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uthors
엄선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working Korean mothers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lessons for children i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nowadays, children’s development speed is so fast due to the rapid progesses in medical and ecomonic situations. These factors may have an influence on either parenting stress or children’s daily stress to an extent.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daily stress by investigat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ither mother’s parenting stress or children’s daily stress from the viewpoints of several factors such as mother’s working, children’s extracurricular lesson, age, and sex.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presents three questions as follows : 1. Does mother’s parenting stress differ according to children’s age, sex, mother’s working, children’s extracurricular lesson ? 2. Does children’s daily stress differ according to children’s age, sex, mother’s working, children’s extracurricular lesson ?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children’s age, sex, mother’s working, children’s extracurricular lesson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144 children at the age of 4-5 who go to a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ir mothers. PSI/SF(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resented by Abidin (1990) is employed as a questionnaire for mothers while KPDSS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provided by Hyun-Kyung Youm (1998) is adopted as a qestionaire for children. Through SPSS, statistic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score for the daily stress of the children at the ages of 4-5 is 21.6. The score seems to be higher in cases that the children are male, that their mothers have a career, and that the children are male, that their mothers have a career, and that the children have extracurricular lessons. However,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children’s ages. (2) The average score for mother’s parenting stress is 77.7. The score seems to be higher in cases that the children are younger, that the children are male, and that their mother have a career. However,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extracurricular lessons. (3)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daily stress. The correlation becomes higher in cases that the children are male and under 5, that their mothers have a job, and that they do not have extracurricular lessons. ;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직업을 갖는 어머니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으로는 지나친 교육열 때문에 부모들이 유아들에게 제공하는 학원·학습지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의학과 경제의 발전으로 유아의 발달 정도가 과거와는 비교할 수도 없을 정도로 빠르다. 이러한 현상들은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나 유아들의 일상적인 스트레스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몇가지 변인들-어머니의 직업 유무, 유아의 학원·학습지, 유아의 연령과 성별-의 측면에서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유아의 연령, 유아의 성별, 어머니의 직업 유무, 유아의 학원·학습지 이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연령, 유아의 성별, 어머니의 직업 유무, 유아의 학원·학습지 이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아의 연령, 유아의 성별, 어머니의 직업 유무, 유아의 학원·학습지 이용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사립 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의 유아 144명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유아용 연구도구로는 한국실정에 맞게 개발된 염현경(1998)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KPDSS)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용 연구도구로는 잘 알려진 Abidin(1990)의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를 사용하였다.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아진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 t-검증, Pearsorl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만 4세, 5세 유아들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평균점수는 21.55점이며, 남아의 경우에, 어머니가 직업을 가진 유아일 때, 학원·학습지를 하고 있는 유아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우리나라 어머니들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는 평균점수는 77.70점이며, 유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남아일 때, 어머니가 직업을 가진 경우에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학원·학습지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변인으로 분류한 각각의 결과들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만 5세의 경우, 남아의 경우, 취업모의 경우, 학원·학습지를 하지 않는 경우의 상관계수가 좀 더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