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전통적 의미를 지닌 캐릭터의 현대적 표현연구

Title
전통적 의미를 지닌 캐릭터의 현대적 표현연구
Authors
권경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rom long ago in using the letter, human have been making various expression patterns by cresting and symbolizing the meanings freely and artificially on the things and issues as a religious and habitual expression in life. Regardless of the generations of nationalities, they have their own unique style of historical symbols, and the symbolic meanings in life were contained inside of it. Koreans have been creating the artistic and various symbols with the rich imagination and talents of our own. Our symbol means the reverence on nature, the aspiration to utopia, the praying for happiness, repletion of love and blessing for the lucky sign, and contains the consciousness on beauty and emotion of our own. In other words, our historical symbol means the characters fixed as a group consciousness on the valuable national emotion and expressed as a symbolic sign. And these characters are not objects for the simple appreciation but the medium transferring a certain emotion or blessing as one part of life. And the character, that brings over the luck, had been used as the symbol for the desiring happiness individually or as a group in every culture zone, and the character is the object the dream, illusion or part of human himself to whom they want to own this. This concept has been continued in the current scientifically developed era, and people try to dream their future via this character and get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bilization and satisfaction. But the current society, that is being complicated on the people s view of value by the publicly owned media and the multi-cultual conditions, meets quite large movements and huge fast changes in various sectors such as culture, economy and politics. Especially within the small familly unit and the fast changing modern society, our traditional culture and beautiful custom are being changed and individual morals are wavering. Now we are experiencing the traditional value. According to these conflicts among generations,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of family separation, different sex, children, old generation and even disease. We need to overcome this chaos of value and find out the way of recovery human relations that respect, love and believ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haracter, based on its own unique softness, can become the tonic for the fast changing modern people to share love and bless, and live happy and healthy life. In order to do this, we need new stimulation, with the character of modern sense and uniqueness, mixed with between the moral and view of value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and effectiveness of the modern society. Therefore, we need to get out of the unstable, loney and isolated human condition and recover the emotional stabilization and make the happy society. According to this, we need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he new patterns via our traditional subjects in character design, but also the understanding and the new translation on the previous way of thinking and action. Through this thesis, we can develop the character that can fill out emotion and has traditional meaning. In order to develop the society with full of love and happiness, we need to try our best to recover the value that were variously changed in the modern society and rebuild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that were lost before. ; 인간은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부터 이미 생활 속에 하나의 종교적, 습관적 표현 방법으로 외계의 사물과 사건에 대하여 자유롭게, 그리고 인위적으로 의미를 창작하고 상징화하여 다채로운 표현 양식을 만들어 사용해 왔다. 어느 시대, 어느 민족이든 그들 나름의 독특한 고유 문양이 있고 그 속에는 생활 속에 깃들어진 상징적 의미가 내포 되어 있다. 우리 민족은 풍부한 상상력과 재능으로 미적이고 다양한 상징들을 창조하여 사용해 왔다. 우리의 문양에는 자연에 대한 외경과 이상세계의 동경, 행복의 기구, 애정의 충만과 길상(吉祥)의 축복을 상징하고 있으며 우리 민족 고유의 미의식과 정서가 담겨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전통 문양은 민족 집단적 가치 감정이 통념에 의해 고정되고 상징적 기호에 의해 표현된 캐릭터라 할 수 있으며 단순히 감상의 대상이 아닌 어떤 정서나 기원을 전달하는 매개체 구실을 하는 생활미술의 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또한 행운을 가져오는 대상물이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는 주술적이고 복을 기원하는 상징물로서 모든 문화권에서 개별적 혹은 집단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그것을 소유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캐릭터는 하나의 꿈과 환상, 분신 같은 대상물이다. 이러한 개념은 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도 계속되어 캐릭터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꿈꾸며 심리적, 정신적으로 안정과 만족을 얻기도 한다. 그러나 미디어가 공유되고 다중 문화현상으로 인한 복잡한 가치관으로 뒤엉킨 요즈음 사회는 문화, 경제, 정치 등의 여러 영역에서 무수한 변동과 크고 빠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부모와 한 두 자녀로 구성된 소가족 단위의 가정과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우리의 전통문화와 미풍양속이 변해가고 개인의 윤리체계가 흔들리고 있어, 전통적 가치관이 무너진 이러한 상태에서 지금 우리는 사실상 가치관의 공백상태를 겪고 있다. 그에 따른 세대간의 갈등, 가족 해체의 증가, 이성문제, 자녀문제, 노인문제, 질병 등의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가치관의 혼란 상태를 극복하여 서로를 존중하고, 사랑하며 믿고 살 수 있는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우리에게는 전통 사회의 도덕성과 가치관을 현대 사회의 효율성과 결합한, 현대적 감각과 독창성을 지닌 캐릭터로 새로운 자극이 필요하며 불안하고 고독하고 소외된 인간 사회에서 벗어나 정서적 안정을 찾고 즐겁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캐릭터 디자인에 있어서 전통적 소재를 통한 형식의 발견만이 아닌, 지난 시간 우리의 사고와 행동양식 속에 내재되어 있던 것들에 대한 이해와 현시점에서의 재해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캐릭터는 우리의 정서를 따뜻하게 채워 줄 수 있는 전통적 의미를 지니며 현대 사회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 변화된 가치관과 우리의 잃어버린 전통적 의식을 되찾아 사랑과 행복이 가득한 사회로 나아가게 할 것이다. 캐릭터 특유의 부드러운 측면으로 현대인들의 변해가는 인간미에 사랑과 기쁨을 심어주고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활력소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