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민영-
dc.creator박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6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68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는 ‘보는 것’을 통해 사물을 지각하기도 하지만 ‘아는 것’을 통해 대상을 바라보기도 한다. 하나의 물상을 접할 때 화가에게 필요한 눈은 이미 아는 것만을 선호하는 ‘상식적인 눈’이 아니라, 이러한 기존의 이해를 일절 무(無)로 돌리고 독특한 상상력을 통해 재미있고 의미로운 화면을 구성해 내는 눈이다. 휘슬러는 ‘화가의 어머니’(1892)라는 초상화에 ‘회색과 검은색의 배열 No.1’이라는 부제를 붙였다. 그는 자신의 작품이 화가의 어머니를 닮게 그린 ‘여인의 좌상’으로 취급받기 보다는 네모진 형체에 검은색과 회색이 담담하게 배열된 또다른 ‘추상형식의 작품’으로 여겨지길 원했던 것이다. 동일한 대상에서 99퍼센트 당연한 ‘여인의 형상’과 함께 색과 형체가 적절한 배열로 이루어진 ‘조형적 구성’을 인지하고 이를 아이디어로 이끌어낸 나머지 1퍼센트의 시각이 바로 화가의 눈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각적 재현’이 아닌 ‘지각을 구현하는 화면구성’에 관심을 두었으며, 이 때에 지각적 해석을 부여하는 주된 대상은 산이라는 자연물이다. 산이라는 거대 대상은 자연의 이미지를 포괄적으로 갖고 있는 대표적인 소재이다. 시각적으로 경험되는 산의 이미지는 대기와 토양을 기본적인 공간으로 하여 존재한다. 그 속에는 새싹을 틔우는 풀에서부터 수명을 다한 고목의 뿌리까지, 커다란 바위에서부터 자잘한 돌멩이까지, 떨어지는 폭포수와 졸졸 흐르는 시냇물 등이 망라되어 있다. 이러한 산에 본인의 지각적 해석을 덧붙이는 연결고리는 바로 mass라는 조형요소이다. 수목, 풀, 바위 등과 같은 산의 소규모 구성요소로부터 산의 아웃라인 자체까지를 매스라는 관점에서 통합, 변환(distortion)시키는 것이다. 서양예술의 조형개념인 매스가 수묵화를 통해서도 구현되게 하는 것은 ‘공간’이라는 공통분모이다. 매스는 어떤 형식으로든 화면을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전제로 하고 있는 바, 수묵산수화의 특징을 고려할 때 전통적으로 ‘의미있는 공간’의 자리매김을 받아온 ‘여백’의 개념과 맞닿는 점이 있는 것이다. 여기에 수묵의 정신적 특성과 더불어 자연발생적인 번짐과 퍼짐의 재료적 특성도 매스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전개과정을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회화의 공간개념과 그 공간을 구성하는 조형요소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하나의 조형언어인 매스가 작품의 테마가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은 산이라는 자연물이 소재로서 갖는 의미를 전통적 회화에서 나타나는 자연관, 특히 동양 산수화에서 보여지는 산의 이미지를 통해 살펴보고, 산수화의 사의성과 상징성에서 개념화된 산이미지의 근본시각을 찾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재료로 사용된 수묵의 고유한 정신세계와 그 발현되는 특성을 통해 여백의 미로 대표되는 공간해석과 매스적 표현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작품분석에 있어서는 화면에서 매스와 여백이 이루고 있는 구도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주로 사용한 발묵법과 마블링을 이용한 꼴라쥬의 효과를 통해 기법적인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작품의 조형성의 추구에 있어 매스라는 조형언어의 표현에 주된 관심을 기울여, 산이라는 자연물의 이미지를 매스적 형상으로 지각하고, 그것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수묵의 특성을 통해 그 표현의 가능성을 찾아보는 작업이다. 이와같은 연구는 대상의 이미지를 화면에 구현하는데 있어 전체적인 화면의 균형과 조화를 우선시하게 하는 태도를 기름과 동시에 수묵이라는 재료의 사용법에 대한 보다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게 할 것이라 생각된다. ; When we come up with some beautiful scenery, we say "it is like a work of art" not saying "It s like a photograph of nature itself". It tells us that the real meaning of imitation is not the copying but the recreationg something with perception of the image of the object. So all the paintings got some factors concerning about the unique view point and perception of painters. To paint something is not same as expressing it as it appears but showing some featuring elements of the object. We perceive one thing with action of seeing the shape but at the same time we also see the thing with the help of knowledge about it . When we contact some object, the most valuable eye of an artist is not the common point of view, but the constructive point of view making a unique and considerable canvas. I concentrate on the perceptional experssion, not on the exterial expression, and the main object given the perceptional interpretation is mountains in this case. A mountain is a very popular theme having the meaning of nature itself. And the clue which gives some perceptional interpretation to a mountain is the formative meaning of mass . From the trivial(not in fact) elements composing a mountain such as trees, grasses, rocks to the outline of a mountain, I perceive all these factors in the view point of mass, and distort something in this mechanism. Mass, one of the formative meanings of the Western paintings is also found in the chinese ink paintings because the both got the considerable factor called space . Mass needs some space to exist and the space is somewhat similar with the meaning of exceptional place(called yu-baek in Korea). The natural effect of spreading of chinese ink is marginal motive making the massive expression more effective. This study mostly concerns about the expression of massive factor of mountains, and I perceive mountains as a matter of the massive things making use of chinese ink spreading accidentally. I think this course of study make me take much of balance and harmony of the canvas and conduct experiment on various using of chines in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1 Ⅱ. 본론 = 3 A. 화면을 구성하는 조형적 요소에 대한 고찰 = 3 1. 조형요소를 작품의 독립적 테마로 삼을 수 있는 근거 = 3 2. 이차원적 화면에 전개되는 삼차원적 공간개념 = 4 B.山이미지에 대한 고찰 = 6 1. 동·서양회화에서 보여지는 특징적 자연관 = 6 2. 산수화에서 나타나는 산의 이미지 = 7 3. mass로서 보는 산 = 9 C. 수묵의 조형성 = 11 1. 수묵을 통한 공간해석 = 11 2. 수묵의 특성과 mass적 표현의 가능성 = 15 Ⅲ. 작품분석 = 18 Ⅳ. 결론 = 37 참고문헌 = 39 참고도판 = 40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686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묵을 이용한 山이미지의 Mass적 표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