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소정-
dc.creator김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3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6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680-
dc.description.abstract예술가가 창조해내는 형상들의 원천은 다양하다. 이런 형상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예술 작품에서는 표현된 주제가 반드시 실제세계의 재현된 표현일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예술가들은 사물 그 자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 투영된 이미지를 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인은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표현되는 꽃의 형태와 분위기, 감정으로부터 나타나는 대상의 이미지를 墨에 의해 표현하고자 한다. 특히 그 이미지를 단순화시키고 추상화시켜 표현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꽃이라는 대상의 내재적 아름다움을 이끌어내는데 보다 적합한 방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내재적 아름다움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사물 즉 꽃에 투영된 image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이미지의 회화적 적용과 이에 상응할 수 있는 동양적 방법으로서의 寫意의 회화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하여 본인 작품의 특성을 전통성과의 연관 위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II장에서는 역사상 꽃 그림이 어떻게 성립이 되고 전개가 되었는지를 고찰해보고 꽃 그림의 표현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중국 화조화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서희와 황전에 이르러 寫實과 寫意에 의한 화풍이 세워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들 작품에서 寫意적인 면에 중점을 두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본인은 목련을 주된 대상으로 그 이미지를 寫意性과 연관지어 화면에 나타내려고 한다. 사의는 내재적인 의경의 세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동양회화가 갖는 대표적 특성 중의 하나이고 이미지의 표현은 형상을 구체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감상자로 하여금 내적인 깊이를 느끼게 만든다. III장에서는 본인의 꽃을 표현하는 접근 방식인 ‘사의와 이미지’개념을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꽃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를 필묵을 이용하여 어떻게 주관적으로 해석되는지 알아보고 더욱 확장시킨 느낌과 감정으로 표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꽃 그림은 계속 그려져 왔고 그만큼 많이 볼 수 있다. 꽃이라는 소재는 표현하는 사람에 따라 많은 감정과 다양한 해석으로 접근되고 그러한 눈을 통하여 무궁무진한 畵材로 등장한다. 본인은 이러한 입장에서 목련꽃을 주된 대상으로 그 이미지를 寫意性과 결부시켜 화면 위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목련꽃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움과 풍성함과 꽃의 구조에서 볼 수 있는 조화로움과 구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墨을 쌓아올리는 바탕작업과 발묵의 효과와 여백을 이용하여 수묵의 특성이 현대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작품 창작 및 연구를 통하여 본인이 추구해 온 작업에 대한 반성과 함께 추구해야 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 가능성의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 The origins of things which artists create is of variance. All the theme in these art works don t have to be reproductions of the real world, considering an artist doesn t see the very object but rather its image projected on it. In this way of thinking I would describe, using Muk, the shape of flowers and the images of the objects drawn out of the emotion. Particularly I would make the images presented in a more simple and abstract way on the thought that such is the most proper way for forming its inner beauty. the inner beauty, like what was written above, means the image projected on an object, a flower in he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to the paintings, the artistic meaning of the Image as in the Oriental art approach which is appropriate for that application.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work of mine would b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traditionalism. In the second chapter, the history of the flower paintings would be explained on its beginning and development. The way of presenting flower paintings would be said, too. Suh-hee and Whang-jeon s works would be criticized with focus on their Imagism. They are both the greatest mountains in the Chinese Flower-bird paintings, who brewed the birth of the new painting style of Realism and Imagism. On the basis of these facts, I would express the image of paper flowers, the main object, on canvas in relation to the Image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paintings which head for the inner beauty, and the image expression make viewers feel the inner depth without help of specification of the object in concrete style. In the third chapter, the concept of Imagism and Image would be studied, which is my approach in describing flowers. Adding this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general form of flowers and its extended expression of feeling would also be studied. Flower paintings have been practiced on and accordingly could be seen as many as they do. Flowers have been treated as a subject with various feeling and interpretations by many artists and through their point of views flowers become the timeless painting subjects. I, in this approach,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flowers, mainly paper flowers, on canvas in congruity with the Imagism. I used the basis work of setting up Muk, the effect of Bal-Muk and empty spaces, which could show the properties of Su-Muk, in modern way, to present the softness and richness of paper flowers, and the balance and construct of flower s structure. Via this creation and following study, I tried to make a chance for pondering my future work style, together with looking back on the works I have perform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作品 目次 圖版 目錄 論文 槪要 I. 序 論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과 방법 = 2 II. 꽃 그림의 歷史的 考察 = 3 A. 꽃 그림의 성립과 전개 = 3 B. 꽃 그림의 표현 방법 - 徐熙와 黃筌을 중심으로 = 10 III. 水墨으로 표현된 꽃의 Image = 15 A. 寫意와 Image = 15 B. 寫意와 Image에 의한 꽃의 표현 = 21 IV. 作品 分析 = 26 V. 結 論 = 46 參考 文獻 = 48 參考 圖版 = 49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690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墨에 의한 꽃의 Image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