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동물 캐릭터를 적용한 방향제 디자인, 개발 사례 : 오리의 형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Title
동물 캐릭터를 적용한 방향제 디자인, 개발 사례 : 오리의 형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Authors
송지연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제품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인들은 가치 기준 변화와 문화 수준의 향상에 따른 다양한 욕구를 갖게 되었다. 특히 오감을 중심으로한 인간의 원초적인 욕구들은 더욱더 강하게 요구되어 지는데 이러한 오감 가운데서도 후각을 제어하는 향로는 용도와 활용 범위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더욱더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향료의 사용은 원시 종교 의식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일반화 되면서 여러 가지 쓰임새를 갖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용도에 따라 기능과 형태가 다른 향료들로 더욱더 세분화 되어가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정과 차량등에서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향제들은 단순히 나쁜 냄새를 제거하는 향로의 소취 개념뿐만 아니라 장식적 소품 개념으로서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방향제에 적용되어지는 형태들은 조형물로서의 시각적 의미 전달과 함께 제품 구매에 가장 결정적인 외적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제품 판매량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방향제 시장에서는 형태의 다양한 변화와 요구에 따라 각기 독특한 특성을 갖는 여러 가지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동물 형태를 적용한 제품들은 이미 그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동물 형태를 이용한 제품들은 방향제 뿐만 아니라 작게는 악세서리, 문구류에서부터 넓게는 의류, 전자제품에 이르기 까지 폭넓게 활용되어 실용성과 기능성 위주로 설계된 공업생산품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 넣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실제적 프로젝트 진행으로 대기업의 방향제 시장 진출에 따른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시장의 변화를 디자인의 차별화를 통하여 극복하고자 하며, 거대한 산업 사회의 구조 속에서 무미건조해진 현대인들에게는 잃었던 웃음과 동시에 동심의 여유를 되찾을 수 있도록 오리 형태를 이용한 새로운 방향제 용기 디자인을 제안 하고자 한다. 또한 오리를 소재로 이용하여 오리가 갖는 이미지 요소들 가운데 뒤뚱뒤뚱 걷는 모습에서 애교를, 편평한 입부리에서는 토속적이며 절박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우리 정서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방향제를 제안함으로써 디자인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과 현재 우리의 방향제 제조업체들이 겪고 있는 경제적 어려움들을 극복하고자 한다. ; Changes in the standard of the values and the advancement of the cultural level today came to lead moderns to have diversified needs of life. In particular, the intrinsic needs of human beings centering around the five senses have far stronger desires than any other ones, and perfume to control the olfactory sense among these five senses represents a tendency of being expanded in its uses, domain of utility, and significance. The use of perfume began with religious rituals in primitive society, gradually came generalized with varied uses, being subdivided into diverse kinds by different uses, functions and types. Above all, the air freshener we frequently use at home as well as for cars are now extending its domain of use not merely as the concept of deodorization eradicating odors but also as the concept of a small article of ornament. The patterns applied to the air freshener are function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ales of products by providing the most decisive external motives to the purchase of products, along with the conveyance of visual implications as a formative object. Concurrently with this, in the air freshener market today, varied kinds of products of specific trait are being produced in quantities to keep pace with the diversified needs of changes in air fresheners. The kinds of products applying animal forms of the fancy concept which the present study aims at discussing begin to be produced in a wide variety and diversity. Such products as apply animal forms of the fancy concept provide diversified utilities, ranging from accessories, stationeries in a narrow sense to clothing, electronic appliances in a broad sense, aside from being used as an air freshener. This is deemed to vitalize producing the kinds of industrial products with emphasis upon practicability and functional property.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tends to overcome via differentiated design the changes in the market expected at this point of time when large enterprises launch into the air freshener market with processing with practical projects via linkage with small and medium industries. Concomitantly with this, this study suggests a new air freshener vessel design using a duck form so that the moderns who feel prosaic in the texture of colossal industrial society could restore the laughter they have lost as well as the complacency of innocence.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so that among the factors a duct can have by using the materials of the duck we can feel a charming point in the its staggeringly walking posture and a native and plain taste on its even bill. This study thereby aimed at proposing a new kind of air freshener specific to the emotion of the Korean people today and then overcom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the air freshener manufactures suffer today, along with high added value via efficient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제품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