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교사가 지각한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생 학업성취도와의 관계구조

Title
교사가 지각한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생 학업성취도와의 관계구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student achievement
Authors
강정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연구는 교장 수업지도성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 는 지를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관계구조를 설정한 후 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교장양성 프로그램이나 교장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학교상황·개인특성은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수준의 변수인 수업조직·학교풍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급수준의 변수인 교사의 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교수준 변수는 학급수준의 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학교·학급수준 변수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생 학업성취도와의 관계구조에 대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상황적응적 이론의 지도력 효과 관점에 입각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련될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크게 학교수준의 변수와 학급수준의 변수로 나뉘어진다. 학교수준의 변수로는 수업조직과 학교풍토가 선정되었고, 학급수준의 변수로는 교사효능감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17개교의 2·4·6학년 담임교사 269명과 학급아동 540명이다. 표집은 지역과 학교급지를 고려한 2단계 유층표집을 하였다. 우선 지역은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목록에 근거하여 강동, 강서, 강남, 강북의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고, 학교의 사회·경제적 여건은 서울특별시 교육청이 학생의 생활여건, 교사의 근무여건을 고려하기 위해 제작해 놓은 학교급지별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표집은 4개 지역에서 세등급(가·나·다)의 학교급지별로 구분한 후 각 등급당 2개 학교를 무선표집하였다. 단 최하위 등급의 다급 학교는 서울시내에서 2개 학교가 분류되어 있었고 이 중 1개 학교가 2000년에 폐교되었기 때문에 나머지 1개 학교만을 표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사용 도구와 아동용 도구로 나뉘어진다 교사용 도구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수업 조직, 학교풍토에 대한 질문지였다. 학생용 도구는 국어·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LISREL 프로그램에 의한 공분산 구조 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발견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수업조직과 학교풍토를 거쳐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상황 특성과 교장개인 특성의 영향을 받고, 수업조직, 학교풍토, 교사효능감을 거쳐 학생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장의 수업지도성 행동은 학교상황 특성의 영향을 받고, 수업조직, 학교풍토를 거쳐 학생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생 학업성취도간의 관계구조에서 각 변수들은 직·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선행변수인 학교상황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라 학교급지가 높을수록, 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참여가 활발할수록 교장은 효율적인 수업지도성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학교상황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수준 변수인 수업조직과 학교풍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장 수업지도성과 수업조직과 관련하여, 교장이 효율적인 수업지도성을 발휘할수록 교사들을 위한 연수, 학교 수업프로그램의 배치, 수업자료 구비 및 이용, 학생들의 학습집단 구성은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교풍토와 관련하여, 교장이 효율적인 수업지도성을 발휘할수록 학교질서, 학교환경, 학생들에 대한 기대, 학교 내 협력은 더 바람직하게 조성될 수 있다. 학교상황과 교장 수업지도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수업조직과 학교풍토는 학급수준 변수인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조직과 교사효능감에 관련하여, 교사들을 위한 연수, 학교 수업프로그램의 배치, 수업자료 구비 및 이용, 학생들의 학습집단 구성 등이 바람직하게 조성될수록 교사의 효능감은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학교풍토와 교수효능감에 관련하여, 학교질서, 학교환경, 학생들에 대한 기대, 학교 내 협력이 더 바람직하게 조성될수록 교사의 효능감은 더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상황과 교장 수업지도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수업조직과 학교풍토는 학생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조직과 학생 학업성취도에 관련하여 교사들을 위한 학교의 연수, 학교 수업프로그램의 배치, 학교수업 자료 구비 및 이용, 학생들의 학습집단 구성 등의 수업조직은 교사들의 효능감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학생들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의 수업조직은 학교상황에 맞게 지나치게 구조적이지 않도록 교장의 지도하에 적절하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풍토와 학생 학업성취도에 관련하여, 학교질서, 학교환경, 학생들에 대한 기대, 학교 내 협력 등의 학교풍토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질서, 학교환경, 학생들에 대한 기대, 학교 내 협력이 더 바람직하게 조성될수록 학생 학업성취도는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문헌연구로부터 도출된 각 변수의 의미있는 하위요인과 경험적 자료로부터 도출된 하위요인의 설명력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학교상황 특성의 경우, 문헌연구에서는 학교의 사회·경제적 여건이 의미있는 요인으로 가정된 반면 경험적 자료에서는 학부모의 참여가 학교의 사회·경제적 여건보다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 수업지도성의 경우, 문헌연구에서는 수업개선 활동과 수업지원 활동이 의미있는 요인으로 도출된 반면 경험적 자료에서는 수업지원 활동과 학교비전 제시 및 강화활동이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학교수업 조직의 경우, 교사현직 연수와 수업프로그램 배치가 문헌연구로부터 의미있는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경험적 자료에서도 이 두 요인이 다른 요인보다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학교풍토의 경우, 문헌연구에서 학교환경과 기대가 의미있는 요인으로 도출된 반면 경험적 자료에서는 학교환경과 협력이 다른 요인보다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장은 수업조직과 학교풍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교사로부터 영향을 받기보다 수업조직과 학교풍토의 영향을 받으며, 수업조직과 학교풍토는 교장의 수업지도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장 수업지도성 발휘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수업조직·학교풍토의 중요성을 시사받을 수 있다. 바꾸어서, 교장 수업지도성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못 미치고, 교사효능감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이들의 관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발견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공교육의 부실이 논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를 반영하고 있다는 데에 시사하는 바가 크며 이를 토대로 교장, 교사, 학생학습간의 새로운 관계정립에 대한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monstration of relationship structure, which explains synthetically how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exerts an influence on student achievement.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n educational significance by applying as an elementary data for principal inservice education or induction course for the principals in service. To this ends, the research questions stated: First, How do the school context and personal characteristic influence on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Second, How does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influence on the variables of the school-level? Third, How does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which is variables of the class-level? Fourth, How do the variables of the school level influence on the variables of the class-level? Finally, How do the variables of school and class level influence on student achievement? This research is the social study research that approaches to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and the student achievement in the view of leadership effectiveness of contingency theory. The selection of the expected variables related to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and the student achievement preceded this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elected variabl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he school-level and the class-level.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school climate have been selected as the school-level variables and the teacher efficacy would be the class-level variable. This study administrated 269 homeroom teachers and 540 students in 2nd, 4th, 6th grade from 17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are divided into two, one for teachers and another for students. The instruments for teachers are the questionnaire about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of principal,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school climate.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is about student achievement tests for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y LISREL Ⅷ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chool context and personal characteristic affects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partially. Firstly, it shows that the school context has direct effects on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In concrete terms, the parent involvement and school social economic status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principal could not affect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of principal. And also it shows that the principal s personal career and age could not influence on the leadership operation of principal concretely. 2.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directly affect the variables of the school-level including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promotion of school climate. Firstly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instructional organization. Not only this instructional organization has been directly affected by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and also by the school context at second hand. It is affected by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that in-service program, school program alignment, student grouping, possession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its utilization. It is helpful to form the concrete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its maintenance that the principal presents the school vision, and operate for its enhancement, instructional support, improvement and assessment. Secondly it shows that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climate creation and its maintenance. And the school climate is directly affected not only by the principals behavior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but also by the school context indirectly.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influence on the school environment, school order, expectation and cooperation. So, the principals behaviors including presentation of the school vision, instructional support, improvement and assessment would be a help to form the school climate positively. 3.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could not affect directly the teacher efficacy, one of the class-level variables. But it affects teacher efficacy indirectly through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school climate creation. 4. The school-level variables have direct effects on class-level variables. To say, the school-level variables like an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school climate affect the teacher efficacy, which is one of the class-level variables directly. Firstly, instructional organiz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eacher efficacy directly. The teacher efficacy is affected not only by instructional organization directly but also by the school context and the principal s instructional leadership, which affects the school organization. 5. It shows that the variables of the school-level and the class-level have influence on the student achievement partially. First of all, it shows that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 as a school-level variable has negative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The student achievement is affected not only by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 directly but also by the school context and the principal s instructional leadership indirectly, which affect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 At second hand, the school climate has affirmative effects on the student achievement directly. The student achievement is affected not only by the school climate directly but also by the school context and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indirectly, which have influence on the school climate. And at the end, it shows that the teacher efficacy as class-level variable could not have direct effects on the student achievement. The student achievement is affected directly by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the school climate not by the teacher. And it is also affected indirectly through the school context and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which also affects the instructional organization and the school climate.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may have an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focused on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as one of those variables. Providing insight into specific instructional behaviors of principals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