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Japanese Keiretsu in the automobile trade : review and evaluation

Title
Japanese Keiretsu in the automobile trade : review and evaluation
Authors
정진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evolution, structure and mechanism of “vertical keiretsu” in the Japanese auto parts industry in order to explore its impact on Japan‘s trade with the United States in auto parts and to assess future developments. The study is mainl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econdary data gained from a variety of established studies by both U.S. and Japanese scholars and experts on the automobil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sidering the current economic recession in Japan, analysis of the Japanese style of corporate governance that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mobile manufacturers and their suppliers bears great significance. In the long history of trade friction with Japan, the United States has just begun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vertical keiretsu in the Japanese auto parts industry as a major stumbling bloc in seeking for more market openness on the 1980s. That is when Market-Oriented-Sector-Selective (MOSS) talks was initiative (SII) and Framework for a New Economic Partnership, the U. S. strongly demanded for the redress of “closed” characteristics in the Japanese auto parts industry. The vertical keiretsu in defined as a longstanding pyramid structure of parts suppliers for a single end-product assembler. The basic framework is that the parent firm at the top assures the subcontractors a long-term contract while demanding strict rules for cost, quality and emotional loyalty as group members. As most observers argue, however, this highly structured and closed system serves to seriously impede market penetration by U. S. and other foreign suppliers. The history of today‘s vertical keiretsu in the Japanese government played a key role in the rejuvenation by implementing trade barriers against foreign car producers. During this period, the automotive firms started to consciously “develop” their network of suppliers to avoid the whims of labor unions and minimize the impact of frequent recessions. The burgeoning vertical keiretsu network became more rigid and was actively utilized as the means for cost reduction and higher quality when the Japanese automakers strove to survive a variety of trade restrictions, such as VER and other domestic content pressure, in the U.S. market. Nonetheless, though the vertical keiretsu seems to have its historical rationale in the Japanese parts industry, is has two fatal disadvantages in the globalized world market. First, vertical keiretsu places a tremendous burden on the suppliers through the so-called target cost system and by pressing the suppliers to invest aggressively to meet the standard set by the parent firm. A virtually complete dependence of the suppliers on their parent assembler firm raises the likelihood of their defection to other keiretsu groups or foreign firms during economically difficult times. Second, vertical keiretsu will soon become the target of multilateral challenges as efforts are being made to harmonize competition policy in each major trading country, in come multilateral fora such as OECD, WTO and APEC. It is thus very likely for the vertical keiretsu to be under close scrutiny in the process of setting op new multilateral rules for vertical firm relations in the highly competitive world market across borders. ; 본 연구는 현 일본 자동차 부품 업계의 독특한 수직 계열(vertical keiretsu) 구조의 역사적인 발전 과정, 계층적 구조의 특징 및 메커니즘을 살펴봄으로써 수직 계열 구조가 오늘날 일본과 미국의 자동차 부품 통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미국 및 일본의 자동차/부품 통상 전문가들의 기존 연구물 및 2 차 통계 자료를 주로 활용, 분석하였다. 현재 일본의 골깊은 블황을 고려할 때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그들의 부품 협력 업체들과의 관계를 규정하는 일본식 경영 방식에 대한 분석은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오랜 양국간 통상 마찰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불과 1980년대에 와서야 일본의 자동차 부품 업계의 수직 계열 구조가 외국 업체들의 시장 진출의 주된 장애 요소임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협상을 벌이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Market-Oriented-Sector Selective (MOSS) Talks는 물론 그 뒤를 이은 Structural Impediment Initiative (SII) 및 Framework for a New Economic Partrnership 에서도 일본 내 시장 구조가 주된 통상 이슈가 되어 폐쇄적 시장 구조 개선에 초점이 맞춰 졌다. 자동차 부품 업계의 수직 계열 구조란 Toyota와 같은 제조업체를 모기업으로 하여 그 이하 여러 부품 업체들이 수직적인 계층제를 이루면서 장기간에 걸친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모기업은 하청업체들에게 장기적인 계약 및 협조 관계에 대한 보장을 해주는 대신 이들에게 높은 강도의 비용 및 품질 기준은 물론 한 그룹으로서의 충성심을 강요한다. 따라서 일본 부품 업계에 고착화된 수직 계열 구조는 미국은 물론 타국가들의 동시장 진출에 심각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일본 자동차 부품 시장의 수직 계열 구조의 역사는 1950-1960년대에 시작되었다. 1954-1955년 직후 일본 정부가 외국 자동차 제조업체에 대한 무역 장벽을 높이면서 일본 자동차 업계가 다시 성장하기 시작하던 때와 맞물린다. 이 기간동안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강성 노조와 빈번한 불황에 따른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부품업체을 모으고 계층화시켰다. VER 및 자국 생산 부품 사용 압력등 미국 시장의 다양한 무역 제재를 받는 과정에서 수직 계열 구조는 비용 절감 및 품질 개선의 수단으로 이용됨으로써 보다 정교하게 발전하였다. 이렇듯 일본 부품 시장의 수직 계열 구조는 그 역사적 정당성을 갖는듯하나 오늘날의 국제화된 시장에서 2 가지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첫째, 모기업이 강요하는 목표 비용(target cost) 및 투자 압력이 수많은 부품업체들에게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온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에 일본을 강타하고 있는 불황 등 전반적으로 일본 경제의 침체기에는 이들 부품업체들이 보다 나은 기회를 찾아 다른 모기업 또는 외국 기업과 거래 관계를 옳길 가능성이 크다. 둘째,곧 강력한 국제적 도전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미 OECD, WTO와 APEC과 같은 다양한 다자 체제에서 주요 통상 국가들의 경쟁정책을 조화 시키려는 활발한 연구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오늘날과·같이 경쟁이 치열한 국제 시장에서 수직적인 기업간 관계를 규제하는 새로운 다자간 규칙이 정립될 경우 일본 부품 시장의 수직 계열 구조가 상당한 반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