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보행자 가로환경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Title
보행자 가로환경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Authors
김병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도시는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으나 도시로의 인구의 집중으로 교통난, 주차공간의 부족, 환경오염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도시환경 중 가로는 누구나 언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공공적인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는 도시내 가로환경을 장소 보다는 소통 위주의 도로 로 보고, 사람 보다는 자동차 를 위한 도시공간을 만들어가는 우(禹)를 범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리하여 도시의 주인인 인간은 도시에서 쾌적한 생활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서적 심리적 여유를 주는 공간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를 자동차 소통을 위해 위계가 갖추어진 기능적인 가로가 아니라 일반 도시민들이 보행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장소성을 가진 생활공간 이라는 시각으로 보고, 가로의 활성화를 통해 도시환경의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관점에서 시작된다. 도시내 가로환경에 적절한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여 인간의 행태를 지원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자 가로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환경 디자인 패러다임으로서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였다. 또한 다 학문적 접근 방식에 의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시켰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1장의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환경 디자인에 있어서 학제적 이슈들을 살펴봄으로서 본 연구의 흐름의 맥을 잇고, 그 속에서 환경 미학의 새로운 관점을 찾아보았다. 시스템적 관점에 입각하여 도시 속의 가로의 기능과 의미, 중요성 등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가로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서 환경 미학적 접근이 타당함을 인식하였다. 문화로서의 가로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문화에 대한 이해와 도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도시 환경에서의 가로공간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의 기본이 되는 이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보행자 가로환경의 특성과 가로환경의 지각적 형태를 바탕으로 현재의 보행자 가로환경의 문제점을 언급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간 행태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또한 활성화된 가로를 국가별로 분석해 보았다. 4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공간을 정하고 선정의 타당성과 디자인 전제를 밝힌다. 그리고 보행자 중심의 가로환경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대상지 현황의 분석과 공간 프로그래밍 과정을 현장방문 사진과 문헌자료 등을 분석, 응용하여 제안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의 조사,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디자인 안을 제시하여 보행자 가로환경 조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앞서 제시된 디자인 결과물을 평가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6장에서는 새로운 보행자 가로환경 디자인 모형사례의 평가를 내리고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내린 결과와 의의를 정리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가로환경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 인문환경, 행태 분석, 시지각 분석 등 철저한 환경 분석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모형사례를 제시하여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의의를 두고 이와 같은 방향이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Although people are having material abundance derived from industrialization as well as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there are many kinds of problems such as traffic, lack of parking spa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are mainly caused by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to a city. Looking at the streets in a city as a just passage rather than places and making the city for not people but cars are serious problems we are making today, even though the streets are the real public spaces that everyone can use it anytime. Therefore, it seems difficult for people to have refreshing living spaces in a city as a owner of the city.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spaces that, develop the quality of life and provide mental relaxation has been increased. This project starts from a point of view of activating city environment,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streets, by looking at the streets as a "living space" which has a sense of a place where city dwellers can use it through passing by not just, a functional street for the cars. I would like to purpose the street environment for pedestrians that can provide human acts and futhermore, develop the quality of human life through providing physical environment. This project took a systemic point of view as a new paradigm of an environmental design. In addition,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logical and scientific methods by a scientific approach.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as, In chapter one,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e research are mentioned. In chapter two, I found the new point of view of the environmental aesthetics through looking at various educational issues of the environmental design. I studied functions of the city streets and its importance from the systemic point of view. Through the study, I found that the approach of the environmental aesthetics is appropriate for developing the quality of the street environment. I also analysed the meaning of the street spaces in a city environment to help understand the street environment as a culture through studying culture and function and roles of the city. In chapter three, I tried to set up the theory basis for the research. I mentioned ab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treet environmental problem which i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environment and geometrical forms and emphasized the human acts side as a solution. In addition, I also analysed activated streets from country to country. In chapter four, I decide the site for the research and clarity an appropriateness of the choice and design outline. And I propose the analysis of the site and a procedure of the space programming with analysed site photographs and references to present a case study of the street environmental design. In chapter five, I present a direction of creating the street environment for pedestrians through proposing analysed data in chapter four. Moreover, I af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 by evaluation the proposed design result, earlier. In chapter six, I evaluate the new street environmental design for pedestrians and I concluded the whole design process by summarizing result and significance of it. This project gave me a great opportunity to understand that the process of street environmental design needs analysis of natural environment, cultural environment, human activities and human senses. Through presenting this case study, a final object is placed on the solution for developing the quality of life and I expect that such a direction will be applied more norm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