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수준 분석

Title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수준 분석
Authors
유희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전반적인 질적수준을 파악하고, 동시에 어린이집이 설립유형에 따라 질적수준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의 질적수준과 질적수준의 평가요인 및 평가요인의 하위변인은 어떤 상관이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어린이집의 질적수준은 어떠한가? 가 - 1. 어린이집의 전체적인 질적수준은 어떠한가? 가 - 2. 어린이집의 평가요인별 질적수준은 어떠한가? 가 - 3. 어린이집의 평가요인의 하위변인별 질적수준은 어떠한가? 가 - 4. 어린이집의 질적수준은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어린이집의 질적수준과 평가요인 및 평가요인의 하위변인은 어떤 상관이 있는가? 나 - 1. 어린이집의 전체적인 질적수준과 평가요인은 어떤 상관이 있는가? 나 - 2. 어린이집의 전체적인 질적수준과 평가요인의 하위변인은 어떤 상관이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어린이집 보육교사 805명이었으며, 국.공립보육시설 종사자 285명, 민간보육시설 종사자 437명, 직장보육시설 종사자 8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이 은해, 이 기숙(1996)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로 이를 어린이집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친 후 본 조사는 1996. 7 - 8월 사이 전국의 6개 시도에서 실시되었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어린이집의 전반적인 질적수준과 10개의 평가요인별 질적수준 및 29개의 하위요인별 질적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총점의 평균 및 평균의 백분율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설립유형에 따른 전체 및 요인별 평균점수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는 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였고, 집단간에 차이가 있을 경우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사후비교분석(Scheff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설립유형에 따라 상.중.하 집단별 분포가 차이가 있는가를 보기 위해서는 χ2(chi-square)검정방법을 이용하였다. 전체적인 질적수준과 평가요인 및 평가요인의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해서는 단순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어린이집 질적수준의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의 어린이집들은 우수하게 운영되고 있는 상위집단이 13.8% 뿐이었고, 최소한의 기준이 통과된 또는 부분적으로 우수하게 운영된다고 볼 수 있는 중간집단이 71.7%이었으며, 개선될 필요가 요구되는 부적합한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는 하위집단의 시설들이 14.5%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 어린이집들은 본 연구의 10개 평가요인들중 영양.건강.안전 요인이 질적으로 가장 우수하게 운영되고 있는 상태였다. 그러나 교재.교구 요인은 평가요인중 질적수준이 가장 낮았다. 또한 평가요인의 하위변인중 교재.교구의 다양성 이나 실외활동 시설 및 기구의 다양성 ,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 , 평가활동 요인에서도 질적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와 영유아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재.교구의 제공, 지원과 교사들이 가정 및 지역사회를 바람직하게 활용하여 어린이집의 質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보육 프로그램의 계획, 운영 및 효과의 반영과 영유아들의 어린이집내에서의 성장, 변화에 대한 평가를 실시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어린이집의 평가요인 및 평가요인의 하위변인을 설립유형별로 비교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개로 구성된 평가요인의 설립유형별 차이의 비교에서는 운영관리 요인에서 국.공립시설과 민간시설간에, 교직원 요인에서는 국.공립시설과 직장시설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고, 나머지 8개 요인에서는 설립유형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평가요인의 하위변인의 설립유형별 차이의 비교에서는, 국.공립시설의 경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의 관리 와 시설장의 자격, 경험 및 자세 ,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 기관 안내 , 아동에 대한 평가 실시 변인에서 민간시설, 또는 직장시설에 비하여 질적수준이 우수하였다. 민간시설에서는 사회 변인에서 국.공립시설에 비하여 질적수준이 높았으며, 직장시설에서는 활동실의 공간 구성 및 배치 , 간식 및 급식 변인에서 국.공립시설 및 민간시설에 비하여 질적수준이 높았다. 반면 시설장의 자격, 경험 및 자세 와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 기관 안내 , 아동에 대한 평가 실시 에서는 국.공립시설 및 민간시설에 비하여 질적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인 질적수준과 평가요인과의 상관관계는 평가요인 모두에서 상관계수가 .70 이상으로 나타나 평가요인 모두 어린이집의 질적수준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 과 영양.건강.안전 요인에서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아 어린이집들이 교육과정과 영유아들의 영양.건강.안전 관리를 중요시하며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위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영양.건강.안전 요인의 하위변인인 안전관리 , 건강 및 질병지도 , 활동실의 구성 및 배치 요인에서 전체적인 질적수준과 상관이 매우 높았다. 어린이집의 전체적인 질적수준과 상관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보육시설이 시설의 운영에 대한 기본방침을 세우고 있으며, 이를 일관성있게 실행한다 의 문항으로 전체적인 질적수준이 높았던 어린이집들의 보육교사들이 시설운영에 대한 기본방침을 설정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quality of Korean child care centers, and at the same time to ascertain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in qua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establish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lso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quality-assessment factors and sub-factors. The subjects treat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1 - 1. How is the overal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1 - 2. How is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on each assessment factor? 1 - 3. How is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on each assessment sub-factor? 1 - 4. Is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changing according to their types of establishment?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d assessment factors or sub-factors? 2 - 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d assessment factors? 2 -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d assessment sub-factor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805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285 of whom were from national/public child care centers, 437 were from private child care centers and 83 were from workplace child care centers. The basic assessment scale was the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by Unhai Rhee and Kisook Lee(1996), but it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to be applied to the assessment of child care center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in 6 cities and provinces over the nation from July 1996 to August 1996. The anylizing method of materials was, first, to get an average of total points, and then to compare the percentage of the average points so as to analyze the overal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differences in quality according to 10 assessment factors and 29 sub-factor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verage points both in overall quality and in each factor according to the types of establishment,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method was used. But in the cas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post comparative analytic method(Scheff method) was used for the post-examination. Also in order to se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ir types of establishment, 2(chi-square) examination method was used. To ascert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d assessment factors or sub-factors, the Pearson 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was used. The final findings from this study on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the upper group of well-managed child care centers was only 13.8% and that of the ill-managed lower group that needs to be improved was 14.5%, while that of the partly well-managed middle group was 71.7%. 2. Among 10 assessment factors in the study, "nutrition, health, safety" factor was best managed in most child care centers in terms of quality. However, the quality in "play materials and equipments" factor was the lowest of all factors. Among the assessment sub-factors, the quality was low in such sub-factors as: "diversity in play materials and equipments", "diversity in outdoor play facilities and equipments", "correlation with homes and the community", "evalu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and that teachers should get in touch with homes and the community desirably so as to improve the quality in their centers. And it is also necessary that a new evaluating device, for the child care program planning, its management and effects and for children s growth and change in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developed. 3. The findings of comparing the assessment factors and sub-fact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establishment a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of 10 assessment factors based on the types of establisment, there were no distict statistical differences except between national/public centers and private centers in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factor and between national/public centers and workplace centers in the "staff and personnel" factor.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of 29 assessment sub-factors based on the types of establishment, national/public centers showed better quality than both private and workplace centrs, in sub-factors such as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center representative s qualification, experience, and attitude", "plan for improving the teaching staff s specialty", "publicity", and "evaluation of children". In the "social activity" sub-factor, private centers had better quality than national/public centers, while workplace centers had better quality than national/public centers in "organization and placement of indoor play space" and "meals and snack services" sub-factors. On the other hand, in such sub-factors as "center representative s qualification, experience, and attitude", "plan for improving the teaching staff s specialty", "publicity", and "evaluation of children", the quality in workplace centers was lower than that in national/public centers and private centers. 4.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d assessment factors, the relational point was higher than 0.70 in all the factors. So it could be said that all the factor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The point was especially high in "educational curriculum" and "nutrition, health, and safety" factors that we could know that most child care centers were being managed putting much stress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hildren s nutrition, health, and safe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quality and sub-factors was, also, very close, especially in "safety management", "health and illness education" and "organization and placement of indoor play space". The question which was th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was "whether the center has set a basic principle for a bette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center, and put it into practice consistently". In view of this, it could be known that in higher quality child care centers, the staff were setting and practicing a basic principle for a bette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ir cen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