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민-
dc.creator윤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6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668-
dc.description.abstractIn polychaete yolk precusor protein is accumulated in yolk granules after being transported stage-specifically into oocytes by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in which heterotrimeric GTP-binding protein(G-protein) is involved during oogenesis. To show the localization of G-proteins in oocytes during oogenesis of 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 and Perinereis aibuhitensis Grube, immunocytochemical studies were attempted with antibodies of anti-Giα1,2, Giα3, and Gsα. G-proteins were visible in the plasma membrane and yolk platelet membrane. In oocytes of Pseuodpotamilla occelata Moore and Perinereis aibuhitensis Grube, G-proteins which are distributed in yolk platelet membrane gradually increased during oogenesis. A considerable amount of Giα3 and Gsα was shown in the oocytes of 10㎛ throughout 100㎛ in diameter and then suddenly decreased in the oocytes larger than 100㎛ in diameter. However, the distribution of Giα1,2 showed a difference ; that is, Giα1,2 is most abundantly distributed in the plasma membranes of oocytes of 60㎛-80㎛ in diameter in 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 and in the oocytes of 20㎛-40㎛ in diameter in Perinereis aibuhitensis Grube. The stage specificity of Giα1,2 appearence is very significant with regards to the transport of yolk precursor protein. Aimed the appearence of Giα1,2 is well coincided with the size classes of the oocytes into which yolk precusor proteins are most actually incorporated. ; 갯지렁이 난모세포에서 난황전구체의 유입은 receptor-mediated endocytosis를 통해 단계특이적으로 일어나는데, 이 과정에는 heterotrimeric G-protein이 관여된다. 따라서 heterotrimeric G-protein의 난모세포 성숙단계에 따른 분포양상을 확인하여 난황전구체 유입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저서목 꽃갯지렁이과의 안점의꽃갯지렁이(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와 유영목 참갯지렁이과의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Grube)에서 성숙단계별 난모세포의 heterotrimeric G-protein 분포 양상을 G-protein의 계열별 분포차가 있을 가능성을 생각하여 Gi1,2, Gi3, Gs의 αsubunit에 대한 항체를 각각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G-protein은 난모세포막 뿐아니라 난황립막에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난황립막에서의 G-protein은 난모세포가 성숙해가면서 점진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두 종의 갯지렁이 모두에서 유사하며 G-protein 종류별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난모세포막에 위치하는 G-protein 중에서 Gi3와 Gs는 두 종 모두에서 난모세포 성숙 초기부터 직경 100㎛까지 계속 다량으로 나타다가 직경 100㎛ 이상으로 자라면서 점차 소멸해가는 양상을 보였다. Gi1,2의 경우는 두 종에서 각각 다른 출현양상을 나타냈다. 안점의꽃갯지렁이에선 직경 65㎛-80㎛ 난모세포의 막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경우는 직경 30㎛부터 55㎛ 정도의 난모세포막에서 가장 많이 존재했던 것이다. 이 시기는 각각의 갯지렁이에서 endocytosis에 의한 난황전구체의 유입이 현저히 증가하는 시기에 해당하므로, 다른 시기보다 이 시기에 다량 분포하는 Gi1,2는 난황전구체의 endocytosis와 직접적으로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 그림 및 도판목차 논문개요 Ⅰ. 서 론 = 1 Ⅱ. 실험방법 = 6 1. 실험동물 = 6 2. 항체준비 = 7 3. 난모세포 절편 만들기 = 7 4. 면역염색 = 8 5. 사진찍기 = 10 6. 난모세포 크기 측정 = 10 7. Immunoblotting test = 10 Ⅲ. 실험결과 = 12 1. 갯지렁이 난모세포에서의 G-protein 면역염색 = 12 2. 안점의꽃갯지렁이 난모세포 성숙과정에서의 G-protein 분포양상 = 14 ㉠ Giα1,2의 분포양상 = 15 ㉡ Giα3의 분포양상 = 15 ㉢ Gsα의 분포양상 = 17 3.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난모세포 성숙과정에서의 G-protein 분포양상 = 18 ㉠ Giα1,2의 분포양상 = 19 ㉡ Giα3의 분포양상 = 21 ㉢ Gsα의 분포양상 = 21 4. Immunoblotting test = 22 Ⅳ. 고 찰 = 24 Ⅴ. 결 론 = 30 참고문헌 = 32 영문초록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26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갯지렁이 난자형성에 따른 난모세포내 GTP-binding protein의 단계특이적 출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과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