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物性을 통한 空, 間 연구

Title
物性을 통한 空, 間 연구
Authors
최원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화진
Abstract
일찍이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은 예술 작품이 수천년된 아우라(Aura:靈氣)를, 그리고 그와 함께 그것이 지녀왔던 예배가치(Kultwert)를 상실했다고 말한 바 있다.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모더니즘(Modernism)의 신화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등장으로 인해 자연 消火되었고 뒤이어 예술과 미학의 종언에 관한 논의가 공공연하게 전개되었던 것을 우리는 목도한 바있다. 1970년대 중반이후 예술에 있어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다원화 경향은 모더니즘의 역사적 발전논리를 부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논의 아래 접근될 수 있다. 다원주의(Pluralism)라는 명칭으로 포섭되는 최근 예술 경향들은 이전의 형식론에 입각한 양식적 접근이 불가능할 정도로 그 주제와 매체, 그리고 양식 면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같은 징후는 예술 개념의 확장과 영역간의 경계 허물기, 즉 상호 수렴양상으로 구체화된다. 따라서 이 혼돈의 상황에서 예술을 식별할 수 있는 비평적인 시각의 필요성에 주목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귀결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예술과 미학의 위기에 대한 논쟁과 가치개념의 상대화 현상이 표면화되는 상황에서 본인은 시각예술의 본질적인 空間과 物性의 문제에 대해 나름의 조형언어로 접근하였다. 먼저, 본인의 작업은 空間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는데, 老子의 無의 사상을 참고로 한 ‘비어있는 空間’의 의미를 강조한다. ‘無’란 절대적인 비어있음의 공간이 아니다. 老子에 의하면 存在와 無는 상호 독립적인 것이 아니며 無는 우주의 始原으로 텅빔(沖虛)과 부드럽고 약한(柔弱) 작용을 통해 드러난다. 본인은 이러한 無의 공간-비어있는 공간의 표현에 주력하였다. 또한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 )의 논의를 토대로 한 본인의 ‘틀’에 대한 사고는 작품을 한정짓는 ‘전통적인 틀’의 의미에서 벗어나, ‘사이(間)로서 틀’의 개념과 밀접히 연관된다. 본인은 작품에 중심적 요소가 되고 있는 틀을 그것을 경계로 對置된 두 공간의 교량 역할을 하는 ‘만남’의 공간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空·間개념은 재료와 신체적 행위의 개입을 통해서 다분히 물질적인 화면으로 시각화된다. 이 과정에서 개입되는 행위의 특징과 그로부터 산출된 촉각적 화면은 본인의 작업에서 핵심을 이룬다. 다음으로 본인의 작업의 언어적 요소와 그것이 이루는 ‘개념적 공간’에 대해 서술하였다. 작업에서 드러나는 언어적 요소들의 특징과 그와 관련된 다른 작가들의 작업이 비교된다. 언어적 요소의 도입은 두 가지 과정, 즉 命名과정과 글쓰는 행위에 의한 제작 과정을 통해 구체화된다. 우선 命名작업이란 Material과 Space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단어를 결합시켜 ‘Materialspace’라는 일종의 합성어를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 ‘Materialspace (물질공간)’는 시각예술의 ‘物性’, 즉 그것이 하나의 작품으로 존재하기 위해 필요조건이 되는 물질적 속성과 그리고 그 작품이 실제 점유하게 될 ‘공간’의 ‘개념적 결합’이다. 命名된 ‘Materialspace’는 동일한 단어를 반복적으로 글쓰는 과정을 통해 작품으로 化한다. ‘Materialspace (물질공간)’는 글쓰기 작업에 내재된 작가의 불연속적인 호흡-긴장과 이완의 순환을 전달하고 그에 따른 감응을 유도해낸다. 본 논문은 제작 논문으로서 본인의 작품을 제시하고 분석해보는 과정을 통해, 미흡한 부분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전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인은 시각예술의 본질을 이루는 物性의 문제와 空間에 대해 나름의 시각과 형식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언어적 요소와 신체적 행위가 필연적으로 개입되었으며, 그를 통해 본인의 작업이 보다 열린 의미로 지각되고 해석되길 고대한다. ; Walter Benjamin (1892~1940) mentioned that the Aura and the Kultwert (the value of worship) which existed in the work of art thousands of years ago are lost today. The myth of the Modernism dominant in an era, faded away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Postmodernism, and thus the argument for the end of the Fine arts and Aesthetics has been stated in public. The pluralistic trend prominent in the realm of the art can be approached under the discussion of the Postmodernism. Recent works of art called Pluralism are developed so variously in the subject, media, and style, that we can t explain these based on the formalistic approach. These phenomenon are revealed to be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he art and the mutual convergence of the genres. Thus, in this confused circumstance, it s natural consequence that we come to pay attention to the need of the critical vision through which we can recognize the art work. I approached the basic subject matters of the visual art - Space and Materiality - using my own formative languages. My works began with the interest in Space , that is, space as the Emptiness (空), and the Between (間). I researched the meaning of empty space referring to Lao-tzu s concept of nihility. Nihility is not absolute emptiness. According to Lao-tzu s, nihility isn t mutually independent of the being, and is revealed by actions of Emptiness and Effeminateness . I concentrated on expressing this concept of space, or space of nihility. And based on Jacques Derrida(1930~ ) s theory, my concept of the frame is involved in the meaning of the Between rather than the traditional one. I interpreted the frame, important element in my work, as a place where both spaces could coexist to communicate each other. This concept appeared in material planes through the materials and physical actions. In this process, the nature of actions and tactile plane are essential parts of my work. Next, I researched Conceptual Space formed by linguistic elements and compared the nature of these with one of other artist s. The linguistic elements are introduced by two processes which are naming and handwriting . First, naming means a process that I combine two different words to make a new word ; a kind of compound word like Materialspace . Materialspace indicates a conceptual compound, materiality of the visual art, and a real space where a work is situated. The process of repetitive handwriting created Materialspace to be seen as a real work. Materialspace conveys to the viewers artist s intermittent breathing immanent in the work, and induces them to respond. As a production thesis, this aims at exploring my future approaches towards my art works through presenting and analyzing my works. Through my own vision and forms, I researched the concept of space and materiality, which has been the main subject matters of the visual art. I introduced linguistic elements and physical actions in the concrete methods, by which I hope my viewers to perceive and interpret my art works as more open meaning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