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윤희-
dc.creator신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6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사회·경제적 수준과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중에서도 고령층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노년기 여성의 평균 수명이 현재 남성보다 7.1세가 더 높고 이러한 노인 성비의 격차가 점차 더 커지고 있다(보건복지부, 1995). 또한 의학이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연령증가와 비례하여 순환기계질환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이 만연하고 있고 이로 인한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강전문인들 사이에서 건강생활양식을 중심으로 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특히 노인에게 자연적으로 초래되는 노화와 성인병이 그 사람의 생활양식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생활양식 중에서도 연령이 증가하면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이 운동양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자가간호로 걷기운동 프로그램을 노년기 여성에게 적용하여 신체적 기능과 정서상태의 향상으로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시도되었다. 이는 사망 원인의 수위를 차지하면서도 현대 의학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순환기계질환의 유발을 예방하고, 노화와 더불어 점차 감퇴되는 유연성을 최대한 방지하여 가능한 한 독립적인 삶을 연장하며, 다방면의 기능저하로 인해 저조해진 노년기 여성의 기분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Orem(1985)의 자가간호 결손이론, Cox(1982)의 대상자 건강행위의 상호작용 모델, Pender(1987)의 건강증진모델, 그리고 이 이론들의 구성요소를 통합하여 Simmons(1990)가 제안한 건강증진 자가간호 체계모델(the Health- Promoting Self-Care System Model)에서 도출되었다. 연구설계는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며, 독립변수는 걷기운동 프로그램이고 종속변수는 심폐기능, 유연성, 정서상태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K시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75세 이하의 재가 노년기 여성으로 8주간의 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14명과 대조군 13명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인 걷기운동 프로그램은 노인 16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운동형태가 결정되었다. 운동강도는 목표 심박수를 구하는 카보넨 공식에 따라 40-60%의 강도로 처방하였고, 운동을 하는 동안 심장박동 모니터(Heart Rate Monitor)로 운동강도를 유지하였다. 또한 1회 운동 지속시간은 50분에서 60분까지, 운동빈도는 주당 3회로 하였다. 1회 운동은 5분의 준비운동, 40∼50분의 본운동, 5분의 정리운동으로 1996년 4월 15일부터 6월 7일까지 8주 동안 K시에 위치한 340m 트랙이 있는 중앙공원에서 실시하였다. 걷기운동 프로그램으로 향상된 건강증진의 결과에서 심폐기능은 최대산소섭취량, 안정시 심박수, 안정시 이완기 혈압과 수축기 혈압, 최대노력폐활량, 초시노력호기량을 측정하여 확인하였고, 유연성은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sit-and-reach test)로 측정하였으며, 정서상태는 McNair 등(1992)의 POMS(Profile of Mood States)를 한국 노인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연구자가 수정하여 타당화시킨 도구(신윤희, 1996)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연구 목적에 따라 -test와 t-test, 공분산분석(ANCOVA), paired t-test와 추세분석(trend analysis), Kruskal-Wallis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 걷기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폐기능이 향상될 것이다. 를 확인하기 위해 운동 전의 심폐기능을 공변수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최대산소섭취량(F=18.24, p=0.0003), 최대노력폐활량(F=4.35, p=0.0478)은 증가하고, 안정시 심박수(F=7.66, p=0.0107), 이완기 혈압(F=4.64, p=0.0415), 수축기 혈압(F=7.70, p=0.0105)은 감소하여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초시노력호기량은 실험군이 대조군의 평균보다 운동 후에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므로(F=0.18, p=0.6772),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가설 2 : 걷기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유연성이 향상될 것이다. 를 확인하기 위해 운동 전의 유연성을 공변수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연성의 평균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서(F=18.43, p=0.0003), 가설 2는 지지되었다. 가설 3 : 걷기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서상태가 향상될 것이다. 를 확인하기 위해 운동 전의 정서상태를 공변수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전체적인 정서상태가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9.49, p=0.0002). 정서상태의 변화를 3개의 요인별로 살펴보았을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불안­우울(F=13.19, p=0.0013), 활력(F=50.09, p=0.0001)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실험군의 분노감이 대조군의 분노감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아서(F=1.78, p=0.1942),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가설 4 : 실험군에서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연성은 운동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될 것이다. 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군의 운동 전, 운동 4주 후, 운동 8주 후에 측정한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연성을 paired t-test와 추세분석을 하였다. 운동 전과 운동 4주 후, 운동 4주 후와 운동 8주 후의 값을 각각 paired t-test한 결과는 운동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t=4.20, p=0.0010과 t=2.62, p=0.0211) 및 유연성(t=3.06, p=0.0092과 t=4.99, p=0.0002)이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가설 4는 지지되었다. 또한 추세분석 결과, 운동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은 일차 함수적인 증가 추세를 보인다고 할 수 있으나(F=4.78, p=0.0348), 유연성은 일차 함수적인 증가 추세를 통계적으로 증명할 수 없었다(F=2.46, p=0.1251). 가설 5 :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연성의 변화정도에 따라 정서상태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를 확인하기 위해 Kruskal-Wallis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상태의 변화는 최대산소섭취량(=9.3250, p=0.0094)과 유연성(=13.514, p=0.0012)의 변화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5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가 간호에 미치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인 연구자가 노년기 여성에게 운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므로써 운동의 가치를 자각하도록 지지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고 증진하기 위한 자가간호로 걷기운동을 규칙적으로 행하도록 지도하였을 때, 신체적·심리적 건강이 향상되는 건강증진의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 과는 Simmons(1990)의 건강증진 자가간호 체계모델이 확고하게 정립되고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노인 운동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주로 인위적인 실험실 환경에서 검증된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와 같은 자연적인 환경에서 실시한 걷기운동을 통해서도 충분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연구에서 보다 실제적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운동요법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셋째, Dawe와 Curran-Smith(1994)가 지적하였듯이 노인운동을 포함한 운동요법의 장벽은 간호교육의 문제에도 일부 책임이 있다. 관절가동범위 운동과 같은 기본적인 활동을 통해 대상자를 돕고 그들 스스로 운동을 수행하도록 가르치는 것이 대부분의 간호와 기본 간호 교과서에 기본적인 간호술로서 교육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이 침상목욕, 신체역학 등과 관련하여 수업시간에 교육되고 있지만 이러한 기술이 임상 영역에서 제대로 연결되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즉 간호사들이 운동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독자적인 간호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교육에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운동의 필요성을 비롯한 운동요법에 대한 제반 사항을 폭넓게 교육하여 간호사가 운동요법을 독자적인 간호로서 보다 더 쉽게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운동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그 건강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며,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는 건강문제가 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 큰 후유증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간호행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호실무에서 간호사가 운동을 간호행위로서 충분히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임상 간호사나 지역사회 간호사 모두 운동요법을 지식으로 배우고 기술로 익혀서 독자적인 간호행위로 활용해 나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Recently, the ratio of elderly population are fastly growing due to socio­economical development and the better medical service. As the average life-span of Korean elder becomes longer, the proportion of older elder is increasing. The average life-span of elderly women is 76.6 and that of elderly men is 69.5 in 1995, and so the proportion of elderly women is increasing. In spite of advances of medical service, the health problems including circulating system disease in elderly are increasing in proportion to aging. Therefore, many medical professionals are interested in health promoting program based on health life style - in particular, exercise. In this thesis,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the flexibility, and emotional state(mood) in the elderly women was evaluated. Through the walking exercise program, the prevention of circulating system disease and the improvement of flexibility and mood will contribute to the independent and better life of elderly women. The conceptual framework used in this thesis is derived from Health-Promoting Self-Care System Model (Simmons, 1990), which integrates the Self-Care Deficit Nursing Theory (Orem, 1985), the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Cox, 1982), and the Health Promotion Model (Pender, 1987). The design of research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is walking exercise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physical function(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flexibility) and emotional state(mood). The subjects was 14 elderly women in experimental group and 13 in control group, all of whom are 60∼75 years old and live in K-city, Kyonggi-do. The type of exercise was walking in outdoors, which was the most popular exercise in questionnaire of 165 elderly persons. The exercise intensity was 40%∼60% of the target heart-rate by Karvonen s method and maintained by the heart-rate monitor. The exercise period was eight weeks from April 15 to June 7, 1996 and the exercise frequency was three times per week. The exercise duration was fifty minutes at first and gradually increased up to an hour.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are evaluated as follows.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was measured by VO2max, resting heart-rate, systolic/diastolic blood pressure, forced vital capacity(FVC), forced expiratory volume per 1 second(FEV1), and the flexibility was measured by sit-and reach test. The emotional state was evaluated by the POMS(Profile of Mood States) which is modified by us for Korean elderly women. The data are analyzed by the -test, t-test,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paired t-test, trend analysis, and Kruskal-Wallis one­way ANOVA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research using SA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cardiorespiratory function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improved than control group was partly supported by ANCOVA with covariate pre-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VO2max(F=18.24, p=0.0003), resting heart- rate(F=7.66, p=0.0107), systolic blood-pressure(F=4.64, p=0.0415), diastolic blood-pressure(F=7.70, p=0.0105), FVC(F=4.35, p=0.047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EV1 of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F=0.18, F=0.6772). 2) The hypothesis that the flexi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improved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y ANCOVA with covariate pre-flexibility (F=18.43, p=0.0003). 3) The hypothesis that the emotional stat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improved than control group was partly supported by ANCOVA with covariate pre­emotional state(mood) score. In anxiety­depression(F=13.19, p=0013) and vigor(F=50.59, p=0.000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ngor(F=1.78, p=0.1942),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hypothesis that the VO2max, flexi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improved as the exercise period is elapsed was supported by paired t-test. As the result of paired t-test for 0∼4 week period, 4∼8 week perio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O2max(t=4.20, p=0.0010 and t=2.62, p=0.0211) and flexibility(t=3.06, p=0.0092 and t=4.99, p=0.0002). In trend analysis, VO2max shows significant linearly increasing trend(F=4.78, p=0.0348), but the flexibility does not show significant linearly increasing trend(F=2.46, p=0.1251). 5)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the difference in the variation of emotional state(moo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VO2max and flexibility was supported by Kruskal-Wallis one­way ANOVA.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O2max(=9.3250, p=0.0094) and flexibility(=13.514, p=0.0012). In this thesis, we verified partly Simmon s Health­Promotion Self­Care System Model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s in this nursing theory.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in outdoor was evaluated and the result suggests practical and easy exercise applicable to nursing research. The importance and details of exercise program need to be educated to nursing students. Clinical and public nurses need to use this exercise program as an independent nursing behavior. As the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in other subjects and evaluate the continuance and compliance of exercise. We also need to try meta­analysis abou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btained in the experimental setting and compare our result obtained in the outdoor setting with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ⅷ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연구가설 -------------------------------------------------------- 5 D. 용어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8 A. 건강증진을 위한 자가간호와 간호체계 ----------------------------- 8 B. 걷기운동 프로그램 ----------------------------------------------- 11 C. 운동이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 18 1. 운동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 -------------------------------------- 18 2. 운동이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20 3. 운동이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28 4. 운동이 정서상태에 미치는 영향 ---------------------------------- 31 5. 운동에 따른 신체적 기능의 향상이 정서상태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 36 D. 개념적 기틀 ----------------------------------------------------- 39 III. 연구방법 ------------------------------------------------------- 40 A. 연구설계 -------------------------------------------------------- 40 B. 연구대상 -------------------------------------------------------- 41 1. 연구대상자 선정기준 -------------------------------------------- 41 2. 연구대상자 표집방법 -------------------------------------------- 42 C. 실험처치 -------------------------------------------------------- 44 1. 걷기운동 프로그램 ---------------------------------------------- 44 2. 걷기운동 프로그램의 진행과정 ----------------------------------- 48 3. 걷기운동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측정 --------------------------- 53 D. 자료분석방법 ---------------------------------------------------- 57 IV. 연구결과 -------------------------------------------------------- 58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 58 B. 걷기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61 V. 논의 ------------------------------------------------------------- 77 A. 걷기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77 1.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 77 2.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 82 3.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 83 4. 운동 전, 후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연성의 변화정도에 따른 정서상태의 변화 ------------------------------------------------ 86 B. 간호학적 의의 --------------------------------------------------- 88 C. 연구의 제한점 --------------------------------------------------- 89 VI. 결론 및 제언 ---------------------------------------------------- 91 참고문헌 ------------------------------------------------------------ 95 부 록 -------------------------------------------------------------109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990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걷기운동 프로그램이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기능과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