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경-
dc.creator정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1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실외 놀이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실외놀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현장에 들어가 유아들이 실외 놀이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를 묘사하고 해석하여, 유아들이 실외놀이에 부여하는 의미를 이끌어내고자하였다. 실외놀이가 이미 주어진 사실로서가 아니라 유치원 현장에서의 실제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아, 실외놀이의 구체적 경험이 지닌 다양한 의미를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M 유치원의 물리적 환경과 유아들의 실외놀이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M 유치원의 실외놀이에서 유아들은 어떻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루어 나가고 있는가? 셋째, M 유치원의 유아, 교사, 부모의 관점을 통해 본 유아 실외놀이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넷째, M 유치원에서 나타난 유아 실외놀이 양상은 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에 어떤 시사점을 주고 있는가? 본 연구는 97년 9월부터 98년 7월까지 서울시내 K대학에 소재한 M 유치원 만 5세반 유아들의 실외놀이를 1년 동안 참여 관찰, 면담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자연스런 상황에서 대상자들의 관점에서 행위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문화 기술적 접근으로 진행하였다. 참여 관찰과 면담에서 수집된 총 651자의 전사본을 통해 자료를 범주화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제1장부터 제3장까지는 이론적, 방법론적 배경을 기술하였고 제 4장에서는 연구 대상지를 소개하여 전형적인 실외놀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묘사하였다. 제5장부터 제7장까지는 실외놀이의 의미를 결속력 있는 유아, 상상력을 펼치는 유아, 교실 안 과 밖 의 맥락에 따라 능력을 발현하는 유아라는 주제로 해석하였고 제8장에서 요약 및 결론을 맺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 실외놀이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다. 첫째,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진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살펴 볼 때, 유아들은 결속력 있는 유아 로서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밖 이라는 공간에서 유아들은 놀이가 구성되기 위해 또래간에 유사성 강조하기, 놀이기구 이용하기, 경기 함께 하기, 함께 놀이하기 등의 양상으로 또래관계를 형성하였다. 실외에서 이루어진 또래간의 갈등은 나이 내세우기, 순서 정하기, 상황을 고려해 보기, 다른 또래 지지해주기, 놀이 기구 활용하기 등으로 해결하여, 유아들은 또래집단을 결성하였다. 이러한 또래집단은 집단적인 참여 의식, 소속감, 도래 인정과 지지 등 고도의 협력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강한 유대감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실외에서 이루어진 상상놀이의 소재와 그 전개과정을 통해 유아 실외 놀이가 지닌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실외놀이를 통해 유아 실외 놀이가 지닌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실외놀이를 통해 자신들의 풍부한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TV 만화 내용을 재현하는 환상적인 상상놀이, 놀이기구를 통해 유아의 현실 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주제의 상상놀이, 자연 세계에 관한 상상놀이 등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놀이 소재들을 통한 유아들의 상상력 전개는 놀이를 공동으로 구성하기 위해 또래간에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협상하고 공유하면서 사회적으로 구성되어지는 과정이었다. 도한 유아들은 실외 공간만이 지닌 자연 환경에 접함으로써 자연세계에 관한 놀이 주제를 출현 시켜 자신들의 마음을 끌어들이고, 구상하고, 표현하는 유아로서 모습을 나타내었다. 유아들은 실외에서 자신들의 공통 체험인 만화를 놀이로 재현하면서 마법을 통한 변신의 의미를 또래와 공유하려는 의미로 새롭게 창출하였고, 실외놀이는 유아들의 만화시청이라는 방과후 생활세계가 유치원 기관에서와 연결되어진 시간이었다. 따라서 실외라는 공간 맥락은 유아들이 상상력을 펼치면서 보다 자유롭고 다양하며 폭 넓게 사고하는 기회와 장(場)이 되었다. 셋째, 유아 실외놀이는 교수, 학습에 있어 유아에게 밖 이라는 공간의 변화를 주었을 대, 유아가 새로운 모습의 능력을 발현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즉 실외놀이는 교실 안 과 교실 밖 이라는 공간 맥락을 통해 유아가 융통성 있게 자신의 경험을 이끌고 구성해 나갈 수 있는 성취 기회의 변화를 의미하였다. 실내에서 소극적이던 유아가 밖 이라는 공간에서 자신의 새로운 능력을 발현하였고, 실외에서 또래집단에 소외되었던 유아가 실내에서 자신의 잠재적 능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유아는 교실 안 과 교실 밖 이라는 공간의 변화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새롭게 성취해 나가고 있었다. ; This dissertation aim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s of outdoor plays in kindergarten children by describing and interpreting how young children experience outdoor plays. The research was done in the scene of education in which outdoor plays were actually occurring.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to interpret and comprehend the concrete and diverse meanings of young children s experiences of outdoor plays on the premise that play is to be understood not as an already given fact but as an achievement through actual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First, how are the physical surroundings of kindergarten and young children s outdoor plays revealed? Second, how do young children soci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ir outdoor plays? Third, what do kindergarten children s outdoor plays mean to their teachers and parents as well as children and their learning? This study is based on researches on two 5-year-old halfday classes in M kindergarten in Seoul. For a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have been taken on the outdoor plays of young children from September 1997 to July 1998. Young children s outdoor plays were observed and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for one year. For these researches the ethnographic approach was used which intends to understand naturally the meaning of actions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 who act. A total of 651 copies were collected by participation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material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copies. From Chapter 1 to 3,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ckgrounds are described, and in Chapter 4 the kindergarten in which the research was done is introduced and how the typical outdoor plays were going on is described. From Chapter 5 to 7 the significances of outdoor play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three parts such as cooperative young children, imaginative young children, and children whose new abilities are show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indoor and outdoor . Finally Chapter 8 contains summarie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young children were likely to give the following significances to their outdoor plays. Firstly, it was observed that young children showed solidarity in their social interactions of outdoor plays. In outdoor space they tended to emphasize the similarity among peers and to form peer relations through various aspects of play such as occupying play equipments, playing game together, and playing with each other with changing their space. In addition, they settled their conflicts through comparing their ages, deciding the order of playing, coping with situations, encouraging their peer competence, using play equipments, and finally came to form a peer group with bonding. Their solid peer group showed the highly cooperative social interactions through the strong bond such as the sense of group participation and the acceptance and support from their peer group. Secondly, it was understood that through the imaginative play theme and its process, young children give some significances to their outdoor plays. Young children were revealed to show the fantasy plays which represent TV animation, dramatic plays which can be experienced in young children s realities through play equipments, and imaginative plays about natural world. The imaginative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through these plays were turned out to be the process of social constructions in which they understood each other s point of view, cooperated, and shared. Besides, when young children came in contact with nature provided by outdoor plays, they were found to suggest play themes about natural world, express themselves more freely, and engage themselves in nature. Young children represented animations, their common experiences into plays and produced new meanings with peers. Through outdoor plays young children s watching animation after school was connected with their daily activities in kindergarten. Thus outdoor plays were revealed to be a spatial context in which young children were able to think with more freedom and diversity and be more imaginative. Thirdly, it was suggested that in teaching methods outdoor plays enable young children to show their new abilities in the face of new outside space. That is to say, it was revealed that outdoor plays provided young children with diverse opportunities to construct their experiences with flexibility through the spatial context of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Some young children who used to be shy in the classroom now demonstrated their potential ability fully in outdoor plays. Thus it was realized that kindergarten children tried to develop their abilities through the changes of space,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연구자 ---------------------------------------------------------- 6 II. 이론적 배경 ----------------------------------------------------- 9 A. 놀이의 개념과 이해 ---------------------------------------------- 9 B. 실외놀이의 이해 ------------------------------------------------- 21 III. 연구방법 ------------------------------------------------------- 29 A. 방법론적 배경 --------------------------------------------------- 29 B. 연구대상과 절차 ------------------------------------------------- 32 C. 연구방법과 자료수집 --------------------------------------------- 35 D. 자료분석 -------------------------------------------------------- 41 E. 신뢰성을 위한 작업 ---------------------------------------------- 46 IV. 실외놀이 환경과 전형적인 실외놀이 ------------------------------- 49 A. 연구대상지 ------------------------------------------------------ 49 B. 전형적인 실외놀이 ----------------------------------------------- 66 V. 실외놀이에서 이루어진 유아들의 또래관계 : 결속력 있는 유아 ------- 84 A. 실외에서 이루어진 또래간의 관계형성 ----------------------------- 84 B. 실외에서 이루어진 또래간의 갈등 해결 ---------------------------- 99 C. 실외에서 이루어진 또래집단의 구성 -------------------------------110 VI. 실외놀이에서 펼쳐지는 유아들의 상상력 : 상상력을 펼치는 유아 ----117 A. 실외에서 이루어진 상상놀이의 소재들 -----------------------------117 B. 상상력을 펼치는 실외놀이 ----------------------------------------132 C. 실외에서 이루어진 상상놀이의 매력 -------------------------------148 VII. 실외놀이에서 발현되는 유아들의 능력: 능력을 발현하는 유아 ------158 A. 교실 안 과 밖 의 맥락에 따른 유아들의 모습 ---------------------158 B. 교실 안 과 밖 에서 능력을 발현하는 유아 ------------------------169 VIII. 논의 및 결론 --------------------------------------------------177 A. 논의 ------------------------------------------------------------177 B. 결론 및 제언 ----------------------------------------------------185 참고문헌 ------------------------------------------------------------193 부록 ----------------------------------------------------------------205 영문초록 ------------------------------------------------------------2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031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