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정구-
dc.creator조정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9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85-
dc.description.abstract지금 우리는 새로운 세계관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과거의 기계론적 세계관으로 인류의 문명은 발전했지만 환경은 무분별한 파괴로 인하여 인류는 생존의 위기에 처해 있다. 전일적이고 생태학적 세계관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이러한 문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한다. 새로운 문화공간의 창조의 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여행자 안내 센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말해 왔듯이 21세기는 정보화 시대이다. 현대는 유형의 자산보다 무형의 자산이 더욱더 중요한 시대라고 말한다. 앞으로의 우리사회는 이러한 정보화 시대에 무형의 첨단 산업인 관광 산업을 위하여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관광 인프라에 있어, 여행자 안내 센터는 가장 바탕이 되는 요소라고 생각된다. 여행자 안내 센터는 여행자들에게 낯선 도시를 친근한 도시로 변모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여행자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쉽게 눈에 띠고, 또 그곳에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역적 현실에 맞고 여행자 안내 센터라는 공간의 특성에 맞는 디자인을 위해 가변적 공간의 개념을 도입, 언제 어디서나 쉽게 설치가 가능함으로 이용자들의 접근도 용이하고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 서비스의 다양하고 이용이 편리한 공간으로서의 여행자 안내 센터를 디자인 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서의 여행자 안내 센터 디자인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장에서는 여행자 안내 센터의 연구 목적과 범위 및 방향에 대하여 제시한다. 2장에서는 새로운 세계관으로서 시스템적 세계관에 대한 고찰과 현재의 도시 환경의 한 요소로서 여행자 안내 센터의 문제점과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한다. 3장에서는 여행자 안내 센터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공간 형태의 디자인을 위한 공간 조형 원리의 분석을 위해 공간 구성에 있어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고찰과, 이용자의 행태 지원을 위한 생태학적 지각이론에 대하여 정리하고, 공간의 가변성 적용을 위한 유닛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유닛 시스템과 조립식 건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4장에서는 이용자들의 행태 분석을 통한 공간 프로그래밍을 한다. 5장에서는 이용자 행태 분석을 바탕으로 공간 조형원리를 적용한 단위 공간의 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형태 변형의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실제 공간에의 적용을 통하여 가변적 공간으로서의 여행자 안내 센터의 가능성을 밝힌다. 6장에서는 새로운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의 여행자 안내 센터의 평가와 의의를 밝힌다. 여행자 안내 센터는 여행자들에게 낯선 도시를 친근한 도시로 변모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다. 낯선 도시 그리고 언어도 다른 외국에서 좀 더 쾌적한 공간에서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많은 외국인들에게 인상 깊은 여행자 안내 센터가 될 것이고, 더 나아가서 친근한 도시로 기억될 것이다. 일반 시민들에게도 도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그 지역의 랜드마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도시의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여행자 안내 센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We are now living in the era where worldwide vision is required in holistic and ecological paradigm. Civilization of the human race has evolved so far with mechanical worldwide vision while the environment we are now living in has been destroyed to the extent that the human race has ended up facing a danger of survival.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we must create a new culture which can last through lots of dangers. As a method to create a new cultural space, I would like to approach an alternative for a tourist information center in this dissertation. As many people has been saying, twenty first century can be defined as the information era where untangible assets have more values than the tangibles ones. In this aspect, tourism industry is viewed one of the most attractive areas of industry which can greatly benefit our society. As for the infrastructure of tourism, establishing an effective network of tourist information centers around the count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ourist information centers play essential roles for travellers who are new in town to accomodate them with friendly atmosphere. Therefore, they should be accessible, attractive, and informative before anything else. Moreover, their space should be changeable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centers and to fit with the reg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an be adaptabl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I would like to illustrate how easy access of the centers along with the variety of size and design can offer users convenient and friendly services. In this study, following procedures have been applied to introduce a whole new concept of a cultural center for tourist information. Chapter 1 gives an overview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le suggesting direction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2 deals with problems and necessities of the tourist information centers as an essential element in a modern city while inquire into the systematic worldwide vision as a new concept. Chapter 3, I would like to approach geometrical shapes in order to analyze principles of space formations a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signing the tourist information centers. Also it will analyze ecological perception theory of the users behaviors while researching into the unit system and prefabricated building for the application of space variation. Chapter 4 suggests space programming through analysis of the users practice. Chapter 5, with the analysis of the users practice in the background, a final version of space design in tourist information centers will be proposed after stages of various transformation through designing the unit space with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of space formation. The last chapter of this study will evaluate and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tourist information center as a new compound cultural space. Tourist information centers do an important role of transfiguring strange, unfamiliar place into a friendly place. They are in the front of performing an gigantic role of giving not only information about tourist attractions and travelling tips, but also friendliness and good impression of the city if they are cozy and pleasant to travellers in a strange city where people speak in a foreign language. Also to the general public, tourist centers can offer various informations concerning current events and news of the city and so carry out tasks of enriching the region s culture as a new cultural space of the 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2. 문화 공간으로서의 여행자 안내 정보 센터 디자인 배경 = 4 2.1. 문화 공간으로서의 여행자 안내정보센터의 필요성 = 4 2.1.1. 패러다임의 전환과 시스템적 세계관 = 4 2.1.2. 여행자 안내 정보 센터의 필요성 = 7 2.2. 여행자 안내 정보 센터의 현황과 문제점 = 8 2.2.1 현황 조사 = 8 2.2.2.이용자 행태적 관점에서 본 문제점 = 11 2.2.3.환경 미학적 측면에서 본 문제점 = 13 2.3. 여행자 안내 정보센터의 사례분석 = 15 3. 여행자 안내 정보 센터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고찰 = 19 3.1. 공간 구성에 있어서 기하학적 형태에 관한 고찰 = 19 3.1.1. 기하학의 정의와 특성 = 19 3.1.2. 기하학적 형태의 정의와 분류 = 19 3.1.3. 건축 조형과 기하학 = 21 3.1.4. 변형에 의한 조형 특성 = 24 3.1.5. 구성에 의한 조형 특성 = 32 3.2. 생태학적 지각이론 = 40 3.2.1. 지각의 생태학적 특성 = 42 3.2.2. 행태 지원성 = 43 3.2.3. 생태학적 지각이론의 디자인에의 적용 = 44 3.3. 유닛 시스템 (Unit System) = 45 3.3.1. 유닛 시스템의 정의 = 45 3.3.2. 조립식 건축 = 46 3.3.3. 모듈의 개념 = 49 3.3.4. 유닛 시스템의 적용사례 = 50 4. 공간 프로그래밍 = 52 4.1. 이용자 행태 분석 = 52 4.2. 공간의 구성 원리 = 54 4.3. 공간 프로 그래밍 = 55 5. 여행자 안내 정보 센터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 56 5.1. 디자인 개요 = 58 5.2. 건축 형태의 기본 개념 = 58 5.3. 공간 계획과 디자인 적용 = 63 5.4. 최종 디자인 = 67 5.4.1. PLAN A-5 = 67 5.4.2. PLAN A-4 = 74 5.4.3. PLAN A-3 = 78 5.4.4. PLAN A-2 = 81 5.4.5. PLAN A-1 = 84 5.5. 디자인 평가 = 86 6. 결론 = 88 참고 문헌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157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환경 디자인에 있어 공간 조형 원리에 관한 분석과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여행자 안내 센터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