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임부의 건강신념과 산전간호 이행의 관계 연구

Title
임부의 건강신념과 산전간호 이행의 관계 연구
Authors
이미라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임신은 정상생리과정이지만, 임부에게 신체, 정신, 정서,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발달상의 위기로 고려된다. 이러한 위기에 긍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임부는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인간의 행위는 인지에 의해 결정되므로(Shaw and Costanzo 1982, p.15) 임부가 임신중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산전간호를 어느 정도 이행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임신변화에 대한 임부의 반응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임신변화에 대한 임부의 반응인 건강신념과 산전간호 이행의 관계 및 산전간호 이행을 설명하는 건강신념의 내용을 규명한다면, 임부의 산전간호 이행을 예측하고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건강에 대한 개인의 인지와 건강행위 이행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으로써 산전간호 이행을 설명할 수 있는가를 검정해 보고, 임부의 건강신념변수와 산전간호 이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산전간호 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내용과 제공시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내에 거주하는 합병증이 없는 임부로서(이하 연구군이라 함), 임신초기, 중기, 말기 등 3차에 걸쳐 질문지에 응답해 주었다. 연구군이 동일한 내용의 질문지에 3번 응답하게 되므로 임신중기와 임신말기 측정결과에 대한 반복측정의 영향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대조A군(중기대조군)과 대조B군(말기대조군)을 선정하여, 연구군에게 실시한 것과 동일한 내용의 질문지에 응답하게 한 후, 연구군의 자료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건강에 대한 관심, 참고인의 지지, 산전간호 이행도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관계문헌의 고찰에 근거하여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다. 연구도구의 내용타당도는 간호학 교수 5인에 의해 검토되었고, 신뢰도는 연구군 초기 측정자료의 Cronbach’s α로써 검정되었다. 연구자료는 3차에 걸쳐 수집되었는데 연구군의 임신초기 자료와 대조군의 자료는 1984년 5월 1일∼31일에, 임신중기 자료는 7월 1일∼31일에, 임신말기 자료는 9월 20일∼10월 5일에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건강신념모형으로써 산전간호 이행을 설명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산전간호 이행과 건강신념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Pearson 적율상관관계로 검정하였다. 연구군의 임신중기와 임신말기 측정결과에 대한 반복측정의 영향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건강신념 변수와 산전간호 이행에 대한 연구군과 대조군의 측정치를 t-검정으로 비교하였으며, 연구군과 대조군의 인구학적 변수의 유사성을 X₂검정으로 규명하였다. Pearson 적율상관관계에 의한 분석결과, 산전간호 이행과 유의한 관계를 가진 건강신념 변수를 산전간호 이행에 대해 단계적으로 중회귀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산전간호 이행의 주요 설명변수를 규명하고, 주요 설명변수들이 산전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을 로정분석으로 규명하였다. 추가검정으로서, 인구학적 변수가 건강신념 변수 및 산전간호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변량분석과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임신기간의 경과에 따라 건강신념 변수와 산전간호 이행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변량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전간호 이행에 대한 건강신념모형 검정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건강에 대한 관심, 참고인의 지지 등 건강신념 변수와 산전간호 이해 간의 상관간계 분석결과, 임신 초기, 중기, 말기에 걸쳐 민감성 이외의 건강신념 변수가 모두 산전간호 이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심각성, 유익성, 건강에 대한 관심, 참고인의 지지가 높을수록, 장애성이 낮을수록 산전간호 이행도가 높았다. 산전간호 이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건강신념 변수를 산전간호 이행에 대해 단계적으로 중회귀 분석을 시도한 결과, 임신초기, 중기, 말기에서 모두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이 산전간호 이행의 주요 설명변수로 규명되었으며, 두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임신초기에 34.69%, 임신중기에 38.26%, 임신말기에 51.60%이었다. 따라서 산전간호 이행은 건강신념모형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하겠다. 건강신념 변수 가운데, 산전간호 이행의 주요설명변수로 규명된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 및 산전간호 이행 간의 영향의 방향은 참고인의 지지가 유익성에 영향을 줌과 동시에,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이 각각 산전간호 이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2. 산전간호 이행과 건강신념 변수의 변화 양상 산전간호 이행 및 건강신념 변수의 측정치는 변량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산전간호 이행과 건강신념 변수는 임신기간동안 변화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3. 건강신념과 산전간호 이행에 영향을 미친 제 변수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 인구학적변수 가운데, 산전간호 이행과 건강신념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연령과 교육 수준이었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민감성이 높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산전간호 이행도가 높았다. 산전간호 이행의 주요 설명변수인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에 영향을 준 인구학적변수는 임신 및 분만경험으로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은 초임부에게서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간호업무에 적용시킬 수 잇다. 산전간호 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는 저학력임부와 경산부에게 더 필요하며, 임신 전기간, 즉 초기, 중기, 말기에 걸쳐 요구된다. 그리고 간호중재의 내용은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을 증진시키는 측면의 것으로 구성, 조직되어야 함을 시사행 준다고 본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 사항을 제언한다. 1. 예방적 건강행위의 이행을 설명하기 위하여 건강신념모형을 사용할 때에는 참고인의 지지와 같은 예방적 건강행위의 유익성을 지각하게 하는 변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산전간호 이행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임신 초부터 분만까지의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임부의 건강신념과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건강결과에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지각된 민감성과 산전간호 이행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한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 5.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효과에 대한 유사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 Pregnancy is a normal, physiological process, but is often regarded as one of crises because it brings on many changes in a pregnant woman physically, mentally, emotionally and socially. So pregnant women must try to keep and promote their well - being in order to cope positively with this crisis. Human behavior is said to be determined by one’s perception, and it can be said that performance o antenatal care by a pregnant woman is influenced by her health beliefs. Therefore, if nurses could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en’s health beliefs and their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predictor variables of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health beliefs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it would be helpful in predicting and increasing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by pregnant women. There is a theory called Health Belief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 and antenatal care is a kind of health behavior. So this study was made to test whether the Health Belief Model could explai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to discover the area(s) of need, and to plan and implement nursing intervention in such a way as to increase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This study is also concerned with the best timing for this nursing intervention in order to bring about most effective motivation of pregnant women. Subjects were normal pregnant women in the Seoul area. Data was obtained three times during their pregnancy, i.e., first, second and third trimester. Data of control groups was obtained to exclude the testing effects because the study group was exposed to the same measuring instrument three times.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made by the author on the basis of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Content validity of there instruments was tested by five professors majoring in nursing and reliability by calculation of Cronbach’s α with data of the first trimester measurment. Data was analy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belief variables was analyzed by th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testing effect on the results of the study group, data of the study group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s by t-test, and comparison of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tudy group with that of control groups was done by X₂-test. Predictor variables of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was identifi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he path among the health belief variables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was analyzed by path analysis. As an additional analysi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on health belief variables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was analyzed by ANOVA and t-test. The changing patterns of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belief variables were analyzed by ANOVA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est of health belief model o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imester measurement, the hypotheses that the higher severity, benefit, concerns on health and support rises, the higher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will be increased were supported. Support and benefit were revealed as predictor variables of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support and benefit could explai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34.69% in the first trimester, 38.26% in the second trimester, 51.60% in the third trimester. So Health Belief Model was thought to be able to explai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Support and benefit had influencing effects o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support on benefit. 2. Analysis of the changing patterns of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belief variables: Perceptions o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belief variables could be said not to change during pregnancy. 3.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on health belief variables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belief variables, age and level of education were revealed as the influencing variables of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belief variables. With advancing ages, perceived susceptibility rose, and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rose, the more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was done. The predictor variables,i.e., support and benefit, were influenced by parity; and support and benefit of primigravida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multigravida group.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nursing practice in this manner: 1. Pregnant women who are multipara and have lower educational levels need more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than other pregnant women. 2.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is needed throughout the period of pregnancy. 3. Contents concerning support and benefit should be included in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Sugge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s follows: 1. If one wants to use Health Belief Model to explain preventive health behavior, one would do better to include a motivational variable, such as support. 2. The longitudinal study from the beginning of pregnancy until delivery is needed to find the changing patterns of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belief variables. 3. A study a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and objective health outcome is needed. 4. A stud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is needed. 5. A study to find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of increasing the perception of support and benefit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