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결핍 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결핍 평가에 관한 연구
Authors
박형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간호의 대상자인 인간은 생물, 심리, 사회, 발달적 존재로서 독특한 통합된 총체성을 지니며, 생명의 유지, 성장발육, 활동, 질병으로부터의 회복 등 사람의 중요한 현상은 모두 영양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런데 어떤 원인에 의해 적절한 영양상태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 영양결핍이 문제시되고 있다. 심한 질병상태의 환자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에는 경정맥법과 경장방법이 있으나, 대상자의 위장간의 기능이 정상인 경우는 경정맥보다 경장영양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중환자실의 신경외과 경장영양환자들은 중증의 질병자체의 경과와 또한 의식수준의 저하 및 부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영양결핍이 문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외과 경장영양 환자들의 영양상태를 계측하여 영양결핍환자의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영양섭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임상연구는 1989년 5월 15일부터 1989년 9월 15일까지 부산시내 3개 종합병원의 신경외과 및 일반외과 중환자실에서 르빈관으로 영양공급을 받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법과 생화학적 검사소견 측정법에 의한 영양결핍평가를 경장영양공급 전, 영양공급 1주후, 영양공급 2주후에 시행하여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결핍상태를 파악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영양결핍 평가도구는 삼두박근 두께와 중상박부 둘레를 측정하여 상박근육 둘레를 추정하는 신체계측법과 알부민, 트란스페린, T-임파구수, 크레아티닌 신장지수를 측정하는 생화학적 검사소견 측정 방법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경장영양 환자의 신체적 계측, 생화학적 평가는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영양공급기간별 신체계측과 생화학적 평가 방법은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으며, 영양액종류, 수동운동유무에 따른 영양공급기간별 생화학적 평가방법은 이원변량 분석과 공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양결핍상태와 합병증발생 유무에 대해서는 χ²-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장영양환자의 영양결핍상태를 상박근육 둘레로 평가한 결과 영양공급 전에는 남자 영양결핍 환자군이 58.14%, 여자 영양결핍 환자군이 64.71%로 나타났으며, 영양공급 1주후에는 남자 영양결핍 환자군이 52.81%, 여자 영양결핍 환자군이 64.71%였으며, 영양공급 2주후에는 남자 영양결핍 환자군이 55.81%, 여자 영양결핍 환자군이 64.71%로 확인되었다. 2) 경장영양환자의 영양결핍상태를 생화학적 검사치로 평가한 결과 알부민치의 영양공급 전 영양결핍 환자군이 71.6%, 영양공급 1주후에는 88.3%, 영양공급 2주후에는 76.6%였으며, 트란스페린치의 영양공급 전의 영양결핍 환자군은 86.7%, 영양공급 1주후는 95.0%, 영양공급 2주후에는 80.0%로 나타났다. T-임파구수의 영양공급 전 영양결핍 환자군은 75.0%, 영양공급 1주후는 91.7%, 영양공급 2주후는 73.3%로 나타났다. 이로서 알부민치는 영양공급 1주후(2.98±0.47g/dl), 영양공급 2주후(3.19±0.49g/dl), 영양공급 전(3.30±0.518g/dl)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423, P<0.01). 트란스페린치는 영양공급 1주후(161.33±27.73mg/dl), 영양공급 2주후(171.68±34.32mg/dl), 영양공급 전(176.22±26.36mg/dl)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3.959, P<0.05), 영양공급 1주후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3) 영양액 종류별로 본 영양공급기간에 따른 영양결핍상태를 평가한 결과 알부민치, 트란스페린치가 증가되어 혼합식과 성분영양제로 공급한 환자군의 영양상태가 개선되었다. 4) 수동운동유무별로 본 영양공급기간에 따른 영양결핍상태를 평가한 결과 알부민치, 트란스페린치가 증가되어 수동운동을 제공받은 환자군의 영양상태가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5) 영양상태에 따른 합병증발생유무를 분석한 결과 영양결핍 환자군이 정상 환자군보다 트란스페린치, T-임파구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내장단백의 고갈이 가장 심한 시기는 경장영양공급 후 1주일이 되므로 이 기간에는 환자의 영양관리는 위한 효과적인 간호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부동상태에 있는 경장영양 환자의 튜브급식의 소화를 돕기 위해서 수동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경장영양환자의 영양결핍을 평가하는 것은 영양상태를 확인하는 지표가 되며, 환자의 영양결핍정도를 확인함으로써 그에 따른 대사장애 및 합병증발생유무를 조기에 파악하여 교정뿐만 아니라 예방까지도 가능하게 해 준다. 이상으로 입원환자의 영양결핍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경장영양공급을 하는 과정 중 영양상태평가를 통해 간호진단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영양액의 선정, 수동운동제공 등의 간호수행을 실시하며 합병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관찰이 간호중재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간호과정을 통한 지속적인 영양결핍평가가 필요함을 인식시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 Enteral nutrition is more compatible with normal physiology, safer and easier than IV feeding, and more economical and nutritious than parenteral nutrition. Malnutrition of the neurosurgical patients in an intensive care unit (ICU) who have supported enteral nutrition presents many problems caused by the severity of disease process, lower mentality, and immobility.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amin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lnutritional patients and to provide nursing interventions intended to solve problems on the nutritional intake. We selected the 60 patients supported by levin tube feeding from the neurosurgical and general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in three general hospital in Pusan, Korea from May 15 to September 15 1989. The parameters used for this study were upper-arm muscle circumference (A.M.C.)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erum albumin, tranferrin (T.F.N.), total lymphocyte counts (T.L.C.), and creatinine height index (C.H.I.) for biochemical measurements. Patients were measured three times : prefeeding, 1 week after feeding, 2 weeks after feeding.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program. The statistical analyses employed here were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ANCOVA, and χ²-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basis of A.M.C. Measurement about malnutritional state of patients on enteral nutritional support, it is found out that malnutrirional patients are 58.14% for male, 64.71% for female at prefeeding; 52.8% for male, 64.71% for female at 1 week after feeding; and 55.81% for male, 64.71% for female at 2 weeks after feeding. 2) On the basis of the biochemical measurements about malnutritional state of patients on enteral nutritional support, it is found out that patients of 71.6%, 88.3%, and 76.6% showed malnutritional state at prefeeding, 1 week after feeding, and 2 weeks after feeding for albumin; 86.7%, 95.0%, and 80.0% for transferrin; 75.0%, 78.3%, and 70.0% for T-lymphocyte counts; and 75.0%, 91.7%, and 73.3% for creatinine height index, and that albumin level and transferrin level were the lowest after 1 week after feeding. 3) When assessed malnutritional state of the patients by formula and feeding intervals, we found out that patients who were supported by blenderized and elental diet improved nutritional state as albumin level and Transferrin level increased. 4) When assessed malnutritional state of the patients by passive exercises and feeding intervals, we found out that patients who supported by passive exercises improved nutritional state as albumin level and trasferrin level increased. 5) When analyzed complications by nutritional state of the patients, we found out that malnutritional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than normal nutritional patients as transferrin level and total lymphocyte counts decreas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e must assess nutritional deficiency of the hospitalized patients continuously through nursing process in order to prevent malnutrition and complications of such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