous self-efficacy. In addition, as the result from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know the fact that girls use more cognitive strategy, on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an boys. Thus when designing internet class, we also have to consider this difference and promote boys strategy use needed for internet learning. The suggestions of these four findings and several implement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examine the students motivation like satisfaction and confidence after the class utilizing internet takes place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e level. Second, it is needed to examine whether teachers self-efficacy, test anxiety, intrinsic value, and other motivation factors influence the achievement for the class utilizing internet or not. Third, it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erformance in the more structured internet learning environment which includes various multimedia elements. ; 오늘날과 같은 정보사회에서는 사회구성원의 교육에 대한 요구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현재의 교육체제나 환경으로는 이들 모두의 교육요구를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보의 보고인 인터넷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스스로 탐색, 수집하고, 이를 가공해서 활용하는 학습자의 자율적인 정보처리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대부분의 학교와 기업체에서는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들의 대부분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에서 기존의 학습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인터넷 학습을 위해서는 인터넷에 적합한 학습모형이 필요하며, 이러한 인터넷 학습모형에는 학습자 주도의 인터넷학습환경에 필요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설계전략들을 포함시켜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이 인터넷을 활용한 중학교 생물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인터넷 학습환경에 적합한 자율학습 설계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는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학구적 자기효능감, 인터넷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과 관계가 있는가? 2.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는 인터넷을 활용한 생물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와 관계가 있는가? 2-1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는 필기시험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2-2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는 검색시험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3.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학구적 자기효능감, 인터넷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인터넷을 활용한 생물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와 관계가 있는가? 3-1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은 필기시험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3-2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은 검색시험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4.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학구적 자기효능감, 인터넷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인터넷을 활용한 생물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4-1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은 필기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4-2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은 검색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 수준을 상(上), 하(下)로 나누었으며, 이를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에 대한 검사 결과 및 인터넷활용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 결과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유의미한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수준을 각각 상(上), 하(下)로 나누어 인터넷활용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중 인터넷활용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 수준을 상(上), 하(下)로 나누어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학구적 자기효능감, 인터넷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모두 사전 과학성취도가 높은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 수준을 상(上), 하(下)로 나누어 인터넷활용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사전 과학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필기시험과 검색시험 결과에서 모두 현저하게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수준을 상(上), 하(下)로 나누어 인터넷활용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사전 과학성취도의 영향을 통제하기 전에는 대체로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나,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는 이러한 차이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인터넷을 활용한 생물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이 모두 한꺼번에 투입되었을 때에는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만이 필기시험과 검색시험 결과를 설명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요인을 단계별로 투입했을 때에는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은 필기시험을 설명하는 요인이고,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인터넷 모의수업 이후 측정한 인터넷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검색시험을 설명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요인들만을 투입했을 때에는 학구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필기시험을 설명하는 변인이고, 인터넷 모의수업 이후에 측정한 인터넷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은 검색시험을 설명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여러 가지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인터넷활용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가 학업성취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기효능감이나 자기조절학습전략은 학습과정에서 촉매역할을 하고, 실제 수행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학습자의 원래 과학성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인터넷 수업모형에는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인터넷 수업에 필요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훈련시키고 지속적으로 자신감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을 설계전략으로 포함시켜야만 한다. 이 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인지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은 Zimmerman과 Martinez-Pons(1990), 그리고 Pokay와 Blumenfeld(1990)의 연구에서 이미 밝혀진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 여학생이 필기시험에서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은 사실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터넷 수업을 설계할 때에는 이러한 남녀차이도 고려하여 남학생의 인지전략 사용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설계전략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앞서 제시한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인터넷 수업 직후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만족감이나 자신감과 같은 동기적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이미 신민희(1996)의 연구에서 행해진 적이 있으나 그다지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인터넷 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를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러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전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학구적 자기효능감 및 인터넷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인터넷활용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나, 이 밖에도 교사의 자기효능감이나 학생들의 시험에 대한 불안감, 내적 가치 등 다른 동기적 요소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인터넷학습자료를 수업에 이용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와 하이퍼미디어의 기능을 포함한 좀 더 구조화된 인터넷학습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수행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