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측정 이미지를 통한 인간 내면세계의 표현

Title
측정 이미지를 통한 인간 내면세계의 표현
Authors
강혜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원칙이나 절대가치를 수용하는 모더니즘의 경향과는 달리 오늘날의 예술에서는 절대적 주제나 양식이 정해지지 않는 다원주의 양상을 띠고 있다. 뚜렷한 미술의 형식과 양식의 제한은 제거되고 주도 하는 미술의 경향이 없어지게 된 것이다. 예전의 수직상의 일관화된 경향이 아닌 다양하며 수평화된 미술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미술의 경향은 특별한 미술의 축이 없으므로 작가의 창의력을 통해 다양한 예술적 형태로 전개된다. 예술가는 현 시대의 시대적·환경적상황을 직시하며 그가 추구하는 자유로운 생각을 표현해야 한다. 현실에 만족할 수 없는 본능을 가진 인간은 보다 완벽한 것을 추구하며 그의 발전을 도모한다. 본인은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작품 제작에 임하였으며, 본 논문을 통하여 보다 필수적이고 본질적인 요소로 접근한다. 본인은 주위환경에서의 인간과 그의 관계로 인하여 설정된 비가시적인 세계, 즉 인간의 내면세계를 측정하는 것을 작품의 주제로 표현한다. 인간의 두가지 측면 이성과 감성을 시각미술의 질서와 무질서의 개념으로 비교하였고, 이같은 조화를 통해 균형을 이루며, 이러한 결과를 가치 설정이라고 파악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질서적인 체계안에서 인간이 살아가며, 이러한 것들을 추구하는 면 그리고 무질서와의 조화로운 구성으로 인한 균형이 언급되며, 이러한 가치 설정등을 시각적인 요소로 환원 시켰다. 수학적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내면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각도기는 인간이 완벽함과 정확성을 추구하고 척도를 제기위한 도구로 사용한다는 면에서 이성으로 은유하였으며, 각도기의 복제된 형상은 각각 병치됨으로써 자아와 타자에 내재되어 있는 관념적 동조성을 나타낸다. 본인은 의식적으로 느껴진 경험을 표현 가능하게 하는 소산으로서 감성을 이해했으며, 본인의 작품에서는 바탕을 이루는 엥포르멜적인 표현방식이 감성적측면과 관련되었다. 방법적인 측면으로는, 축적을 통한 조형적인 형태를 판화의 기법을 사용하여 질서와 무질서의 균형으로 표현하였고, 본인의 작품에 차용된 이미지로는 사진의 매체를 이용한 실크스크린 기법, 그리고 계산적이며 이성적인 방법 즉, 부식이라는 과정에 의해 날카로운 선과 기하학적인 형태가 표현되는 동판화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인이 의도한 서로 다른 구성이 조화를 이루어 나감으로서 인간의 관념화된 가치 설정의 모순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인 작품을 분석,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보다 발전적인 작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In this era, modernist tendency esteeming absolute values and causes gave way to pluralism which discards absolute themes and styles all together. The restriction of dominant forms and styles in art is released as governing tendency of art is vanishing away. Art is not any more consistent, vertical structure but instead becomes horizontal. Art, losing its fixed axis, becomes more diverse through the creativity of an artist. At this more liberated time, an artist has freedom to express what they aspire, confronting the situation and the environment of contemporary world. Human beings, who cannot be satisfied with the reality in nature, strive for more perfection and work for its fulfillment. Having this in mind, I make my art and write this thesis in order to approach to the essential and fundamental elements. In Birth of Tragedy, Nietzche(1844~1900) deals with the opposition between the Apolline and the Dionysiac stating begetting the work of art is as Dyonysiac as it is Apolline. According to him, the Apolline represents the form of art, symbol itself and the Dyonisiac is the content of art, life. Adopting this opposition in my work, I compared order and disorder in art with rationality and emotion. Blending these two elements, I strive for equanimity, which is the result of value making. In my thesis, I focus on the equanimity of order and disorder while exposing that people are living in orderly structure and, in this, people are making value judgements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In my work, the image of a protractor, mathematical system, is deployed, which represents the rational side of people. A Protractor is a metaphor of rationality, as it is used for exact and perfect measurement. Aside this, a reproduced image of wood is juxtaposed for disclosing the sympath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which is also highlighting rational side. In order to express emotion, I deploy the informel tendency as emotion is the result of consciously felt experiences. Furthermore, I endeavor to find the rational aspect between reason and self. Methodically, printing of accumulated figurative forms are used for conveying the equanimity of order and disorder. In addition, the methods of silkscreen using photo images and of copperplate print enabling edgy lines and geometrical forms to appear in the works are further explained. Adopting this method, I aim to expose the contradiction in human value judgements by demonstrating my work which is harmonious with all the diverse elements. By analyzing my work, I hope to find more progressive directions. 1) According to Nietzche, the Apolline is the god possessing artistic power as well as mathematical accuracy while performing only formal functions. 2) It is placed in organic world, and Dionysus was regarded as the god of destruction possessing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ing as impulsive power of art. 3) It is lyrical expressionism of fifties in Europe expressing psychological self in creative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