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자영-
dc.creator김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0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9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수업을 중심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초등교사의 교과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이며, 이러한 실천적 지식이 수업에서 어떻게 사용되며, 실천적 지식의 형성원천이 무엇인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수학수업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3.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원천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B지방에 위치한 보람초등학교 3학년 태양반의 최교사이다. 연구기간은 1998년 7월부터 1999년 8월까지로, 자료수집은 80회의 최교사 수업에의 참여관찰, 29회의 최교사와의 면담, 18회의 동료교사 수업에의 참여관찰, 13회의 동료교사와의 면담, 3회의 아동과의 면담, 질문지 조사, 사진촬영, 오디오/비디오 녹화, 문서수집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관찰과 면담을 모두 적용하면서도 연구문제 1번과 2번인 실천적 지식의 내용과 사용의 탐구를 위해서는 면담보다 관찰을, 연구문제 3번인 형성 원천의 경우에는 관찰보다 면담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였다. 참여관찰 및 면담의 내용은 현장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결과를 통해 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다. 1.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최교사의 수학 교수행위는 초등 수학교육은 기초교육이고 인성교육이라는 초등교육적 논리가 강조된 다양한 수준의 실천적 지식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졌다.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그 일반화의 정도에 따라 신념, 원리, 전략 수준에서 나타났는데 최교사는 교사자신, 아동, 교과,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 보람 초등학교의 사회적 맥락, 시대적 맥락 그리고, 교육정책 등의 측면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형성된 포괄적인 신념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즉, 최교사는 기초적인 수학내용과 그 내용을 학습하는 태도를 가르치는 수업과 아동의 행동과 품성도 함께 변화되도록 가르치는 수업을 좋은 수학수업이라고 보았다. 최교사는 자신의 다양한 과거 경험 중에서 교육적 효과와 관련된 경험에 기초를 두고 현재 태양반 아동을 고려하여 형성된 초등수학의 효과적인 교수-학습과 관련된 원리 수준의 실천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즉, "기초기능의 함양을 강조한다", "본 차시 학습은 선수학습의 바탕 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예제문제에 대하여 명확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차시 학습에 대하여 마음의 준비 를 형성하도록 한다", "아동이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한다", "학습과정에서 공부하는 즐거움 을 가능한한 풍부하게 제공한다", "기본적인 학습태도와 습관은 그때그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동상호간의 공동체 의식을 강조한다", "아동에게 교사의 관심과 애정을 표현해 준다"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최교사는 수학시간과 관련된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와 관련된 구체적인 전략 수준의 실천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즉, 최교사는 교수자료를 통한 준비전략들, 구체적인 준비전략들; 교과관련 전략들(교과내용 교수 전략들, 수업 관련 전략들), 교과초월적 전략들(기본적인 덕목의 지도와 관련된 전략들, 교사의 관심 및 애정표현과 관련된 전략들); 교과내용의 보충 전략들, 인성교육의 보충 전략들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최교사의 수학 교수행위가 초등교육적 논리가 강조된 그의 교육적 신념에서 비롯된다는 점은 현장의 수업개선의 노력은 어떠한 수학교수 전략의 기계적 도입에 우선해, 교사의 신념에 대한 재검토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새로운 수학교육의 접근은 효과적인 전략이나 원리 뿐 아니라 그것이 교사가 초등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신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검토할 기회를 주고 이에 동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2. 수학수업에서 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사용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수학수업 이전에는 수업의 대략적인 개요인 학습괘도를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는 수업상황의 이해에 의해 학습괘도를 지속적으로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수업 이후에는 수업전후에 대하여 반성하는데 사용되었다. 수학수업 이전 단계에서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보람초등학교 태양반 아동의 전인적 성장의 요구를 고려하여 교수내용을 재구성하고, 아동 실태와 교사 자신의 기호나 장점과 관련지어 교수-학습 상황을 미리 재현해 다양한 교수방법을 개발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수업이전에 준비된 이러한 학습괘도는 수학수업 실행단계에서 최교사가 감지한 수업상황의 이해에 의해 계속적으로 조절되었다. 최교사는 전체 아동의 학습의 이해정도와 전인적 성장을 고려하여 현재 상황에서 내려야 하는 교육적 처방들 즉, 교과내용, 수업진도, 교수-학습 활동 양, 집단구성을 조절하고, 개별적 수준에서 각 개별 아동이 필요로 하는 교육적 배려전략을 선택하였는데, 이때에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상호관련되어 사용되었다. 수학수업 이후 단계에서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주로 교사자신의 수업전후에 대한 반성 즉, 본 수업에 대한 평가와 후속수업에 관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최교사는 아동의 수학적 이해, 학습에 참여하는 아동의 태도, 아동에 대한 교사자신의 태도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본 수학수업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구체적이고도 치밀한 반성은 후속 수업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후속수업을 위한 하나의 원천이 되었다. 특히, 수학수업 이후에 이루어진 반성의 과정은 최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사용되는 과정임과 동시에 그 지식이 더욱더 정련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최교사는 여유와 느긋함을 가지고 본 수업에서 자신이 내렸던 결정이나 오류 혹은 자신의 교육과 관련된 과거 경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드러냄으로써 그의 수업에서 사용된 실천적 지식의 재구성의 기회를 가졌다. 따라서 교사가 교과를 잘 가르치도록 돕는 일은 교사가 어떠한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하여 교과를 잘 가르치도록 하는 지원과 함께 교사가 사전에 경험한 내용에 대하여 올바르게 반성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주는 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3.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원천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형성에는 교사 개인의 가족과 관련된 경험, 학창시절 학생으로서의 학습경험 및 선생님과 친구들과의 경험과 같은 개인적 삶; 2년의 직전 교사교육; 28년이란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된 교수경험; 보람초등학교의 사회적 환경, 가르치는 학년, 동료교사의 철학, 이론적 탐구 경험, 교육정책과 같은 교수적 맥락 요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형성에는 다양한 원천들이 영향을 미쳤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1) 개인적인 삶(종교 경험과 학창시절 수학학습경험)과 (3) 28년의 교수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오랜 기간동안 최교사의 교사로서의 삶에 녹아들어서 그로 하여금 초등 수학교육은 인성교육, 기초교육이라는 초등교육의 논리가 강조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데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최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그의 세계관이 드러나는 교육적 신념에 기반을 두고 있고 이러한 교육적 신념은 그의 삶을 통해 지속적으로 형성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교육에서 교육내용의 전달과 교수방법의 훈련 못지 않게, 예비교사들의 가치관교육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하여 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최교사의 초등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최교사의 다양한 실천적 지식은 교과교육 관련 지식과 초등교육 관련 지식이 복합적으로 관여된 지식이었으며; 최교사가 이루어내는 초등 교과교육은 교사의 전략 및 원리 수준의 방법적 통합과 신념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적 통합을 통해 중등과 구분되는 초등 교과교육의 특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최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본 수업에 대한 대략적인 개요인 학습괘도의 구성, 실행과정에서의 괘도 조절, 수업 전후에 대한 반성에 사용되었는데 특히 반성을 통해 그의 지식이 더욱더 정련되었으며; 이러한 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에는 이 지식 형성의 다양한 원천 중에서도 특히 개인적인 경험(종교 경험, 학창시절 학습경험)과 28년의 교수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actual teaching situati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show what the practical knowledge consists of, how it is used in the classroom, and where it comes from. These are research questions which this study focuses on, in accordance with its stated goal; 1. What is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2. How is the practical knowledge applied in the teaching of a mathematics class? 3. What are the sources from which the practical knowledge is formed? Mr. Choi, homeroom teacher of Taeyang-ban at Boram Elementary School in province B.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998 to August 1999, included 80 sessions of visual observation on Mr. Choi s class, 18 observation sessions with Mr. Choi s colleagues, 29 interview with Mr. Choi, 13 interviews with his colleagues, and 3 interviews with students. Survey research, taking of photos, audio and video recording, and documents collection were also conducted. Visual observation contributed mainly to the answer of questions on and two, whil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 number thre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recorded on location, and data collected was categorized before it was analyzed. The Character of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as a teacher was understood by the following; 1. The practical knowledge of Mr. Choi in the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Mr. Choi s style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s based on various levels of practical knowledge that emphasizing the elementary school logic, which is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s the basic educational principle as well as humanity education.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consisted of beliefs, principles, and strategies based on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And Mr. Choi had general beliefs, which were arrived at after he had considered himself, the students, the curriculum, the classroom, the social hierarchy of Boram Elementary School, the times, and educational policy. In other words, Mr. Choi felt that the good mathematics class was one that not only teaches basic mathematics, but one that promotes a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positive study methods. Mr. Choi had basic level of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effective teaching-leaning methods which formed for the students of Taeyang-ban, and that was based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came from his various experience. These are includes; "The cultivation of basic mathematics skill", "The class should based on the lesson of the previous class", "Providing a clear explanation of each mathematics problem", "Being prepared for each class prior to class", "Supporting children the opportunity of learning", "A supportive and fun learning environment", "Continual reinforcement of positive attitude and leaning habit", and "Emphasis on community spirit between the students as well as the continual expression of the teacher s concern and interest in the students". In addition, Mr.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included an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of teaching mathematics. That is to say, the strategy of preparation through teaching materials, concrete preparation, course-related in his teaching plan, teaching basic moral principles and showing concern for his students, supplement education, and humanity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hows that any effort to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start with a review of the teacher s educational beliefs, prior to the mechanical adoption of set methods or strategies. In conclusion, in finding new method for teaching mathematics one must incorporate an teacher s personal beliefs about education as well as allow an teacher to review set educa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2. The application of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of teaching in the mathematics class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about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as applied to; form a trajectory as a rough outline of the mathematics class before the each class; control the trajectory during class by understanding class dynamics, and; reflect on the overall results after each class. Before class,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on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llowed him to modify his lesson plans based on observation of the all-around growth of the students of Taeyang-ban. And he also took into account each individual student and that student s preferences and strong points. The trajectory that had been prepared before the class was controlled continuously by Mr. Choi s comprehension of the class situation. Mr. Choi controlled the educational solution. That is to say, he was aware of and made appropriate use of the various educational tools at his disposal: the contents of subject-matter, the course schedule, the amou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y, grouping students together according to aptitude and ability (this after judging students overall growth and understanding). At this phase,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was applied in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after class phase, the application of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on teaching mathematics resulted in reflection on the class session and the overall results. This evaluation of the class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better ways to teach for the succeeding class. Mr. Choi analysis of each class took into account several key factors: the children s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e attitude of children in the class, and the attitude of Mr. Choi himself toward the students. This kind of self-reflection became of a main foundation for succeeding classes because it included new alternatives for each succeeding class. Of particular note, the process of reflection made after each mathematics class w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his knowledge was refined through the process. In this phase, he had a chance to reform his practical knowledge applied in the class by contemplating each decision made, every mistake made, and by reflecting on the overall teaching experience. Therefore, helping teachers to teach their lessons effectively is not only to support them with efficient strategies, but also to give them the ability to reflect on personal methods and possible adjustments. 3. The source of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in the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here are many sources that contributed to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y include Mr. Choi s experience with his own family, his own experience as a student and his relationships with his teachers and friends at the time, and two years of training that he received just before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wenty eight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knowledge of the social environment of Boram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s age he has taught, his colleagues educational philosophy, theological research, and educational policy are several other contributors. Among the many sources that have influenced Mr. Choi s accumul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there are two eminent factors; his personal life, to include religious and learning experience, and 2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se two resources have influenced Mr. Choi s life as a teacher, and have helped him to recognize that the practical knowledge that emphasizing the elementary school logic, which is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s the basic educational principle as well as the education of human nature. This proves that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is based on educational faith that reflects his view of the world and life, and the formation and growth of this faith has been a continuous process throughout his life. As a result, one can clearly see the importance of educating prospective teachers to have a proper sense of values. This is just as important as teaching them to deliver lessons and training them in the use of proper teachings methods. These are the conclusions reached by this study based on observation of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Mr. Choi s various practical knowledge revealed in his mathematics class was combined of the knowledge of subject-matter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Mr. Choi s elementary subject-matter education was different from the one of middle education in that of integrating in methods in the level of teacher s strategies and principles, and integrating in contents based on the teacher s beliefs;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about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as applied to form a trajectory as a rough outline of the mathematics class before the each class, control the trajectory during class by understanding class dynamics, and reflect on overall class, which was especially important as his knowledge was refined further through this process; Among the various sources to have influenced to Mr. Choi s practical knowledge, personal experience, especially religious conviction and study experience, and twenty eight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연구방법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교사의 실천적 지식 ------------------------------------------------ 9 1.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 ---------------------------------------- 9 2.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성격 ---------------------------------------- 14 가.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정의 -------------------------------------- 14 나.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 -------------------------------------- 17 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사용 -------------------------------------- 21 라.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원천 -------------------------------------- 23 3.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동향 ------------------------------- 27 가. 실천적 지식의 이해를 위한 접근 --------------------------------- 28 나. 실천적 지식의 개선을 위한 접근 --------------------------------- 30 B. 초등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 37 1. 초등 수학교육 동향 ----------------------------------------------- 37 2. 초등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연구 ---------------------- 43 가. 수학내용에 대한 이해 ------------------------------------------- 43 나. 아동의 수학적 이해에 대한 지식 --------------------------------- 45 다. 수학적 표상에 대한 이해 ---------------------------------------- 46 라. 수학교과의 본질에 대한 이해 ------------------------------------ 47 3. 초등 교과교육의 문제 --------------------------------------------- 50 Ⅲ. 연구 방법 --------------------------------------------------------- 60 A. 연구 방법의 배경 -------------------------------------------------- 60 B. 연구 설계 --------------------------------------------------------- 64 C. 연구절차 ---------------------------------------------------------- 68 D. 연구자, 연구 참여자, 수학시간 ------------------------------------- 85 Ⅳ.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102 A. 원리와 전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 -------------------------------------------------------------------104 B. 초등수학의 효과적인 교수-학습과 관련된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원리 ---------------------------------------------------------116 C. 수학수업과 관련된 상황에서 나타나는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전략 -------------------------------------------------------------------147 Ⅴ. 태양반 수학수업에서 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사용 -------------------214 A. 수학수업 이전 단계에서의 사용 -------------------------------------216 B. 수학수업 실행 단계에서의 사용 -------------------------------------221 C. 수학수업 이후 단계에서의 사용 -------------------------------------262 Ⅵ. 최교사의 초등 수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원천 ------------------267 A. 개인적인 삶 -------------------------------------------------------269 B. 직전 교육 ---------------------------------------------------------276 C. 교수 경험 ---------------------------------------------------------279 D. 교수적 맥락 요인 --------------------------------------------------285 Ⅶ. 요약 및 결론 ------------------------------------------------------290 A. 요약 --------------------------------------------------------------290 B. 결론 및 시사점 ----------------------------------------------------294 참고문헌 --------------------------------------------------------------310 부록 ------------------------------------------------------------------3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486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등 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