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영-
dc.creator김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9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52-
dc.description.abstractExpression in the pure art is a kind of activity to represent the maker s subjective world. The expression in the design, however, need the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ho accept it. Therefore, it should conform to universal emotion rather than subjective one. The aim of the expression include the functional aspect, for example, the contents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ive feeling. In the study of expression, it is very important to reconcile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ive feeling with the communication of the objective information.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softness” and “decoration” is expressed in the Surface Design of the Tissue Box. “Softness” is the word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 and is used positively in the Korean universal feeling. In chapter II, I intended to explain the literal meaning of “Softness”, diverse meaning shown in Korean sense of beauty and Korean way of life. In addition, showing what “softness” weighs in respective product, I make it clear how important and appropriate it is to express “softness”. “Softness”, which has been formed i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our country, can be understood as “gyul(결)” implied in Korean sentiment, the spirit of “fermentation(삭힘)”, and the inclination toward fuzziness. It also forms the universal emotions of our people. In the next chapter, “decoration”, which is the element added to “softness”, is explained as one of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ive feeling. “Decoration” is connected to the useful aspect of beauty. “Decoration” is related to utility of beauty, not to conveyance of information. I adopted “decoration” for human mental satisfaction with beauty and the functional aspect in design. In other words, for the secondary role of ornamenting and decorating. In this chapter, the choice of decorative material such as flowers and the use of contrastive colors are explained. In the third chapter, I survey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Tissue Box”, a medium for expressing the above mentioned “softness” and “decoration”. I surveyed the present condition of Tissue in Korea and found w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and where its limit should be. In the last chapter, based on theory, I explained “softness” and “decoration” through the repetitious rhythm of various objects in the space which is formed by reiteration. “Softness” represen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n sense of beauty. I intended to represent “softness” which reminds as many forms as possible, though ambiguous compared with the concise and concrete, and has diverse taste to influence the viewers interest. The expression that aimed at only abstract and subjective world, and maker s personal feeling can tell “beauty”, but cannot represent the public-aimed design properly. The expression that is partial to public feeling and conveyance of objective information is also turned away from public who always seek creativity and novelty, because that kind of expression brings only predictable result. Creativity and novelty should be sought within the universal emotion through many kinds of experiment. In our sense of beauty formed from the past are implied many elements that can show new direction toward new expression. “Korean expression” in design is the one re-interpreted modernly in tradition with the element related to objective information conveyed. “Softness”,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also expressed linked to the product s objectivity with the sentiment implied in our sense of beauty. To compete with the fast progressing world of design, not the repetition of tradition and imitation, but the continuous study in harmonious with traditional element of beauty with objective information should be made. ; 순수 예술에 있어서의 표현이란 작가의 주관적 세계를 나타내는 활동이다. 그러나 디자인에 있어서의 표현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대중과의 쌍방 적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필요로 하므로 전달하는 내용이 주관적이기보다는 보편적 정서에 부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표현의 목적이 주관적 정서의 표출뿐 아니라 기능적인 면, 예를 들면 제품과 관련된 내용 같은 객관적 정보의 전달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디자인의 표현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즉 주관적인 정서의 표현과 객관적인 정보의 전달을 어떻게 잘 조화시키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보여지는 티슈 박스(Tissue Box)의 겉 표면 디자인(Surface Design)에 부드러움과 장식성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이다. <부드러움>은 제품이 가지고 있는 특장점인 동시에 한국인의 보편적 정서에서 긍정적 의미로 쓰이고 있는 상위 개념의 언어이다. 표현에 앞서 2장에서는 <부드러움>의 사전적인 정의와 한국인의 미의식과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부드러움>의 다양한 의미와 뜻, 그리고 제품의 특성에 있어서 <부드러움>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알아봄으로써 왜 <부드러움>을 표현해야 하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부드러움>은 한국인의 미의식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결, 삭힘의 정신, 퍼지적 성향과 결부되어 이해 할 수 있고 이것은 우리 나라의 지형과 문화적 환경 속에서 오랜 세월에 거쳐 형성된 것으로 우리 나라 대다수 국민의 보편적인 정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언급되어지는 <장식성>은 <부드러움>의 표현에 부가적으로 결부되는 요소로서 주관적 정서 표현의 하나로 설명되어 질 수 있다. <장식성>은 객관적인 정보 전달의 측면이 아닌 미적 효용성 측면과 연결 지울 수 있으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심리적 만족과 디자인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면, 즉 꾸미고 장식하는 2차적 역할을 위해 채택되었다. 꽃과 같은 장식성이 강한 소재의 선택과 대비가 강한 화려한 색채의 사용의 타당성을 이 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3장에서는 앞에서 언급된 <부드러움>과 <장식성>이 표현될 매개물인 티슈 박스(Tissue Box)의 현황에 대한 조사와 분석들이다. 현재 한국에서 판매되어지고 있는 티슈(Tissue)의 현황을 간단히 알아보고 티슈 박스 디자인(Tissue Box Design)에 있어서의 주의 사항과 제한점등을 설정하였다. 4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중첩을 통해 형성된 공간 속에서 여러 가지 물체의 반복에 의한 리듬을 통해 <부드러움>과 <장식성>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현된 <부드러움>은 한국적인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다. 간결하고 딱 떨어진 형태보다는 애매하지만 보다 많은 형태를 연상시키고 보는 이에게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맛을 가진 <부드러움>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피상적이고 주관적인 세계나 작가 자신의 개인적 정서에만 바탕을 둔 표현은 ‘아름다움’을 전달할 수 있을 지는 모르나 전체적인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표현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대중적인 정서나 객관적인 정보 전달에만 치우친 표현 역시 너무나 당연하고 뻔한 결과물을 가져오게 되므로 새로운 것을 찾는 대중들로부터 외면 당할 수밖에 없다. 보편적인 정서를 바탕으로 하되 그 표현에 있어서 다양한 실험을 통한 새로움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다. 과거로부터 이루어진 우리의 미의식 속에는 현재의 우리에게 있어 새로운 표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요소가 많이 내포되어 있다. 디자인에 있어 한국적인 표현이라 함은 전달하고자 하는 객관적인 정보와 연결되는 요소를 전통에서 찾아 현대적인 재해석이 이루어진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내려는 <부드러움> 역시 우리의 미의식 속에 내포된 정서를 바탕으로 제품이 가진 객관적인 성질과 결부시켜 표현되어진 것이다. 변화하는 세계 속에 우리의 디자인이 살아남기 위해 전통의 재현이나 모방이 아닌 전통 속에 녹아 있는 미적 요소와 제품의 객관적인 정보가 조화를 이룬 표현의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ⅵ Ⅰ. 서론 = 1 A.연구의 목적 = 1 B.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부드러움의 정의와 이해 = 4 1. 사전적 정의와 생활 속의 다양한 의미 = 4 2. 한국인의 미의식 속에 내포된 ‘부드러움’의 의미 = 5 3. 제품 특장점으로써의 부드러움 = 8 B. 부가적 요소로써의 장식성 = 9 1. 장식의 효율성 = 10 가. 심리적 측면 = 10 나. 기능적 측면 = 11 2. 장식의 표현 요소 = 12 가. 반복과 리듬 = 12 나. 색채의 대비 = 13 Ⅲ. Tissue Box Design = 16 A.국내 Tissue Box Design의 현황 = 16 B. 소구 대상 및 Design범위 제한 = 20 Ⅳ. 작품 전개 = 22 A.제작 의도 및 표현 방법 = 22 B. 작품 분석 = 25 Ⅴ. 결론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771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issue box design 표현에 관한 연구 : 부드러움과 장식성 표현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보디자인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