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문정-
dc.creator이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2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5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1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조 및 탈 상황적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즉, 이야기 짓기와 극화 활동을 연계하여 경험한 집단과 이야기 짓기만을 경험한 집단간 유아들의 이야기 구조와 탈상황적 언어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현장의 교사들에게 유아들의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I.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I-1. 이야기 논리의 일관성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I-2. 이야기 형태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I-3. 이야기 구성요소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II.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이 유아의 탈상황적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II-1. 단어 정의하기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II-2. 그림 묘사하기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 집 두 곳의 5세아 남녀 총 44명이었다.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각각 22명씩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주 2회 12주 동안 이야기 짓기와 극화 활동의 연계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이야기 짓기만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유아의 탈상황적 언어능력을 알아보기위한 사전검사. 12주간의 처치, 그리고 사후 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아의 탈상황적 언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Foley(1992)등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를 수정한 것이고, 유아의 이야기 구조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Knipping(1987)의 이야기 분석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야기 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빈도 분석과 공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탈상황적 언어 능력분석을 위해서는 공분산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짓기와 극화 활동의 연계를 경험한 집단과 이야기 구성요소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이 이야기 짓기만 경험한 유아보다 이야기 논리의 일관성과 이야기 형태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이야기의 구성 요소에서도 등장인물의 수가 늘어났고 이야기 시작이나 끝, 대화의 사용에서도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였으며 주제도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을 경험한 집단과 이야기 짓기만을 경험한 유아들 간에 단어 정의하기와 그림 묘사하기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은 이야기 짓기만을 경험한 유아보다 단어 정의하기에서 문장구조, 표현적 특징, 기능설명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림 묘사하기에서도 단어의 수, 형용사와 부사의 수, 문장의 수, 수정한 횟수, 참조적 설명, 위치 설명, 명사의 총수, 어휘적 명사의 수, 주제 단어 수, 상상적인 설명, 인물의 내적 표현이 더 많이 나타났다. 즉, 실험적 유아들은 이야기 짓기와 극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탈상황적 언어능력이 발달하였다고 볼 수 있다.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on children s story construction and decontextualized language. To meet the above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I. What is the effect of the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on children s story construction?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the coherence of children s story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the narrative form of children s story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the components of children s story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I. What is the effect of the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on children s decontextualized language?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the word definition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the picture description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wo day care centers in Seoul, chos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Forty four children(24 boys and 20 gir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wo day care centers. Twenty two experimental subject were participated in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activities and control subject, in story dictation activity during twelve week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ere pre-test,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as treatment, and post-test.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deconxtualized language were recorded. Children s stories were filed and classified by two trained ra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ANCOVA for statistical control.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facilitate high leveled story construction. The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significantly raised the experimental subject s levels of the story coherence, narrative form, opening and ending. And character number were raised and the theme of stories were varied. 2. The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brought an effective result to develop decontextualized language. The story dictation and dramatization significantly raised the experimental subject s use of decontextualized language on word definition task and picture description tas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9 II. 이론적 배경 ----------------------------------------------------- 11 A. 이야기 구조 ----------------------------------------------------- 11 B. 탈상황적 언어 --------------------------------------------------- 24 C. 유아의 이야기 짓기와 극화 활동 ---------------------------------- 34 III. 연구방법 ------------------------------------------------------- 46 A. 연구대상 -------------------------------------------------------- 46 B. 연구도구 -------------------------------------------------------- 48 C. 연구절차 -------------------------------------------------------- 57 D. 연구가설 -------------------------------------------------------- 65 IV. 연구결과 -------------------------------------------------------- 66 A.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조에 미치는 영향 66 B. 이야기 짓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이 유아의 탈상황적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87 V. 논의 및 결론 -----------------------------------------------------117 A. 논의 ------------------------------------------------------------117 B. 결론 및 제언 ----------------------------------------------------127 참고문헌 ------------------------------------------------------------130 부록 ----------------------------------------------------------------142 영문초록 ------------------------------------------------------------1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774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의 이야기 짓기와 극화활동의 연계가 유아의 이야기 구조 및 탈상황적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