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혜정-
dc.creator정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4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76-
dc.description.abstract1960년대 말 이후 서구사회는 후기 자본주의 경제 구조로 전환되면서 소비사회로 접어들었고, 소비 사회에서의 일상 생활은 대중 매체를 통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무수한 이미지들로 에워싸이게 되었다. 이 시기의 특징은 엄청나게 풍요롭고 복합적이며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동시에 공존했으며, 디자인도 점점 다양화되어 갔고 디자이너들은 대중의 필요에 직접 대응하여 새로운 대중의 기호를 반영한 여러가지 소비 제품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의해 메말라가는 즉, 인간성과 기계 문명에 의한 인간의 정서적 중압감으로 부터 인간이 희구하는 본연의 꿈과 희망, 동경심에 우상적 표현을 가미한 캐릭터 상품이 대두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비 시장의 변화와는 달리 현재 대부분에 캐릭터 상품의 판매 환경은 다른 종류의 업태와 차별 없이 계획되어져 있으며 소비자의 욕구나 소비 성향과는 무관하게 막연한 느낌에만 의존하거나 적절치 못한 기준이나 계획의 미비로 효율적인 공간 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릭터 상품의 특성에 따른 공간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총체적이고 통일된 매장 이미지를 전달함과 동시에 단일 매장으로써의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연구의 전개 과정은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각종 서적과 참고 문헌을 통해 캐릭터 상품의 특성 및 수요 발생 배경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제 3장에서는 기존 캐릭터 전문점의 국내, 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캐릭터 전문 매장의 공간 구성 요소를 추출한다. 제 4장에서는 이상의 이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캐릭터 전문 매장의 실내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매장 계획에 있어 초기 단계에서 부터 이해되어야만 외관에서부터 내부에 이르기까지 상품을 부각시켜 준다. - 매장의 이미지 창출을 위하여 매장의 성격 및 상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이미지화하여 개념을 설정하므로서 타브랜드와 차별화 시켜준다. - 매장은 상품에 일방적인 전달이 아니라 고객과 매장의 관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이다. - 매장의 시각적 질서화가 형성되면 그 효과는 고객에게 심리적 쾌적감과 사회, 문화 환경에 조성을 담당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 Western society since late 1960s turned into consumer society in the post capitalism structure, and daily life in consumer society became surrounded by countless images continuously produced through the mass media. The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is that tremendously affluent, complex and various ideas coexisted and design also became more diversified, and designers starterd to make different consumer products reflecting a new public s taste, directiy facing the need of the public. By this periodic change, character goods adding human natural dream and desire escaping their emotional burden by humanity and mechanic civilization, and idol expression became to appear. A part from this change of consumer market, the sale environment of most character products now has been planned not differently from other kind of businesses, and it depends merely on unsystematic predictions or does not make effective space plan with improper standard or lack of planning.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haracter product as a single shop as well as the delivery of uniformed shop image by analyzing spac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products.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is, The first chapter suggests the purpos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makes theoretical suggestion on the characteristic of character products and the background of supply occurrence through various books and reference literature, and pursues basic understanding. The third chapter extracts the space components of character shop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se of the existing character shops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fourth chapter suggests the interior design of paractical character shop based on the theory and analysis written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orough understanding from the early stage in planning shop can emboss products from inside to outside. - By grasping the character of shop and the characteristic of products for image marking of shop, and establishing concept based on this image, we can make our products differentiated from others. - Shop not only delivers directly products but also is a place of communication for the activ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shop. - The improvement of visual order in shop play a role of giving pleasant feeling to consumers and structuring social, cutural enviro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1장. 서 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범위 = 2 2장. 캐릭터 상품의 특성 및 수요 발생 배경 = 4 2.1 캐릭터 상품의 특성 및 유형 = 4 2.1.1 캐릭터 상품의 특성 = 4 2.1.2 캐릭터 상품의 유형 = 6 2.2 캐릭터 상품의 수요 발생 배경 = 19 2.2.1 대중 문화 = 20 2.2.2 소비 문화 = 22 3장. 캐릭터 전문점 사례 조사 및 공간 구성 요소 = 26 3.1 캐릭터 전문점 사례 분석 = 26 3.1.1 사례 조사 = 27 3.1.2 종합 분석 = 44 3.2 캐릭터 전문점의 공간 구성 요소 = 45 3.2.1 공간 구성 요소 = 45 3.2.2 점두 구성 요소 = 45 3.2.3 점내 연출 요소 = 47 3.2.4 시각 연출 구성 요소 = 53 4장. 캐릭터 전문 매장 실내 디자인 계획 = 56 4.1 계획의 개요 = 56 4.2 계획의 조건 = 57 4.2.1 대상 브랜드 분석 = 57 4.2.2 대상 고객 분석 = 57 4.2.3 대상 상품 분석 = 61 4.3 계획의 전개 = 63 4.3.1 디자인 전개 = 63 4.3.2 조닝 및 동선 계획 = 63 4.3.3 평면 계획 = 64 4.3.4 입면 계획 = 67 4.3.5 천장 계획 = 67 4.3.6 요소 계획 = 67 5장. 결론 = 82 참고문헌 = 83 영문초록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473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캐릭터 상품 전문매장의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 E사의 티니위니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제품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제품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