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전일적(holistic)패러다임과 통합예술적 관점에 의한 환경디자인 접근방법 연구

Title
전일적(holistic)패러다임과 통합예술적 관점에 의한 환경디자인 접근방법 연구
Authors
이희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실내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기계론적인 세계관은 약 4백년 전 뉴튼과 데카르트를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특히 절정에 달했던 지난 백여년 동안의 결정론적이며 기계론적인 패러다임은 서구 사회의 모습을 형성해 온 기본적인 토대이며 세계의 각 지역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패러다임은 세계를 부분들의 결합으로 보는 기계론적 견해, 생명을 존재를 위한 투쟁으로 보는 견해, 경제적, 기술적 성장을 통하여 끝없는 물질적인 진보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 그리고 자연에 대한 지배와 인간중심적인 세계관 등 이다. 현대사회는 필연적으로 이러한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수정을 가해야 할 시점에 와 있으며, 실제로 그러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세계를 분리된 부분들의 집합체라기보다. 통합된 전체로 보는 전일적 세계관(holistic worldview)이다. 모든 현상들이 상호 의존하고 있으며 연관되어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즉,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가 분리될 수 없으며 상보적이다. │ 20세기 말의 예술, 그리고 사회와 문화 전반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특징이라고 할수 있는 다원주의(Plualism)적 양상은 이러한 새로운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모더니즘의 순수성이라는 절대가치를 추구하는 논리는 합리주의와 과학기술이 유토피아를 가져올 것이라는 산업혁명 이후의 기계론적, 절대주의적 세계관의 반영이다. 최근 각 예술영역에서 발견되는 통합예술적 경향은 예술영역간의 상호침투 현상, 다양한 지역 양식, 기존미술의 차용과 변형, 대중매체의 형상과 방법의 수용 등으로 모더니즘에 대한 대안으로써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다원화 경향이 그 본질상 포함하고 있는 속성 중의 하나로 특히 주목되는 점은 전통회귀 의 경향이다. 이것은 탈획일화로 인한 인간 존재의 의미 회복과 수직적 위계질서 보다는 수평적인 다양성과 차별성을 중요시하게 되었기 때문이며, 절대가치를 지향하는 대신 가치의 상대성을 인정하게 된 결과이다. 이러한 상황을 전제로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과 구축 환경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준과학적(準科學的) 방법에 의존하여 실증적 이론(positive theory)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 가치 진술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규범적 이론(normative theory)을 수립한다. 둘째, 현대 미술의 통합예술적 경향에 나타난 인간과 환경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각적·공간적 표현 방법들을 고찰하여 환경디자인 접근방법에 있어서 체계적인 이론적 준거를 수립한다. 셋째,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간과 구축 환경 사이의 관계를 포괄할 수 있는 특성들을 도출하여 이를 환경디자인에 적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환경의 관계성을 설명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개념에 의해 풍부하고 복합적인 인간 행태에 대한 지원성(Affordance)을 강화하는 환경을 창출하는데 있다. 세계를 통합된 전체로 인식하는 전일적 패러다임과 20세기말 현대미술의 통합예술적 관점을 바탕으로 환경디자인의 공공예술영역으로의 확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진행하였다. 1. 현재, 인식의 전환을 가져온 과학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고, 세계를 관계와 통합의 견지에서 보는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전일적인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2.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는 현대미술에 나타난 다원화 양상과 통합예술적 경향을 고찰하였다. 3. 현대건축에 있어서 통합예술적 경향은 확대되어 타 영역간의 상호연괸성을 중심으로 한 다학문적 (Interdisciplinary) 접근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이해하였다. 4. 통합예술적 경향에 의한 예술의 대중화, 환경의 예술화는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공공 예술영역으로의 확장을 의미하며, 환경디자인의 공공예술화는 유기체적 관계성을 고려하고, 행태 과학적 접근에 의해 획득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5. 과학 패러다임의 전환과 통합예술적 경향에 나타난 특성을 도출하여, 환경디자인 공간조형의 기본원리로써 제안하였다. 7.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하게 되었다. 첫째, 과학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통합예술적 경향은 21C-새로운 패러다임인 전일적 세계관과 상통하며, 둘째, 통합예술적 관점은 예술이 각 예술영역들의 집합체가 아닌 상호 의존하는 통합된 유기적 체계로 보는 견해이며 셋째, 이러한 통합예술적 관점은 다양한 삶7을 반영하고자 비롯되었고, 여러 관계들간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가능성의 창출에 있으며, 넷째,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통합예술적 관점은 예술과 각 영역을 매개로 하여 삶과 의사소통(communication)하고자 함이고, 이것은 환경디자인의 공공예술영역으로의 확장을 의미한다는 점이었다. 8. 앞서 논의되었던 이론을 환경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하여 대상지는 고전적인 요소와 현대미술, 그리고 공연예술이 공존하는 지역을 설정하였다. 9, 대상지의 환경적, 행태적 분석에 의한 공간구성 개념을 설정하고, 과학 패러다임과 통합예술적 관점을 포괄하는 접근방법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연구에 의해 기대되는 가치는 현대사회에서 지향되는 조형적 경향에 대한 이론적 틀을 형성하고, 장소적 특수성과 인간 행태 그리고 구축환경 사이의 관계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적합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환경디자인의 문화적 특수성 표현 문제에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 있다. 본 연구자는 결론적으로 우리의 현실에 있어서 대비되는 전통성과 현대성, 동양의 직관적·총체적 접근과 서양의 합리적·분석적 접근의 상호보완적 관계성 등은 전일적(holistic)이며 통합적인 관점으로 인식함으로써 그 해결점을 찾을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전일적 패러다임과 통합예술적 관점은 환경디지인의 공공예술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미적 가치이다. ; Modern mechanical world view was built by Newton and Decarte approximately 400 wear ago. Deterministic and mechanical paradigm which was at the peak of its prosperity during past 100 years or so was the basis for taking shape of western society and had profound impacts on each part of the world. The paradigm comprises the mechanical interpretation which regards world as the unity of parts, the view which regards the life as the struggle for the existence, the belief that continuous material progresses would be made through the economic and technical growth, the control over nature and anthropocentric world view, Modern Society has reached at the time for fundamental adjustment and in effect, the paradigm shift is now under way. The new paradigm is the holistic world view that considers the world as the integrated entirety rather than the unity of separated parts. The view regard all phenomena are interdependent and interconnected. That is, in the new paradigm, the parts and the entirety are unseparable and complementary. The pluralistic phase which can be considered as general characteristics observed iv the art, society and culture in the and of the 20th century is seen as the reflection of this new world view, The open attitude toward all styles and themes of modern arts means the collapse of modernism. The logic pursu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purity of modernism is the reflection of mechanical and absolutist world view which argues that rationalism and scientific technology world bring about utopia. Current integrated-artistic tendency found in each art field which is mutual penetration phenomenon among fields, various regional styles, appropri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art and reception of forms and ways of the mass media is tried as and alternative to modernism. What is especially noted as one of attributes that this pluralistic tendency comprises in nature is the tendency for return to tradition. This is due to the recovery of signific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art and reception of forms and ways of the mass media is tried as an alternative to modernism. What is especially noted as one of attributes that this pluralistic tendency comprises in nature is the tendency for return to tradition. This is due to the recovery of significance of human existence by eliminating standardization and more value on the horizontal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than the vertical hierarchy and the result of recognizing value relativity rather than pursuing absolute value. Under this assumption,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constructing environment, the basis for positive theory based on quasi-scientific methodology is established and normative theory on the ground of value statement and world view is developed. Second, to establish systematic theoretical reference in the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by examining visual and spatial express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al found in integrated-artistic tendency of modern art. Thirdly, to extract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constructing environmental through above procedures, which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design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the comprehensive concept explaining the human beings-environment relation and to create by the concept. The present study was develop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for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design toward the public art field based on holistic paradigm recognizing world as integrated entirety and the integrated-artistic view of modern art of the 20th century. 1. The current scientific paradigm shift which brought about the transition of cognition is understood and the holistic paradigm, the new paradigm which considers the world from the view of relation is examined. 2. The pluralism phase and integrated-artistic tendency of modern art which reflect the paradigm shift is examined. 3. The integrated-artistic tendency in modern architecture is understood as being expanded toward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cused on interdependency among different fields. 4.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artificial transition of environment by integrated-art tendency are suggested to mean the expansion toward public art field, which can be obtained by considering their inseparable relationship and behavioral scientific approach. 5. The characteristics seen in the scientific paradigm shift and the integrated-artistic tendency are proposed as an fundamental principles of space formation in environment design. 6. On the above theoretical review, the present study grasps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the integrated-artistic tendency that show the scientific paradigm shif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holistic world view which will be the new paradigm in 21st century. Secondly, integrated-artistic view is one that considers art as not unity of each artistic but an integrated organic system. Thirdly, this integrated-artistic view formed in order to reflect various lives and create new possibilities arising from the interaction among different relations. Fourthly, this integrated-artistic view in the environmental design is to describe life clearly by means of art and each field, which means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design toward public art field. 7. To apply the above theory to environmental design, the region where traditional elements, modern art and performing art coexist is selected as the subject. 8. The space construct is set up by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analysis of the subject and embodied by the approach comprehending scientific paradigm and integrated-artistic view. The value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it opened the possibilities of the new approach for the issue of expression of relationships among special specialty, human behavior and constructing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s and modernity and oriental intuitive, holistic approach and western rational analytical approach can be explained when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is recognized with holistic and integrated view. At the same time, the holistic paradigm and integrated-artistic view are the new aesthetic value which can suggest an alternative for public art of environmental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