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2 Download: 0

도시 환경개선을 위한 보행자 가로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사동길의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Title
도시 환경개선을 위한 보행자 가로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사동길의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Authors
김순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환경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도시 내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미적 경험과 자율성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창조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주는데 있다. 그 창조적인 환경이란 다양성을 지닌 선택의 자유를 허용할 수 있는 도시로서, 인간과 도시환경과의 최대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가능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에 인구가 집중 되여 고밀화 되고 도시의 급속한 팽창과 자동차의 생활화로 도시의 주인인 인간은 도시 내에서 쾌적한 생활 여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작용할 수 있는 정서적이고도 심리적인 여유를 주는 공간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도시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보행자 전용가로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 지고 있다. 도시 생활인에게 정서적 만족을 주는 보행자 가로의 중요성은 도시 활성화 매개로서의 환경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 시킨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보행자 가로의 색채계획을 선정한 것은 모든 환경은 색으로 이루어져 있고 색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하고 없어서는 안 될 정보매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경을 수정하거나 조성해 나가고 있는 현대 문명은 환경의 조화를 파괴하기도 하고 그릇되게 구성해 냄으로써 질서를 어지럽게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군립한 아파트의 외장 색에서부터 도심의 빌딩가, 쇼윈도, 버스의 색깔에 까지 공공의 환경색이 제대로 색채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곳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시각은 바로 색각이며, 인간으로서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이 도외시 될 수 없는 현실이기에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인간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공간으로서의 보행자 전용지역을 선정하여 그 성격에 적합한 색채를 계획함으로써 삶의 질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하는데서 본 논문의 의의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색채 계획방법의 연구이다. 1. 연구의 문제 제기와 목적, 그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2. 도시 환경디자인의 이론적 배경과 그 중에서 보행자 가로의 개념 및 특성을 문헌적 고찰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 이를 통하여 보행자 가로가 도시 환경디자인의 범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도시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됨을 밝혀 대상 선정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3. 보행자 전용가로의 색채계획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환경색채디자인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았다. 4. 색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색채의 일반적인 체계들을 정리하고 비교하여 자연색 체계(NCS)를 색채계획에 적용하고 우리의 전통색 체계와의 연관성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5. 색채 조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서의 보행자 가로의 바람직한 색채 조화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6. 색채계획의 대상지역으로 인사동 지역을 선정하여 계획함으로서 삶의 질적 수준제고와 전통문화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위의 방법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합목적적이고 과학적인 환경 색채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문화적 복지증진과 더불어 환경색채의 보편성과 일반성을 기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인사동길의 색채계획의 방향과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자 가로이므로 올바른 보행환경을 제공하기위하여 이용자의흐름을 유도하고 통일감을 줄 수 있는 색채를 계획하였다. 둘째, 인사동길은 활기차고 현대적인 거리보다는 만남의 거리, 문화예술의 거리의 이미지가 바람직하므로 색채사용에 있어서도 너무 화려한 단청보다는 자연과의 조화 속에 어우러 졌던 서민들의 색채를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역사와 문화의 거리인 인사동길이 정체성을 확립하여 인사동 문화의 발전과 서울의 상징이 될 수 있는 문화적 명소로서 자리매김을 하고자 하였다. ; The ultimate goal of modern city planning is to provide city residents with creative environment . The notion of creative environment refers to whe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is maximized with various options of choices allowed. The rapid expansion of city boundaries,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city areas, and the usage of automobiles on a daily basis have considerably taken away comfortable living spaces from human beings who are the owner of the city. In this regard, the need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that help improve the living standards of people is increasingly being highlighted. In the same vein, the need to build sidewalks exclusively used for pedestrians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importance of sidewalks exclusively used for pedestrians, which provide people with content for living in a city area, lies in the fact that the footways for pedestrians only mediate and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as well as among human beings themselve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color design of an area for pedestrians only as a unit of community spaces. This is because the environment is composed of a set of colors and thus colors are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crucial for human beings. However, the modern culture that modifies or creates the environment sometimes disrupts the decorum and order of the nature in an undesirable way. Moreover, there are very few cases, ranging from buildings to show windows and buses, that are coordinated based upon an appropriate color planning. This study coordinates an appropriate color design for a sidewalk for pedestrians onl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space for communication among humans and has the purpose of improving living standard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ality that visual communication is very crucial for human beings. This study is a method of color planning, based upon the following facts. 1. The subject, objectiv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explicitly predicated. 2.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idewalks for pedestrians only, included in the broader theoretical background for city planning, are mentioned through the scrutiny of relevant literature. As a result,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conclusion that pedestrian-only area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cope of city planning as well as determines the image of the city. All of this justifi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y subject. 3. The loopholes in the color design for pedestrian-only areas and the objectives of studying environment color design are pinpointed. 4. The basic concept and the generic system of colors are defined and compared among each other.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Natural Color System is proper for color design and it has much relevance to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system. 5.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color coordination, the way of desirable color coordination for pedestrian-only areas is examined. 6. The target area for color design was Insadong district. This study, thus, focuses on exploring the way to both improve living standards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The study on scientific environment color design with respect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has the objective of contributing to defining common and generic attributes of environment colors as well as to increasing the cultural wealth of human being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and directions in the color design for Insadong is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at the district is a pedestrian-only area, the colors were prepared, assuming unity and making smooth the flow of pedestrians,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optimal environment for walking. Secondly, Insadong allies have the image of traditional and cultural streets rather than hectic and modern space. Therefore, colors going better with the nature than too exquisite ones were chosen. thirdly, through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Insadong which is known for its historical and cultural attributes, this study underscored its importance as the cultural centre of Seou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