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아-
dc.creator김영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1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평가를 통해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고 지역, 기관유형, 원장의 자격 유·무, 교사학력 및 경력에 따른 질적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상태 및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1-1.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1-2.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영역 및 하위영역별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질적 수준과 영역 및 하위영역별 질적 수준은 변인에 따라 어떠한가? 2-1. 지역에 따른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2-2. 기관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2-3. 원장의 자격 유·무에 따른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2-4. 교사의 학력에 따른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2-5.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191개 공·사립 유치원의 한 학습씩, 총 191학급을 대상으로 1999년 3-4월에 걸쳐서 질문지를 통해 교사가 자신이 계획하고 운영하는 교육현장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조사하였다.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질문지는 이은해, 이기숙(1996)이 제작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기본형으로 총 10개영역, 16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 방법은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총점 및 각 영역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점수와 전체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빈도를 산출하였다. 변인 중 지역, 교사 학력 및 경력 변인에 따른 질적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검증결과 차이를 보인 영역에 대해서는 어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기관유형, 원장의 자격 유·무 변인에 따른 질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질적 수준은 교사의 자기 평가결과 평균 436.14점(86.02%)으로 ‘부분적으로 우수한 운영’으로 나타났다. 전체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빈도 분포를 보면 191개 프로그램 중 ‘우수한 운영’은 34.7% ‘부분적으로 우수한 운영’은 41.2%, ‘최소한의 기준이 통과된 운영’은 18.1%, ‘개선이 필요한 부적합한 운영’은 2%로 나타냈다. 영역 및 하위영역별 질적 수준을 보면 영역별 질적 수준은 교직원(79.05%)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9개 영역 모두 ‘부분적으로 우수한 운영’을 보였으며 상호작용 영역(89.92%)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질적 수준을 보였다. 하위영역별 질적 수준도 큰 차이없이 ‘부분적으로 우수한 운영’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우수한 운영’을 보인 것은 사회(93%), 활동실의 공간 구성 및 배치(92.2%), 안전관리(91.14%)이며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인 것은 실외활동 기구의 다양성(80.73%)이다. 둘째, 교사의 자기 평가결과 변인에 따른 질적 수준은 지역, 기관의 유형, 원장의 자격 유·무, 교사의 학력에 있어서 전체적인 질적 수준과 영역별 질적 수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에 있어서는 대도시가 중·소도시나 읍·면지역 보다, 기관유형에 있어서는 사립이 공립보다, 원장의 자격 유·무에 있어서는 자격원장이 무자격원장 보다, 그리고 교사학력에 있어서는 대학원졸이 대학졸과 전문대졸보다 질적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quality levels of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the variable(region, types of center, a qualification of director, a career and grade of the teacher) related to the quality. By doing this, the research had intended to assess the present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suggest way of improving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1. How is the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1-1. How is the overall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1-2. How is the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on each 10 areas and sub-areas? 2. How is the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according to region, types of center, a qualification of director, a career and grade of the teacher ? In order t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e self-evaluation on the quality of the early childhood programs was performed by the teachers of 191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in seoul, Kyung-k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elf-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s was the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by Unhai Rhee and Kisook Lee(1996).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quality and assessment factors, the relational point was higher than .60 in all the factors, so it could be said that all the factor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The point was especially high in “play materials and equipments”, “nutrition, health, safety” factor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quality and sub-factors was also close especially in “health life”, “health and illness education”. In order to analysis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mates pair T-test, scheffe test, correlation. SPSS program was appli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The final finding from this analysis on the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As a result of teacher’s self-evaluation, mean was 436.14. The overall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was ‘partially well-managed’. Among 191 programs, well-managed programs was 34.7%, partially well-managed programs was 41.2%, minimum standards of management was 18.1% and inappropriate management was 2%. The quality of each of 10 areas in the study was also “partially well-managed”. Among 10 areas in the study “interaction”, “daily lesson plan”, “nutrition, health, safety” areas was best managed in most center in terms of quality. However the quality in staff and personnel area was the lowest of all areas. Among the sub-areas “social life”, “organization and placement of indoor play space” and “safety management” was “very well-managed” and last of sub-areas was partially well-managed. 2. The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according to region, type of center, a qualification of director, a grade of the teacher was different. There was o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in accordance with a teacher’s career. Programs in big city exhibited higher quality than in small city and the country and private center exhibited higher quality than public center. Qualified director exhibited higher quality than unqualified director and a grade of the teach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quality of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요인 = 6 B.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 평가 = 17 C. 선행연구 = 26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대상 = 34 B. 연구도구 = 36 C. 연구절차 = 42 D. 자료분석 = 4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4 A.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44 1.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질적 수준 = 44 2. 영역 및 하위영역별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45 B. 지역, 기관유형, 원장 및 교사 변인에 따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48 1. 지역에 따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48 2. 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53 3. 원장의 자격 유 무에 따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57 4. 교사 학력에 따른 질적 수준 = 60 5. 교사 경력에 따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66 Ⅴ. 논의 및 결론 = 68 A. 논의 = 68 B. 결론 및 제언 = 75 참고문헌 = 79 부록 = 86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872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수준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