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6 Download: 0

非對象的 繪畵에 의한 解體적 공간의 의미

Title
非對象的 繪畵에 의한 解體적 공간의 의미
Authors
정재윤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long with actual making of works and based on the author s explanation and analysis of her works. The author s works consistently show use of geometric shapes. In modern art, geometric shapes have been representing cold abstract. But now they are interpreted as a symbol implying a variety of meaning rather than a reconstruction of concrete objects. The author thinks there are many different meanins behind a visible object. Therefore, she borrowed geometric shapes from the architectural construct and made them connote various metaphorical meanings by using constructional approaches and images in architectur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author s anxiety and conflict formed by a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have developed into questions about self-definition. These questions have made her grant a meaningful concept "connection" upon her works based on approaching to the basic natures of all existence that yield art. "Connection" is somehow an abstract concept that suggests the organic, cohesiv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natures of things in conflict and coexistence beyond the bifurcated confrontation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or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This means that central concepts formed by confrontation have been deconstructed. The objectify abstract inner meanings, the author used canvas scraps, various compositional methods, and fragmentary lines and colors and made them seem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world transcending the material, physical images and spatial meaning of canva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connection" whereby natures of things coexist was investigated mainly around theories of G. Deleuze and Jacque Lacan and related to the author s works.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space in her work, the meaning of space in Cubism and the paintings of Malewichi in which a new concept of space was established was also investigated. Finally, the concept of space in Derrida s deconstructive theory was explaine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the author s lines, shadows and combinations of transformed canvas scraps were explained in comparison with works of Donald Judd and Frank Stella. And the meaning of non materialized colors was described to show their symbolic inner connotations. Consequently speaking, the author hopes analysing her works could give her an opportunity to reflect her workings andlay a developmental foundation for exploring desirable directions of working.; 본 논문은 작품 제작 논문으로서 본인 작품에 대한 설명과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인의 작품은 일관되게 기하학적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현대 미술 속에서 기하학적 형태는 차가운 추상으로 대변해 왔다. 그러나, 이것은 점차 구체적 형상에 대한 분석의 재구성이 아닌 다양한 의미가 포함된 하나의 기호로 해석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은 가시적인 물질적 측면 이면에 또 다른 의미들이 내재되어 있다고 본다. 본인은 건축 구조물에서 보이는 기하학적 형태를 차용하고 이들의 구성 방식과 이미지를 매개로 다양한 은유적인 의미를 내포시켰다.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이상과 현실에 대한 괴리감에서 형성되는 불안과 갈등은 본인 스스로에 대한 본질의 의구심으로 발전해 나간다. 이것은 나아가 본인 작품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예술의 의미를 가능하게 하는 모든 존재의 본질에 대한 접근에 기인하여 연결 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게 하였다. 연결 이라는 의미는 다소 추상적인 의미로서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즉, 의식과 무의식 등의 서로 다른 성질들이 상호 모순되면서 동시에 공존하는 유기적 결합 관계를 의미한다. 이는 대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심 개념이 해체되는 것이다. 본인은 이러한 내적 의미를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캔버스 조각과 다양한 구성 방식, 분절된 선과 색채 등으로 나타내고, 이것의 의미를 물질적이고 물리적인 화면의 이미지와 공간 개념에서 외부 공간과의 소통을 이루는 확장된 의미로 규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본인의 작업을 들뢰즈와 라깡 등의 이론을 통하여 연결 의 의미 속에서 공존하는 본질의 의미를 살펴보고 작품과 연관시켜 보았다. 또한, 본인의 작업에서 의미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현대 미술에서 새로운 공간 개념을 정립하였던 큐비즘과 말레비치 회화에서의 공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데리다의 해체 이론에서 의미하는 공간 개념을 설명하였다.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본인의 작품 속에서 의미하는 선과 그림자, 변형된 캔버스들의 조합 방식을 본인 작품 성향과 상통하는 도널드 저드와 프랭크 스텔라의 작업과 연관지어 비교 설명하며, 내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비물질화적인 색의 의미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본인의 작업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작업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