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繪畵속 언어의 사유

Title
繪畵속 언어의 사유
Authors
최정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작품의 제작과 병행하는 것으로서 본인의 작품들이 제작되는 과정에서의 앞 뒤 맥락을 보다 체계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쓰여졌다. 본인은 작업을 본인의 일상생활을 지배하고 있는 수없이 많은 감각과 생각, 꿈을 담아내는 그릇으로 생각한다. 본인이 느끼는 말로 표현하기에는 부족한 섬세한 감각들, 생각하는 것들, 아직 발음되어지기 전에 입안에서 맴도는 단어들, 어제 밤 꾼 꿈의 잔상들은 일시적이고, 잡기 어려우며, 금방 다른 새로운 느낌들에 의해 지워지고 망각되어지기도 하고, 가끔은 깊이 각인 되어 마음속 깊이 하나의 강한 느낌으로 남아있을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것들은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기 이전에 공기 중에 증발해 버린다. 이렇게 삶의 공간으로 나오기 전의 감각들은 흐르는 물과 같이 단단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지도 않다. 그것들은 계속 움직이며 한없이 커질 수도, 한없이 작아질 수도,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도 않고 한순간에 사라졌다가도 불꽃처럼 확 번져 온 몸에 퍼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것들을 찾는 것이 바로 끝없이 흘러만 가는 시간과의 싸움인 동시에 시간의 흐름으로 인한 망각, 존재의 단절, 허무로부터 나 를 건지고 정의 내리려 하는 것일 것이다. 하지만 본인이 어떠한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되기 이전의 느낌 들을 잡으려 한다는 것에는 사실 모순이 있다. 이런 순간적인 감각들을 의식하고 생각한다는 것은 벌써 그것들을 언어 라는 매체로 가장 가깝게 표현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떠한 감각을 느낀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무엇인지 알려고 애쓰는 것은 언어 라는 매체로 우선 옮겨야 함을 뜻한다. 본인의 작업세계는, 간단히 말해, 자유로운 상상과 꿈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작업의 이면에는 언어가 있다. 어떠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서 단어는 물론 단어들이 환기시키는 이미지들을 화면안에 배치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작업을 하면서 언어로 사고하고 의문을 제기하고 반성하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 작업은 서술적인 성격을 띤다. 사실 언어 , 회화 그리고 앞으로 나오게 될 기호 , 상징 , 상상 , 꿈 등의 개념들은 그 자체만으로 논문하나를 쓸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한 주제들이다. 그러나 이들을 본인이 작업을 하면서 생각하게 된 개념으로서 이 논문에서 감히 다루어 보려 한다. 본인은 우선 시각언어인 회화와 일상언어의 특징,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것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르네 마그리트 Rene´Magritte, 듀안 마이클 Duan Michals, 조나단 보릅스키 Jonathan Borofsky, 사이 톰블리 Cy Twombly, 데이빗 호크니 David Hockney 등 영향을 받은 작가들을 예로 들어 논해보려 한다. 그리고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언어와 이미지의 형성단계를 세워본다. 처음에는 감정, 느낌, 맑은 하늘, 촉촉한 땅, 향기로운 향기와 같은 sign 또는 기호 가 있다. 그러한 것들을 흐뭇함, 나른함, 맑음, 이상理想, 꽃 등의 언어 라는 상징 으로 대체해 본다. 이러한 언어는 처음의 이미지와 같이 한다. 하지만 처음의 구체적인 이미지에서 더 넓은 환기력을 지닌 언어를 통해 우리는 그와 관련된 더 다양하고 폭넓은 이미지들과 단어들을 떠올리게 된다. 여기에서 그 다음 단계인 상상력 은 본인이 찾은 이미지들과 단어들의 유연하지 못한 관계를 흩으러 놓았다가 다시 재구성하여 더 풍성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흐름은 아마도 꿈 즉 무의식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그래서 본인은 본인의 무의식에 잠재해 있어 여러 형태로 영향을 주는 물 의 속성-물의 표면적인 유희, 그 이미지 밑에 더욱 심화된 깊이, 그리고 시간이나 그에 속한 인간의 운명을 깨닫게 해주는 흐르는 물-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들을 작품으로 표현할 때의 방법적인 면과 주제를 정리해 보았다. 본인은 본인 주의의 모든 것들을 받아들이고 그것들에 적응하고 선별하는 작업을 해서 이 세상을 이해하고 본인 나름대로의 존재 방식을 찾아간다. 그래서 생각들, 느낌들, 추구하는 것들도 생기는 것이며 이때 비로소 생명력, 생의 의지 vouloir-vivre 를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ontext in which my work has developed. My inner world, such as my everyday feelings, thoughts, and dreams, is conveyed through my work. Feelings and thoughts that are too genuine to be expressed in words, words that are never really pronounced but go as far as the tip of my tongue, and memories from last night dream, are all ephemeral and hard to grasp. Sometimes these senses get overridden by new ones or stay deeply engraved inside the mind. In the end however, they evaporate in the air before bearing a concrete shape. Such senses are always volatile and unstable before coming out into the outer world, if they ever do. They are in constant motion and can grow infinitely stronger or weaker. They are restrained by neither space nor time; they can disappear and instantly reappear to once again spur even stronger feelings than the first time. To pursue and understand those senses is fighting against the endlessly ticking clock, forgetfulness and emptiness. Therefore reclaiming myself from it and defining myself. However, catching the senses before f orming a solid shape as said above, is actually self-contradictory. Being conscious and thinking about these ephemeral senses already implies that one is expressing them in the form of language in his own mind. Even in our own understanding of our feelings, we refer to words from the language we know. In a simple manner, it can be said that the world of my art is the expression of free imagination and dreams. Behind all art works there are languages. In expressing these senses I make use of words, display the images that those words evocate on the surface of the canvas. In addition, I constantly question myself as to whether or not I am expressing the right feelings. In this process my work becomes narrative in nature. In fact, language, painting, and concepts such as code symbols, imagination, and dreams, are such broad subjects that several thesis could be written on each of them. However all of these concepts are dealt with in this thesis, for they are prominent components of my work. We will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and everyday languag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lastly their interactions. Rene Magritte, Duane Michals, Jonathan Borofsky, Cy Twombly, David Hockney are artists who have greatly influenced my work and are good examples that clearly show the interac tions between painting and language. Then focusing on my work I will give the describtion of the shaping and creation of languages and images in the development of my work. There are signs or codes such as emotions, feelings, clear skies, wet earth, and pleasant scents. These signs are then converted to symbols of language such as fulfilling , languid , limpid , ideal , and flower . The images that these words draw in our minds match the signs above. However, such words that we think of to express signs or codes can evoke a far broader possibility of meanings. In the next level, imagination assembles the randomly found images and words. These images and words are put together into a new, diverse, and productive meaning. And every step in between sign and imagination is highly influenced by the unconsciousness; dreams. In my deep unconsciousness, aspects similar to that of water can be found. The playful surface of the water, the depth under the mirror-like surface, and the notion of time and human fate are examples of the things that water makes us realize. In my thesis, the subjects and techniques that I chose to express all these processes are organized. My goal is to absorb and adjust to my surroundings and therefore move one step closer to understanding this world and myself. In achieving this goal, I hope to get a clearer idea about the thoughts and feelings that I am seeking. Then I will be able to express the liveliness and the will of liv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