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교회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Title
교회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Despite of increased consciousness on the need of soci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the church as a religious agency has been negligent in playing given roles. Korean church concentrated most of their energy to popularization of individual church and its quantitative growth. As a consequence imbalance appeared between the former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 chu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sent status and problems with social education program and to seek measures for improving social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church. To achive these of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abilities distributed to people in charge of practical aspect of social education for the churches in Seoul area and result by analysing outcome of such survey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frequently the church ministers in charge are decision-makers of program for social education under operation by the church for this reason high proportion of religious education is incorporated into such program. Additionally programs targeted for general public were not developed furthermore since such programs targetted for elderly people alone wherefore programs for housewives and middle-age or advanced-age group should be more revitalized. At this juncture ushering in age of life time education the church should implement social education program responsive to demand of the community and should give forth education suitable to aim of social education, namely social service. Second, result of survey showed that the smaller the scale of the church is the heavier the burden of such education is on the part of participants thus financial difficulty of the church was revealed. Furthermore when the scale of church was small demand for expanding facility or budget was higher thus showing the difference among churches. Hence for churches planning for implementing social program to supply more diverse social education program more effort should be exerted and this is more important than compiling joint programs or overlapping programs by churches. Accordingly as a measure for overcoming difficulties related to its scale or its financial adversity coalition of the church should be sought. Searching for coalition to develop inter-church social education program would not only contribute to activities for creating culture in community but also serve the cause of awakening civil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Third, survey conducted on the status of possessing qualification certificates for the people responsible in said field and it was revealed that frequently people without such qualification were in overall charge of the social education. In case of people without qualification related to social education but in charge of the said education there is a strong need for assigning personnel exclusively charged for so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social education of the church. Accordingly for the church to cultivate program not for religious purpose but from the dimension of ideology of social education du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quality of the people in charge of the education. It is because people responsible for actual affairs but with no background in education would be underdeveloped in their educational mentality and effect of systematic education in terms of operation would be also difficult. Furthermore people in charge of said social education but without related qualification frequently ignorant of post-educational evaluation and even when they have qualification related to social education they failed have accurate evaluation of educational effect attributable to lack of evaluational system.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directive for evaluation enabling identifying post-educational effect and systematic directive for making educational evaluation assist implementing new education. Fourth, lack of cooperation from family or workplace and improper hours of education were quoted as reasons for people s giving up education before completion. Since social education of the church is identical to that of the society in general in nature therefore class hours should be programmed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o get cooperation from their family not only the participants effort but also church s endeavor is also required. It is because if social education tailored to the need of daily living could be implemented then cooperation of family will be forthcoming thus if only religious education is offered then securing support from different walks of life will be difficult. Consequently for adult participants who have not sufficient time available for learning soci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during week-ends or in evening hours. ; 현대 사회에서 사회교육의 필요성이 점점 크게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교기관으로서의 교회는 사회교육 활동에 비교적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교회는 개교회의 대중화와 양적 성장에는 온갖 힘을 기울여 왔으나, 사회봉사 활동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 교회의 질적인 성숙과는 불균형을 이루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회가 사회봉사적인 측면과 종교적인 측면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교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소재 교회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실무책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에서 운영하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결정자는 담당 교역자인 경우가 많으며 프로그램에서도 종교교육을 실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중심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주부층이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질 필요가 있다. 평생교육의 시대를 맞이하여 앞으로 교회는 사회봉사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교회의 규모가 작은 경우 학습자들의 비용 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되어 교회의 재정적 규모에 따라 제공하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회의 재정적 지원이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회의 규모가 작을 경우, 개선 방안으로 시설이나 예산의 확충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기초해 볼 때, 작은 규모의 교회들은 같은 지역내의 교회와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로 겹치는 프로그램보다는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지역 공동체 내의 교회간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연대 모색은 사회교육 활성화에 기여하여 지역의 문화 창조 활동 뿐 아니라 지역 주민의 시민의식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회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실무책임자들의 자격증 여부를 알아본 결과, 사회교육관련 자격증 없이 사회교육을 총괄하는 경우가 많았다. 자격증이 없는 이들 교육책임자들의 경우 교회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전담요원이 배치되어야 할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공감하였다. 교회가 종교적 목적만이 아닌 사회교육 이념의 차원에서 프로그램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자격 여부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교육과 관련이 없는 실무책임자의 경우 교육적 사고가 발달되지 못할 뿐 아니라 운영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자격증이 없는 교육 책임자는 교육 후 평가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격증이 있다하더라도 정확한 평가 체계가 없기 때문에 교육의 효과를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하고 있었다. 앞으로 교육실시 후 교육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평가 체제의 개발이 필요하며, 더불어 교육의 평가가 새로운 교육을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교회에서 실시하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교육 중도 포기 요인으로 가족이나 직장내 협조 부족과 교육 시간의 부적절성이 제기되었다. 교회의 사회교육도 일반 사회에서 실시하는 사회교육과 다름이 없기 때문에 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제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가족의 협조를 얻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노력 뿐 아니라 교회의 노력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종교적인 교육과 함께 실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가족의 협조가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의 시간이 부족한 성인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주말이나 저녁 시간을 이용하여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