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이 유아의 놀이행동 및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이 유아의 놀이행동 및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엄정애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이 유아의 놀이 해동 및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즉,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을 경험한 집단과 전통적인 소꿉놀이 위주의 극놀이 영역만을 경험한 집단간 유아들의 놀이행동과 상호주관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현장의 교사들에게 극놀이 영역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Ⅰ.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1. 유아의 인지적놀이행동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사회적 놀이행동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비놀이 행동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4. 인지적놀이 행동, 사회적 놀이 행동, 비 놀이 행동에서 나타나는 집단간 차이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다를 것인가? Ⅱ.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이 유아의 상호주관성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유아의 사회적 놀이 구조(에피소드의 수, 차례(turn)의 수, 행동(act)의 수) 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협상행동 유형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E유치원 5세아 남녀 12명씩 총 24명이었다. 연구자는 시험집단 12명의 유아를 세 개 소집단으로 나누어, 주 5회 20분씩 5주동안 교실내에서 진행중인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에 참여하게 하였다. 연구절차는 유아의 놀이 행동 및 상호주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5주간의 처치, 그리고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 사후검사에서 유아들의 놀이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Rubin과 Mills의 가상 놀이 관찰 척도를 수정한 것이고, 상호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Goncu의 상호주관성 측정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인 통제를 위해 교정 평균값을 구하고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ANCOVA와 MANCOV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을 경험한 집단과 전통적인 소꿉놀이 위주의 극놀이 영역만을 경험한 집단간 유아들의 인지적 놀이 행동, 사회적 놀이 행동, 비놀이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다.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을 경험한 유아들은 극놀이와 집단놀이에 많이 참여했고 비놀이 행동이 감소한 반면, 전통적인 소꿉놀이 위주의 극놀이 영역만을 경험한 유아들은 구성놀이와 혼자놀이에 많이 참여했고 더불어 비놀이 행동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남아들의 경우에 더 명확하게 나타났다. 둘째,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을 경험한 집단과 소꿉놀이위주의 극놀이 영역만을 경험한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 구조와 놀이의 협상행동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을 경험한 유아들이 전통적인 소꿉놀이 위주의 극놀이 영역만을 경험한 유아들 보다 사회적 놀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차례와 행동의 수를 더 많이 보여주었다. 놀이의 협상행동 유형은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이 전통적인 소꿉놀이 위주의 극놀이 영역만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 보다 확장과 구축행동을 더 많이 보여준 반면, 전통적인 소꿉놀이 위주의 극놀이 영역만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은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 보다 소개, 거부, 강조, 관계없는 행동을 더 많이 보여 주었다. 즉, 실험집단 유아들은 교실내에서 진행중인 주제와 통합된 극놀이 영역에 참여해 봄으로서 상호주관성이 증진되어 졌다고 볼 수 있다. ; The effect of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on Children s Play Behavior and Intersubjectivity / Ohm, Jeong-a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children’s play behavior and intersubjectivity. To meet the above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Ⅰ. What is the effect of the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on children’s play behavior?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children’s cognitive play behavior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children’s social play behavior in comparison with group?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children’s nonplay behavior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4. Do the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vary according to sex? Ⅱ. What is the effect of the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on children’s intersubjectivity?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structure of social play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negotiation of play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private E kindergarten in Seoul, chos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 neighbourhood of upper-middle class. Twenty four children (12 boys and 12 gir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one of the E kindergarten classes. Twelve experimental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novel dramatic play center connected with theme during five week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ere pre-test, play participation in novel dramatic play center connected with theme as treatment, and post-test.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children’s play behavior and intersubjectivity were videotape recorded. The children’s play were transcribed from the videotapes, and classified by two trained ra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adjusted means and ANOCVA / MANCOVA for statistical contr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facilitate high leveled play behavior. The theme-relevant dramatic and group play behavior.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housekeeping center significantly raised the control subject’s constructive play, solitary play and nonplay. The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group varied according to sex. 2. The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facilitate children’s intersubjectivity. The theme-relevant dramatic play center significantly raised the experimental subjects’turns and acts constituted the structure of social play and negotiation acts of extension and building-on to compare the control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