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컬러 트랜드 예측을 위한 제품색채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Title
컬러 트랜드 예측을 위한 제품색채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Authors
김낙수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제품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색채는 심리 표현 및 대화의 수단으로서, 그리고 지역, 문화, 민족간의 고유 특성의 대변자로서 지구상에서의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통언어이다. 인간의 정서와 감정에 밀접한 정보들은 색채를 통하여 상징화되거나 다른 감성적 시각 표현들과 함께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재품들이 대량ㆍ생산되고 있는 현대에는 선택된 제품의 디자인과 색채로 이루어진 공간을 통하여 개인 또는 집단의 이미지가 형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소비자들이 선호하게 될 제품의 색채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미래의 라이프 스타일에 적합한 색채 개발을 위한 연구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현대 사회는 과잉선택 의 시대라 불리울 만큼, 소비자 중심의 대량 생산시대로 기술의 발달로 제품의 다양화와 선택 기호로 확대가 소비자에게 제공되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생활은 질적으로 향상되었다. 소비자들은 이제 제품의 기능적가치 보다는 감성적가치를 를 더 중시하게 되었고, 감성적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 욕구의 충족에 기업적 측면에서는 다각면으로 대응점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색채의 분포는 여러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컬러트랜드 예측을 위한 제품색채 구성요소에 연구는 유형적 측면, 계층적 측면을 고려하여 제품색채 구성요소에 따른 변화 추이를 추출하고 제품색채 현황을 모색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나타난 분석자료를 검증하여 효과적인 활용방법으로 컬러트랜드 예측을 위한 방법론과 결정안 제시에 따른 연구방법을 새로운 시대에 전환되는 색채의식과 제품색채 활용방안으로 제시하여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컬러트랜드 예측을 위한 제품색채구성요소와 색채연구방법으로 색채에 대한 본질에 관해 살펴보았다. 둘째, 기존색채 연구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색상과 톤에 의한 적용체게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시대적 문화 변화 요인과 색채동향의 상관관계로 국내ㆍ외 컬러 동향을 살펴보고 색채를 매개화한 유형적 분석, 계층적 분석으로 나누어 전개하였다. 넷째, 제품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방법을 고찰하여 대상과 목적에 대한 의도된 컬러 예측 트랜드 계획과 전략에 대응점을 모색하였다. 다섯째, 컬러트랜드 색조와 특징을 분석하여 시대별로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이 가운데 색조변화와 색채변화 요인에 대한 체계화하여 분석하였다. 여섯째, 선호색상 및 컬러트랜드 예측 성향에 따른 전략 제안을 제품 출시 경향의 컬러와 재질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일곱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컬러트랜드 예측을 위한 제품색채 구성요소에 새로운 결정요인으로 제시되고자 하였다 ; Using color is becoming diversified and complicated from small daily products to urban environment in our life. Especially, color has been considered as sensitive or illogical field and individuality expressed by individual emotion. In this age demanding more emotional and various products through the whole consumption life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color is an important element in design. We get a lot of information from color creative color arrangement according to numerous color, lightness, chroma becomes the purpose of color work. Effective color combination is essential for making desired mood or delivery of ideas or drawing a series of responses. Also, color image languag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in color plan and composition, and it can also become a guide to suers in choosing appropriate colors. It s scope is narrow, and product color utilized in this preferred color is not systemized even in colose connections Also, selecting trendy color and preferred dimage according to product color composition elements is important, but response to various change elements are not generally grasped. Hereby, this study suggests counterplan for image prediction, color expression and coordination, and standards of selecting colors in each class with positioning map, and the following are the process of this study. First, essence of color is examined as a way of studying color and product color composition elements for the prediction of color trend. Second, justificaiton of applying system of color and tone is suggested by examining the existing color study methods. Third, domestic and foreign color trends interrelated to cultural change factors and color trends are examined, and they are developed by dividing into style analysis and class analysis. Fourth, counterplans for color prediction trend plan and strategy for the object and purpose are groped for by examining study methods of porduct composition factor. Fifth, colors and characteristics of color trend is examined, and color change and its factors are analyzed. Sixth, the prediction of preferred color and color suggestion following that prediction are suggested by color and material. Seventh,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attempts to be suggested as a plan for a new color determinating factor in product color composition elements for the prediction of color tre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제품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