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9 Download: 0

정서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 song psychotherapy를 이용한 질적연구 중심으로

Title
정서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 song psychotherapy를 이용한 질적연구 중심으로
Authors
박수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청소년기의 정신건강 유지 문제는 우리 사회의 커다란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대중문화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파생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과, 학업중심의 학교생활, 그리고 치열한 대학 입시경쟁은 이들로 하여금 수많은 스트레스와 갈등요인에 직면하게 하고 있다.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가지고 자신의 재능을 찾고 발휘해야 할 중요한 이 시기에 우리의 청소년들은 정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여러 분야에서 다루어오고 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청소년 문화 속에서 적절한 방안을 찾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문화에 민감한 청소년들의 정서 문제에 있어서 청소년에게 영향력 있는 노래(대중가요)를 이용한 노래심리치료(Song Psychotherapy)를 통해 어떠한 치료적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서장애 청소년들의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악의 치료적 접근 방법을 사례연구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과전문의의 진단 후, 정서장애로 진단되어진 고등학생 3명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치료 임상연구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세션은 17주 동안 총20회의 개별 음악치료가 시행되었다. 이때 사용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은 노래 대화하기(Song Communication), 노래 부르기(Singing), 노래 패러디(Song Parody), 노래 만들기(Song Writing)로 구성하였으며 치료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음악적 접근을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검사와 같은 양적인 자료 이외에도 언어적으로 자신에 대한 정보나 사고, 감정 등의 표현력 향상의 정도를 보고자 하였으며, 이는 비디오 분석을 통해 양적/질적인 관점에서 모두 관찰하여 연구 자료를 산출하였다. 자기표현력에 대한 양적 데이터는 연구 대상자가 언어적으로 표현한 시간을 초시계로 측정하여 기간기록(duration recording) 방법으로 산출하였으며 질적 데이터는 언어적으로 표현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부정적인 내용(-), 중립적인 내용(0), 긍정적인 내용(+)으로 데이터화하였다. 질적 분석에서 이용된 분석 척도는 1-5의 리커트 양식(Likert type scale)으로 언어적 표현의 분석 척도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회기마다 연구 대상자의 언어적 표현에 점수를 주고, 1회기의 점수를 평균으로 계산하여 자료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척도 검사 결과와 자기 표현력의 결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척도 검사 결과에서는 각 대상자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울감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상태불안 척도(STAI - State), 특성불안 척도(STAI - Trait)의 점수가 모두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척도(Self Esteem Scale)의 점수는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자기 표현력에 대한 양적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질적 결과에서도 음악치료가 진행되면서 언어적으로 표현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들이 긍정적인 성향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노래심리치료가 정서장애 청소년들에게 노래 안에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들을 표현하고 정리하며 통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음악 치료적 접근 방법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Maintenance of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has been todays major social issue. There are various elements, which make our teen-agers to confront stresses and numerous emotional conflicts. Side effects, originated from rapidly developing mass culture and info-communication, overloaded curriculum and fierc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 are the main causes of their mental uneasiness. Due to these elements, many teen-agers in Korea are going through many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ir adolescence, which is very important time in terms of discovering and developing their individual talent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done in different areas of teen-agers emotional problems but it is not easy to draw out appropriate devices from promptly changing culture among the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Song Psychotherapy by using popular song that has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een-agers. Moreo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intends to find out effective musical therapeutic approaches for the teen-agers with emotional disorder to improve their self-expressiveness through studying cases. For this study, 3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20 individual sessions for 7 weeks at music therapy clinic in Ewha womens university. The program consists of Song Communication, Singing, Song Parody, and Song Writing and is structured by phasing each program into three different levels in order to achieve gradual therapeutic efficiency. The study also purported to exa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verbal expressiveness, on their thought and emotion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via pre-post analysis. The data was obtained analyzing the video taped sessions. Using duration recording method produced quantitative measurement, and qualitative data, which was expressed by three students in the verbally, was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contents, negative (-), neutral (0) and positive (+). 1-5 Likert type scale was used as analyzing criteria. Each of the subjects was graded for their verbal expression during the session and calculating average of each session produced final data. The quantitativ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 in BDI. The mean for STAI increased as sessions progressed and SES increased. The study indicates remarkable result in qualitative aspect, showing positive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bjects verbal expression. As a result, Song Psychotherapy appears to be efficient therapeutic approach for adolescents with emotional disorder, assisting them to penetrate and express their thought and emotion. The study further suggested applicable ways of Song Psychotherapy as a therapeutic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