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민-
dc.creator김현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1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03-
dc.description.abstract제2차 세계대전 후의 현대미술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운동은 추상표현주의로 이는 1950년대의 미국적 형식의 미술로 자리를 굳히게 된다. 자연의 유기체적인 형태를 지닌 추상회화로써 주로 서정적이며 분위기와 내용에 치중하고 있는 액션패인팅(action painting)과 주제적인 면 보다는 형태적인 면에 관심을 기울이는 색면추상(color­field painting)이라는 두 계열의 회화는 추상표현주의 라는 이름 하에 하나로 묶여져 내려왔다. 그러나 평론가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와 로젠버그(Herold Rosenberg)가 평면성의 문제를 놓고 각기 그들 나름의 이론을 제시함에 따라 두 계보의 회화로 나뉘어지게 된다. 그것은 추상표현주의를 형식적인 것으로 간주한 그린버그에 의해 색면회화(color­field painting), 포멀리즘(formalism), 미니멀리즘(minimalism)등의 계열과 로젠버그에 의해 그것 자체를 인간에 근거한 표현적 행위로 생각한 것에 영향받은 해프닝(happening), 팝아트(pop art) 등이 또 하나의 사조이다. 그 중에서도 미니멀리즘은 주제의 문제를 과감히 버리고 회화 본질로써의 형식만을 추구하는 새로운 미술태도로 1960년대에 등장하여 후에 모던이즘을 넘어선 포스트모던이즘으로의 길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상황은 평면이나 입체라는 장르의 구속에서 벗어나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고 일률적인 형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탐구라는 열린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예술에 관해 다양한 시도를 가능하게 해준다. 본인은 그러한 흐름 속에서 회화에서 가장 본질적 요소인 공간의 문제에 귀착하게 되었고 공간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작업의 의미를 예술작품이라는 미적 공간 속에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했다. 또한 본질적 표현의 형태인 기하학적 형상을 통해 구조적이고 명쾌한 구성을 사각 틀의 회화공간 속에 적용하여 그 형태에 의한 조형공간을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렇듯 작품 속에서 선과 색을 통한 조화를 의도하여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의미추구 과정에서 이론적 면에서의 의미와 본인의 개인적인 의미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이론적 면에서 공간 속에 기하학적 형상들로 채워야만 하는 이유를 실제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것­이상화된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는데 있다고한 로져 프라이(Roger Fry)와 클라이브 벨(Clive Bell)의 이론에서 본인 작품과 관련해 고찰해 보았다. 아울러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회화에서 보여지는­실재성에 근거한­쉐이프트 캔버스(shaped canvas)형식에서 정당성을 찾을 수 있었는데 그 자체 스스로가 존재하는 하나의 오브제로써 회화에 속하는 작품을 통해서였다. 이는 모더니즘 회화가 주는 실재성 예술의 개념으로 회화를 전개한다는 점이 본인의 작품과 유사점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둘째, 개인적 의미로는 작품제작의 요소인 선과 색으로 상정될 수 있다. 특히 색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조각보의 조형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본디 물건을 싸는 입체성을 가진 기능에서 벗어나 펼쳐진 사각 평면의 공간에 나타난 작품의 의미로써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조각보의 색면과 선을 이용한 기하학적 형태는 시대와 문화가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서구 추상회화와 비교해 볼 때 표현의 형식면에서 많은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 더구나 언급했던 바와 같이 공예품이면서도 그 역할을 넘어서 평면성을 취함으로 평면을 강조하는 본인의 작품과 연결 지어 접목시켰다. 끝으로 작품분석을 바탕으로 채워지지 않은 평면공간이 충만된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기회로 삼고자 한다. ; After World War II most prominent movement which emerged in modern painting was abstract expressionism and this came to settle down as one of American style painting in 1950s. Two types of painting, that is, action painting which is an abstract painting with organic shapes of nature and laying emphasis upon lyricism and mood and color-field painting adhering more to formal aspect rather than theme were bound into one and called as abstract expressionism. However art critics Clement Greenberg and Herold Rosenberg maintained different theories on the issue of plane accordingly two schools of painting resulted in this sector. One trend encompassed color-field painting, formalism and minimalism of Greenberg who considered abstract expressionism as something formalistic and another one which contained happening and pop art etc. under the influence of Rosenberg who regarded painting as an expressive action rooted to human beings. Among them minimalism is a new attitude in painting which discarded issue of theme boldly while pursuing forms exclusively as essence of painting and it emerged from 1960s and suggested path to Post-Modernism beyond Modernism. Such situation made one to have open-mindedness and search free from uniformity by being released from constraint imposed by genre and through novel perception of space thus enabling various attempts on art. This writer came to focus on issue of space which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under such trend and aimed to discover meaning of work in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in aesthetic space known as art works. It was aimed to express aesthetic space by geometric forms which are essential media of expression through applying its structural and clear composition to rectangular space of painting. As attempt for harmony through lines and colors in art works geometric forms are used and in this connection meaning can be could be divided into meaning in theretical sense and personal one. First, from theoretical perspective, theory of Roger Fry and Clive Bell who explained the reason for filling space with geometric forms as search for something which is not present in actual nature -idealized essence- was related to my works and it was studied. At concurrently it was possible to find justification from shaped canvas based on pragmatic value which can be detected in Frank Stella s paintings and it was through objet existing for itself in painting. It was possible to find similarity between my works and modernistic painting in that it perceives painting as art with pragmatic aspect. Second, from the dimension of personal meaning it concerns with lines and colors which are elements for production of work. In particular this writer came to pay attention to possibility of form creation of patchwork wrapping cloth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colors. It is related to significance of patchwork wrapping cloth of art work as presented in rectangular plane beyond its cubic function for wrapping. Irrespective of difference in time and culture geometric forms by means of colors and lines of patchwork wrapping cloth when compared to Western abstract paintings has a considerable similarity between them in terms of forms of expression. As mentioned above planeness of patchwork wrapping cloth, which is a crafted product, beyond its functional role, was taken and linked to my works which emphasize planeness. In closing this writer wishes to take advantage of analysis of the work as an opportunity for rebirth of unfilled plane space as filled 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의미있는 형식-기하학적 추상이론을 중심으로 = 3 B. 쉐이프트 캔버스-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를 중심으로 = 7 III. 방법적 요소 = 11 A. 공간 = 11 1. 미적 공간 = 11 2. 사각평면 = 12 B. 선 = 14 1. 선의 개념 = 14 2. 수평선과 수직선 = 14 3. 균형과 조화 = 16 C. 색 = 18 1. 색채감정 = 18 2. 조각보에 나타난 색 = 19 IV. 작품분석 = 22 V. 결론 = 42 VI. 참고문헌 = 44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205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부재의 공간, 충만의 공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