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성희-
dc.creator고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8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1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75-
dc.description.abstract看護는 學問世界와 專門職世界를 共有하고 있는 分野이다. 看護 專門職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실무를 지지할 수 있는 槪念과 理論에 관련해서 지식체를 발전시켜야 한다. 健康은 많은 健康 專門職과 공유하는 목적이기는 하지만 看護分野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槪念 중 하나이다. 연구를 통한 健康과 疾病槪念의 발달이 요구되는데, 그것은 看護活動의 Parameters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健康과 疾病은 일종의 文化現象이라 할 수 있으므로, 西歐 文化의 틀이 아닌 韓國의 文化에 입각하여 독특한 방식으로 對象者를 理解하고 看護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韓國人의 精神健康槪念에 대한 意味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韓國人의 精神健康 槪念化를 통해 韓國的 看護에 필요한 理論을 開發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橫文化看護理論이며, 연구방법으로는 質的 硏究方法 중의 하나인 敍述的 方法과 計量的 方法을 함께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단계에 걸쳐 연구가 수행되었다. 1단계 연구는 精神健康槪念의 意味를 알아보기 위해 敍述的 方法으로 시도되었다. 居住地別·性別·年齡別의 3변인을 고려하여 할당표집된 만 20세 이상의 一般 成人 男女 272명을 대상으로 면접 또는 개방형의 非構造化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精神健康槪念의 意味를 파악하였으며, 이렇게 수집된 槪念에 대해 內容分析을 실시하였다.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에서 파악된 精神健康槪念을 기준으로 작성된 도구를 활용하여 일반 성인 남년 490명의 精神健康狀態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分析하였다. 위의 두 단계에 걸친 연구는 1989년 6월 20일부터 동년 8월 26일까지 수행되었다. 硏究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精神健康槪念의 分析 精神健康槪念의 意味에 대해 對象者가 진술한 내용을 정리한 결과, 모두 522개의 진술이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77개의 槪念이 導出되었다. 이 77개의 槪念을 속성에 따라 分析한 결과 13개로 範疇化 되었다. 따라서 韓國人에게 있어서 精神健康槪念은 健全한 思考, 올바른 價値判斷, 安定된 마음, 幸福한 마음, 肯定的인 自我槪念, 自己 發展, 自己 統制, 좋은 對人關係, 社會 適應, 幸福한 生活, 誠實한 生活, 삶의 意慾, 安定된 生活의 13개의 範疇를 意味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精神健康의 測定 1단계 연구에서 파악된 精神健康槪念을 기준으로 작성된 도구를 활용하여 精神健康狀態를 測定하였으며 要因分析을 실시한 결과, 8개의 要因이 抽出되었다. 그 8개 要因은〈安定〉〈幸福〉〈價値判斷〉〈自我實現〉〈健全한 思考〉〈對人關係〉〈誠實〉및〈社會 適應〉으로서, 이들은 1단계 연구에서 分析된 槪念의 내용영역으로 결합,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對象者의 精神健康狀態를 測定한 결과, 38개 문항의 총점은 138.25(SD=18.10)점이었으며, 각 문항의 평균은 3.64점(최소 1점, 최고 5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총 38개 문항 중 평점이 높은 順位는 “선악을 판단할 줄 안다”가 4.13점으로 가장 높았고,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가 4.12점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과 꿈을 가지고 있다”가 4.04점의 順으로 높게 나타났다. 精神健康狀態는 일반적 특성 중 居住地, 性別, 敎育程度를 제외한 年齡, 結婚狀態, 宗敎, 宗敎家 生活에 미치는 영향정도, 職業, 生活經濟狀態, 身體健康狀態, 生活에서 經驗하는 문제별에 따라 精神健康狀態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硏究結果는 韓國의 思想인 儒敎, 佛敎, 道敎, 샤머니즘과 西歐 그리스도교 思想 및 看護學, 精神科學, 心理學 등에서 提示된 精神健康槪念과를 비교하여 論議하였고, 看護學的 意味를 모색하여 보았다. 硏究對象者의 精神健康槪念 진술에는 儒敎 佛敎 道敎 샤머니즘 및 西歐 醫學과 基督敎 思想이 混在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基底가 되는 것은 도덕적 지향성을 가지고 있는 性理學에 내재된 이념이며 그 위에 西歐 文化가 수용되어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韓國的 看護理論 開發에 이바지할 뿐 아니라, 韓國的 精神健康의 槪念 導出을 통해 고안한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精神健康狀態에 대한 看護査定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 Mental health is an important concept within the health component of the nursing paradigm. Nurses need to understand this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culture because perceptions of health and illness are culture phenomena. This study sought to discover how Korean people conceptualize mental health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meanings of the concept. Transcultural Nursing Theory provided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purpose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nursing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The descriptive qualitative method was used first, followed by a quantitative approach as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First, meanings of the concept mental health were collected from 272 adults selected by an allocated sampling method considering residence, sex and age,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econd, mental health was measured in 490 adults using an instru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20 to August 26, 1989.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an SPSS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meanings of mental health, 77concepts were derived from 522 statements. These concepts integrated into 13 categories. For the Korean person, mental health is conceptualized within the following 13 categories, - sound thought, right value judgment, srability of mind, happiness of mind, positive self-concept, self-achievement, self control,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daptation, a happy life, a faithful life, a purposeful life, and a life of equilibrum.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mental health concepts, eight factors were derived-equilibrum, happiness, value judgments, self actualization, sound think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aithfulness, and social adaptation. When a mental health self-rating instrument developed from the concepts was used with a second sample of the mean total score for the 38 items was 138.25(SD=18.10) and the mean of the items the slightly high value of 3.64. The rank order among the 38 items was “know how to judge good and bad”(4.13), “do no harm to others”(4.12), and “have hopes and dreams of the future”(4.04). The mental health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the influence of religion of life, occup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physiopsychological health state but not for place of residence, sex, and level of education. Agreement with statements on mental health showed that influences from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Christianity and Shamanism were intermingled. Categories of the meaning of mental health were consistent with ideal concepts in Neo-Confucianism (Song-li-hak, 성리학). The study identified an emphasis on morality as a basis for mental health. In conclusion, by developing the instrument derived from this study, it may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nursing assessment of mental health using concepts both culturally appropriate and based on health (rather than absence of disease criteria).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nursing theo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ⅸ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 ---------------------------------------------------- 1 B. 硏究의 目的 ------------------------------------------------------ 5 Ⅱ. 理論的 背景과 先行硏究 ------------------------------------------- 6 A. 硏究의 理論的 기틀:(橫)文化看護理論 ------------------------------ 6 B. 精神健康槪念의 定義 ---------------------------------------------- 11 Ⅲ. 硏究方法 및 節次 ------------------------------------------------- 26 A. 1단계 연구:精神健康槪念의 分析 ----------------------------------- 26 B. 2단계 연구:精神健康의 測定 --------------------------------------- 28 C. 硏究의 制限點 ---------------------------------------------------- 30 Ⅳ. 硏究結果 및 論議 ------------------------------------------------- 32 A. 精神健康槪念의 分析 ---------------------------------------------- 33 1. 一般人의 精神健康槪念 ------------------------------------------- 33 2. 一般人과 專門人의 精神健康槪念 比較 ----------------------------- 58 B. 精神健康의 測定 -------------------------------------------------- 61 1. 硏究對象者의 一般的 特性 ---------------------------------------- 61 2. 精神健康 構成問項의 要因分析 ------------------------------------ 62 3. 硏究對象者의 精神健康狀態 --------------------------------------- 66 Ⅴ. 結論 ------------------------------------------------------------- 72 參考文獻 ------------------------------------------------------------- 78 附錄 ----------------------------------------------------------------- 86 英文抄錄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93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인의 정신건강개념에 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