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1 Download: 0

한별 유치원 만 5세 반 교사의 유아평가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한별 유치원 만 5세 반 교사의 유아평가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n) ethnographic study on a teacher's child assessment patterns in a class of five-year-olds at Hanbyul kindergarten
Authors
최일선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teacher s child assessment patterns by observing and describing a class of five-year-olds at Hanbyul Kindergarten through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For the above goal,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 When and how is a teacher s child assessment implemented in a class of five-year-olds at Hanbyul Kindergarten? 2. What are the contents of a teacher s child assessment for a class of five-year-olds at Hanbyul Kindergarten? 3. What is the significance of a teacher s child assessment for a class of five-year-olds at Hanbyul Kindergart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at Hanbyul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7 five-year-old children, 1 head teacher and 1 assistant director. During the period of March, 1999 to August, 2000, data for this research consisted of 67 participant observations, 13 in-depth interviews with a teacher, 2 in-depth interviews with an assistant director, and 4 in-depth interviews with children, questionnaire, photographing, audio and video-tape recording, written documents and samples of the children s work. The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cases were encoded and classified into appropriate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constantly implemented various child assessment method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emester.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ssessment data were collected to identify the children s development level and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assessment data included a survey of readiness for learning and individual inquiry sheets, etc. During the semester, the tea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children s daily life. She used checklists and behavioral developmental observation record. Also she collected the children s work samples and assessed the children s activities. Finally, the teacher made an overall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The teacher recorde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on the behavioral development observation record and the cumulative record of the child. Second, the assessment contents included comprehensive and general aspects of the children and were related to the educational goals and the subordinate content structures of five life areas. The teacher assessed the children s development throughout the five life areas such as health life , social life , expression life , language life and discovery life . For health life , the children s basic athletic ability, health, and safety were assessed. For social life , basic daily practices, relations with peers, types and levels of play, and life in a group were mainly assessed. For expression life , the children s emotions, characteristics, participating attitudes, stableness, self-adjustment, and participation in expressive activities were included in the assessment contents. For language life , the children s communication skills, listening comprehension, conception, vocabulary and sentence utility, writing and reading, and proper language attitudes were assessed. The assessment contents for discovery life included those related to mathematical study, scientific study and creative study. Third, the teacher enhanced her own understanding about the children by examining their developmental level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had opportunities of dynamic teaching-learning through the assessment. In addition, the assessment process prompted communication. The teacher had opportunities to engage in meaningful discussion with the parents as well as with the children. Based on assessment data, the teacher increased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and provided parents with suggestions on educational methods or skills in an interactive atmosphere. The teacher also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on her teaching methods and to make decisions about the children through having conversation with the parents. The parents obtained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educate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had individual conversation with the children, in which she conversed with them about their learning, behaviors and experiences. Through the conversations, the children had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feeling and thought. The teacher s emphasis on proper attitudes in daily life and cooperative attitudes in group life was reflected in the children s assessment. Especially, she actively practiced her educational belief that basic life guidance is most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assessment, she expected that the children would internalize moral behaviors and attitudes required by society, such as basic daily practices, compliance with rules, and so on. ; 본 연구는 한별 유치원 만 5세 반 교사는 유아평가를 어떻게 하며 평가내용은 무엇이며, 그 속에서 유아평가가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 지를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별 유치원 만 5세 반 교사는 유아평가를 언제, 어떻게 하는가? 2. 한별 유치원 만 5세 반 교사의 유아평가의 내용은 무엇인가? 3. 한별 유치원 만 5세 반 교사의 유아평가의 의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한별 유치원의 만 5세 반으로, 이 학급의 유아들, 담임교사와 원감이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1999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로, 자료수집은 총 67회의 참여관찰, 13회의 담임교사면담, 2회의 원감면담, 4회의 유아면담, 질문지조사, 사진촬영, 오디오/ 비디오 녹화, 문서수집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관찰 및 면담내용은 현장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별 유치원 만 5세 반의 교사는 학기초부터 학기말까지 지속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유아평가를 시행하였다. 학기초에는 주로 유아의 현재의 발달수준 및 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평가자료로는 학습 준비도 검사자료와 개인 조사서가 있다. 학기 중에는 주로 체크리스트와 행동발달관찰기록서를 활용한 관찰이 주로 이루어졌다. 또한 유아의 작업물 표본을 수집하고 집단활동평가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기말에 1년에 걸쳐 수집한 모든 자료에 입각해서 각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상황 및 특성에 대한 총괄적인 의사결정을 하였다. 총괄적인 의사결정의 내용은 행동발달관찰기록서와 생활기록부에 기록되었다. 둘째, 유아평가내용에는 유아에 대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평가내용은 5개 생활영역의 교육목표 및 하위 내용체계와 관련이 있었다. 건강생활영역에서는 기본적인 운동능력, 건강, 안전 등에 관한 내용을 평가하였다. 사회생활영역에서는 기본생활습관, 또래관계, 놀이유형 및 놀이수준, 집단생활 등을 중심으로 평가를 하였다. 표현생활과 관련된 평가내용에는 유아의 성격, 참여태도, 자기조절, 표현활동 참여 여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언어생활영역의 경우에는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이해력 및 개념수준, 어휘 및 문장의 발달정도, 쓰기 및 읽기 수준, 바른 언어생활 습관 및 태도 등을 평가하였다. 탐구생활영역의 평가내용에는 수학적 탐구, 과학적 탐구, 창의적 탐구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셋째, 교사는 평가를 통해 유아의 발달수준 및 행동특성을 진단하여 유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아의 질적 변화 및 발전을 돕는 역동적인 교수·학습의 기회로 활용하였다. 평가는 교사에게 교사와 부모 또는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교류를 돕는 대화의 장을 제공하였다. 교사는 평가자료를 토대로 부모에게 자녀에 대한 의식을 발전시키고 대화적인 분위기 속에서 교육적 방편이나 기술 등을 전달하였다. 교사는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교수방법을 점검해 보고 유아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기회를 갖는 한편, 부모는 자녀지도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었다. 또한 평가과정을 통해 교사는 유아의 학습, 행동, 경험과 관련된 대화의 기회를 가졌으며, 이러한 대화를 통해 교사는 유아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확대하였고 유아는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가졌다. 교사는 바른 기본생활태도와 더불어 사는 생활태도를 중요시하는 자신의 교육적 신념을 평가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교사는 평가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기본생활습관, 규칙 준수 등 사회에서 요구하는 도덕적 행동 및 태도들을 내면화하기를 기대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