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소정-
dc.creator장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73-
dc.description.abstract새 천년 문명사적 대 전환기인 요즘 우리는 패러다임(Paradigm)이란 용어를 대중매체나 문학, 예술 등에서 흔히 접하고 있다. 그 중 패러디(Parody)는 주제적, 형식적 구조화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양상을 띠는 것으로, 우리시대 텍스트의 자아반영(Sellf-Reflexivity)으로 나타나는 흔한 형식들 가운데 하나이며 창조와 재창조, 창작과 비평의 교차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패러디 기법은 문학에서부터 시작하여 음악, 무용, 미술, 건축, 연극, 영화, 광고 등 여러 예술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 속에 발레 또한 20C를 걸쳐 21C에 들어오면서 더욱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여 새로운 표현주의와 기법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현대 무용의 도전으로 다소 위축되었던 고전 발레는 그 생명의 연장과 존속의 차원에서 지금까지의 경직되고 고착화된 형식을 깨뜨리고 재해석하여 새로운 발레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또한 현대의 발레는 나름대로의 장르의 구분을 없애고 음악, 문학, 미술이 혼합된 총체적 종합 발레를 지향하며 재즈와 민속 춤, 발레의 혼용 및 현대 무용과의 구분이 불가능한 새로운 춤이 탄생되는 흐름을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부응하여 매튜 본(Matthew Bourne)의 「백조의 호수」를 중심으로 현대 발레의 패러디 성향을 살펴봄으로써 21세기 발레의 독창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안무방향을 설정하고 다양한 소재의 선택과 안무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백조의 호수」는 여러 고전발레 작품들 중에서 가장 많은 안무가들에 의해 개작되고 재해석되어 오고 있다. 그 가운데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는 가장 최근작이면서 동시에 패러디에서 필수적인 원텍스트와 그 흔적을 가지고 있으며, 패러디 텍스트간의 대화적 문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국 왕실을 배경으로 극중 인물의 외면 세계와 내면적 갈등을 표현함으로써 현시대의 반영과 비판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고전 발레의 형식과 기법을 파괴하고 여러 가지의 무용언어를 사용함으로써 표현의 극대화를 가져왔다. 셋째, 고전 발레가 가지는 성 정체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였다. 이상과 같은 현대발레의 패러디 성향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복잡한 현실과 소재 선택의 자유와 현실 직시를 위한 적극적인 의지 표현임을 알 수 있고, 이는 과거 원전(原典)에 대한 모방 차원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새롭게 재창조함으로써 비평과 평가의 의미까지 함축하고 있다. ; Nowadays, at a transitional point of time in a new millennium and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we often hear of the word "paradigm" around TV, mass media, literature, and art. Among words that we frequently hear, "parody" is probably the word that consist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the theme and form constructions and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representing the self-reflexivity in the texts of our time while characteristically crossing over creation and re creation or creation and criticism. Parody is a technique that is now being actively used in the various fields of art such as literature, music, dance, fine art, architecture, drama, film, and advertisement, and concern and study about it are growing everyday. Ballet which had undergone a lot of changes through many centuries introduced new expressionistic ideas and techniques through repeated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he 20th C. In particular, classical ballet somehow shrunken from modern dance has opened a new era of ballet by breaking down and reinterpreting rigid and fixed forms in its will to subsist and maintain its life. Meanwhile, modern ballet is now in the pursuit of integrative, composite ballet genre comprising music, literature, and fine art and facing the outpour of a new ballet genre in which all the elements of jazz, folk dance and ballet are mixed in one and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existing genres is im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proper approaches to various subject matters and choreography itself by investigating the parodic tendencies in modern ballet mainly around "The Swan Lake" choreographed by Matthew Bourne to meet the demands and streams of the times. "The Swan Lake" is the work of classical ballet that has been most frequently adapted and reinterpreted by numerous choreographers, and Matthew Bourne s adaption is the latest that still holds the essentials and moods of the original text despite of its parodic character and has interactive context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parody text. As a result of analyzing Matthew Bourne s "Swan Lake", a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the work created a new meaning of dance as a reflection and a criticism of modern times with expressing the complications between the characters` inside and outside setting the Royal family of the United Kingdom. Second, expressional maximization was brought through destruction of classical ballet forms/ techniques and use of various dance languages. Third, the work transcended the limited gender identity in classical ballet. As seen above, the parodic tendencies in modern ballet reflect ballet artists positive will to choose subject matter freely and face up to the complicated realities of today. This implies that modern ballet does not merely imitate original works but expand its sphere into criticism and evaluation by re-creating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2 II. 이론적 배경 = 4 A. 패러디의 개념 및 조건과 유형 = 4 B. 현대발레의 흐름과 패러디 양상 = 16 III. 원텍스트의 「백조의 호수」 = 22 A. 「백조의 호수」의 형성 과정 = 22 B. 플롯상의 변화 = 28 C. 매튜 본의 예술성향 = 34 IV.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에 나타난 패러디 분석 = 38 A. 주제 및 소재와 인물성격 = 38 B. 형식과 무대연출 = 49 C. 성 정체성의 접근 = 69 V. 결론 = 76 참고문헌 = 78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08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발레에서 나타난 패러디 성향 연구 :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