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글 없는 그림책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시각적 문해, 추론, 구두언어 및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itle
글 없는 그림책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시각적 문해, 추론, 구두언어 및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연규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시각적 문해, 추론, 구두언어 수행, 확산적 사오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시각적 문해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즉, 유아의 그림으로부터의 사물지각 및 행위 지각의 측면에서 통제집단, 실험 I 집단, 실험 II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유아 추론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즉, 유아의 추론 반응의 빈도와 범주는 통제 집단, 실험 I 집단, 실험 II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구두언어 수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즉 유아의 구두언어 수행수준에 있어서 통제집단, 실험 I 집단, 실험 II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확산적 사고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즉 확산적 질문에 대한 유아의 응답에서 나타나는 유창성과 독창성에서 통제집단, 실험 I집단, 실험 II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H 유치원의 만 5세반 다섯 학급의 원아 60명으로 통제집단과 실험 I집단, 실험 II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통제 집단은 글 없는 그림책이 아닌 각 학급의 단원에 부합하는 그림 이야기 책을 교사가 읽어주었고, 실험 I 집단은 교사와의 상호작용 없이 유아들로 하여금 글 없는 그림책을 소그룹으로 보며 이야기 구성하기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실험 II 집단은 교사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하에 글 없는 그림책을 소그룹으로 보며 이야기 구성하기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연구는 사전검사, 6회의 실험처치, 그리고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서 이루어진 각 유아의 글 없는 그림 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과정과 6회의 실험처치 과정은 모두 녹음되었으며, 녹음된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는 모두 사본화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 점수를 매개변인으로 공분산분석을 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비교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글 없는 그림책을 이용하여 이야기 구성하기를 경험하는 것은 유아의 시각적 문해에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사물지각 점수는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을 한 집단에서 많이 증가하여 글 없는 그림책의 효과가 입증되었고, 행위지각 점수 역시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를 경험한 경우보다는 교사의 질문과 적절한 상호작용에 의해 글 없는 그림책 활동을 한 경우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훨씬 영향력있는 요인임을 밝혀주었다. 2. 글 없는 그림책을 이용하여 이야기 구성하기를 경험하는 것은 유아의 이야기 추론에 효과를 나타냈다. 글 없는 그림책을 경험한 경우에 총 추론의 빈도가 증가하였고, 그 하위범주 중 줄거리 추론, 배경추론에 글 없는 그림책의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등장인물추론에서는 글 없는 그림책의 효과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경험한 집단에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으로, 교사의 적절한 질문과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확한 추론에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주었다. 전체 추론범주의 양상은 줄거리추론, 등장인물추론, 배경추론, 대화추론, 부정확한 추론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글 없는 그림책을 이용하여 이야기 구성하기를 경험하는 것은 유아의 구두 언어 수행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에서 나타난 총 단어의 수, 총 문장의 수, 총 묘사단어의 수를 비교해볼 때, 글 없는 그림책을 경험한 경우에 유아의 구두언어수행에 많은 증진이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총 단어 수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있었던 경우에서 큰 증가폭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교사변인은 보다 영향력있는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4. 교사와의 상호작용하에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은 유아의 확산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사전 이야기, 중간 이야기, 후속 이야기 짓기에서 나탄난 유아의 유창성과 독창성 점수는 글 없는 그림책의 경험 유무보다는 교사와의 상호작용 여부에 따라 더 많은 차이를 보임으로써, 글 없는 그림책을 사용하는 하나의 전략으로써 교사의 확산적 질문과 상호작용이 보다 중요한 변수임을 증명하였다. 이상으로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시각적 문해, 추론, 구두 언어 수행,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하기 경험은 유아의 시각적 문해, 추론, 구두 언어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교사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하에 글 없는 그림책을 경험하는 것은 유아의 확산적 사고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dless picture book experience and teacher intervention on the level of visual literacy, inference, oral language competence, and divergent thinking. To meet the above purpose, four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visual literacy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score of recognition of things and actions in progress in the wordless picture book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inference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frequencies of the categories of inference such as thesis, conversation, plot, setting, character, inaccurate inferences, in the story made by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verbal language competence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number of words, sentences, and descriptive words in the story made by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4.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level of divergent thinking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scores of fluency and originality in the children s response to the divergent questions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0 five-year old children who attended a private H kindergarten in anupper-middle class neighborhood of Taejon. Each of three groups was constructed by matched 12 children.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picture story book reading which is proper to their teaching unit. The experimental I group was exposed to wordless picture books without any teacher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II group was exposed to the wordless picture books with teacher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retest, six time treatment, and the post-test. Each oral story sample made by children was recorded, dictated, and analyzed. The rated data were analyzed by adjusted means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tory making experience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made an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children s visual literacy. The teacher intervention was more powerful variable through which the mean score of thing and action-in-progress recognition of experimental ii group was most improved. 2. Story making experience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made an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ildren s inference. The frequencies of categories of inference such as plot, setting, character inferences showed an positive effect of wordless picture book experience. In case of inaccurate inference, there was most decrease on the frequencies of experimental II group. The consistent ordering patterns for least to most inferences were plot inference, character inference, setting inference, conversation inference, inaccurate inference in order. 3. Story making experience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made an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 s oral language competence. Comparing the total number of words, sentences, and the discriptive words of the story made by children, there was an improvement on the verbal language competence according to the wordless picture book experience. Moreover teacher intervention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4. Story making experience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made an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children s divergent thinking. The mean score of fluency and originality was influenced by teacher intervention like questions and scaffolding convers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