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희영-
dc.creator정희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9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시환경개선을 위하여 현재 도시환경색채계획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 해결방안으로 다학문적 관점에서의 색채계획 기준을 통해 가로환경색채계획의 정비를 제시하는 모형사례연구이다. 도시환경색채계획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내에서 가장 도시환경 이미지가 낙후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구로구지역을 현황분석대상지로 삼았으며 이 지역의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연구를 진행하여 환경색채계획 개선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있는 자연색체계(NCS)를 통하여 가로환경색채계획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가로환경 색채계획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적으로 시스템적 관점에 의한 다학문적 접근방법을 취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초점을 인간과 환경, 색채가 조화되기 위한 이들간의 상호관계성에 맞추고 있다.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가로환경 색채계획의 연구에 대한 가치와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새로운 사회사상과 자연과학 패러다임에 따른 세계관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러한 이론들을 통합하는 전일적 세계관을 이해함과 동시에 뉴패러다임에 입각한 도시의 환경디자인과 환경색채계획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있는 자연색체계(NCS)에 대해 살펴보고 색의 물리적 인지과정과 색채의 시지각과정, 환경색채계획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변수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환경색채계획의 접근방법을 다학문적 관점에서 연구해야 함을 강조하며 행태과학적 접근방법에 의해 환경색채계획을 위한 기준점을 살펴보았다. 특히 게슈탈트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색채계획 기준과 함께 환경색채계획을 다룰 때 고려되어져야 하는 깁슨의 생태학적인 미적 지원성의 개념을 이해한 후 지원성을 중심으로 한 색채계획 기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연구결과의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며 통합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는 가로환경색채계획을 실현하고자 선행연구자들의 색채조화론과 조화된 환경색채계획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훌륭한 배색기준이 될 수 있는 자연환경의 색채현황과 자연환경의 계절과 시간, 상황에 따른 색채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보편적인 색채조화원리를 파악하여 보다 타당한 환경색채조화의 선택 기준점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환경개선의 필요성이 높은 구로구 지역을 도시환경색채계획 현황을 분석 대상지로 선정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는 환경색채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로 지역을 도시계획법에 의한 도시용도지역의 4가지 구분에 따라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 때 각 지역의 환경색채계획 문제점 분석을 위한 기준점은 색채-도시 기능 상관표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특히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해당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도시의 기능과 이를 지원해줄 수 있는 색채의 기능이 일치하는 항목을 상관표에서 선정하여 그 지역의 환경색채계획 기준점으로 설정하였다. 각 지역별 환경색채계획 현황은 최종적으로 전체 색채현황을 나타내는 색채이미지를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색채분포도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5장에서는 현황분석 대상지인 구로지역 내에서 환경색채계획 모형사례연구를 위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모형사례를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로역 및 신도림 역세권 지구단위계획 구역을 가로환경 색채계획 모형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현재 지구단위계획의 시행지침에 맞는 가로환경 색채계획을 제시하였다. 가로환경 색채계획안은 크게 도시용도지역별로 나누어 본 건축물 외부색채계획안인 A안, B안과 옥외광고물 색채계획안, 가로시설물 색채계획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최종적인 환경색채계획안을 지구단위계획구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에 의해 평가하였다. 6장에서는 색채조화원리에 의하여 도시용도지역별로 특성을 부여한 가로환경 색채계획의 연구방법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와 연구진행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에 대한 최종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리고 연구의 의의를 명시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결론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이 시각적 공해로 작용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도시환경 개선방안으로서 가로환경색채계획을 제시하고 더불어 각각의 도시용도지역별로 그 특성에 맞는 환경색채계획이 이루어져 지역의 정체성을 지닌 가로환경색채계획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가로환경 색채계획의 모형사례연구 과정에서 제시된 최종 환경색채계획안은 본 연구 내에서 선정한 대상지에서 뿐만이 아니라 도시재개발지역이나 신도시개발 등에 충분히 일반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때 큰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ill raise problems of current environmental color planing. Furthermore, by criteria of color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 of behavior science, this study will address adjustment of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as the model based on a case study method.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Guro-gu which has the one of the poorest urban environment in Seoul Special District is selected as a case area of this study. This study will also pose recommendations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by relying on objective data from this area.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aiming at examining Natural Color System(NCS) reflecting the ecological paradigm. To recommend an effective street color plan,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procedure of the study. Consequently, this study takes a inter-disciplinary approach from the systematic perspective, and this study is focusing on a balanced relationship among humans, environment, and color. The processe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Chapter 1 will discuss the value, scale and methodology of a street environment color plan to ameliorate urban environments. Chapter 2, this study will pay attention to alternation of global waves based on new sociological theories and paradigm of natural science. This acknowledgement will lea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which unifies those theor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ill reveal the urban environmental design and urban landscape planning. This chapter will also address NCS which reflects ecological paradigm and considerable variables when physical perceiving process, visual thinking process of color, and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is examined. In addition, since it is crucial to emphasize that an urban landscape plan should be coped with a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 exemplary plan i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behavior science. Particularl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not only gestalt psychology criteria which is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Gibson s concept of ecological beauty affordance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an environmental landscape plan is devised. Subsequently, after a co lor plan criteria by the convertibility should be probed, this studies results are verified. Chapter 3 addresses existing case studies regarding to balanced coloring theory and balanced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to establish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contributing to being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to accomplish untied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to be considered the present condition of color and seasonal, timing of a day, and situational alterna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since these could be an excellent basis of coloring. Throughout this research, more widely accepted principles of balanced coloring are realized; therefore, less disputable decision criteria of environmental balanced coloring are developed. Chapter 4 Guro-gu area that has one of the poorest environments in Seoul is selected as a case area to analyze existing conditions since this selection increase research validity. Moreover, to ensure whether environmental color planing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based on areas special circumstanc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by four different land use criteria according to urban planning law; residential areas, commercial areas, industrial areas, and park and open space areas. Coloring-urban functionality cross-tables are introduced to establish a decision point for the analysis of each sub-areas problems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Especially, to acknowledge different specialties among selected sub-areas, an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decision point is devised by establishing cases of the consistency between urban functionality needed by the selected sub-areas and 색채 functionality playing a supportive role in cross tables. Existing conditions of environmental color planing in each selected sub-are as is shown by coloring images which represent final overall coloring circumstances. After each cases coloring distributions is examined, by comparison analysis of them,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are introduced. Chapter 5 research is carried out by selecting sub-areas of Guro-gu which is the case area of this study for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case model study then develop a case model. Transit oriented commercial area plan districts of Guro and Sindorim Stations are decided as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case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area unit plan, a suggested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is developed. The Draft of suggested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is broadly divided by urban land use areas such as A draft A and B which are outside color planing of structures; a draft of advertisements color planning outside of structures; and a draft of street structures color planing. A final draft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is evaluated by residents of the district. Chapter 6 draws overall evaluations from the research method of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according to principles of balanced coloring which renders specialties by each urban land uses and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results. Moreover, a final conclusion is drawn by explaining value of this study and identify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as a solution of visual pollution in the urban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fact that urban street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should differentiate by different urban land uses to enhance the identity of areas. This study is valuable because a final environmental color planing which is developed through a model case of urban street environment could be generalized not only the selected area of this study but also various urban renewal projects or new village proj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 3 1.3. 연구의 방법 = 4 2. 환경디자인 패러다임과 환경색채계획 = 6 2.1. 환경디자인 패러다임의 전환 = 7 2.2. 환경디자인과 환경색채계획= 11 2.2.1. 자연색체계(NCS) = 12 2.2.2. 색채의 시지각 과정 = 17 2.2.3. 환경색채계획시의 고려사항 = 19 2.3. 환경색채계획의 이론적 기준 = 23 2.3.1. 게슈탈트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색채계획기준 = 23 2.3.2. 행태과학의 지원성 개념으로 접근한 색채계획기준 = 26 3. 환경색채조화의 배색기준 = 33 3.1. 색채조화론의 원리 = 33 3.1.1. 성립과 발전 = 33 3.1.2. 비렌의 색채조화원리와 자연색체계 색삼각형 = 39 3.3.3. 색채조화론이 적용된 사례조사 = 43 3.3.4. 색채조화론에서의 고려사항 = 44 3.2. 자연환경과 색채 = 45 3.2.1. 자연의 색채 = 45 3.2.2. 동물의 색채 = 47 4. 도심 내 대상지역 환경색채계획의 현황 분석 = 50 4.1. 구로구의 현황조사 = 50 4.2. 도시용도지역별 환경색채계획 현황 및 문제점 = 55 4.2.1. 주거지역 = 58 4.2.2. 상업지역 = 60 4.2.3. 공업지역 = 62 4.2.4. 녹지지역 = 64 4.3. 가로시설물의 현황 및 문제점= 68 5. 가로환경 색채계획 및 적용을 위한 모형사례연구 = 70 5.1. 환경색채계획 대상지 프로그래밍 단계 = 70 5.1.1. 구로역 및 신도림 역세권 지구단위계획의 의의 = 70 5.1.2. 현황 및 주변환경 분석 = 71 5.1.3. 발전계획 = 74 5.2. 환경색채계획의 개요 및 진행과정 = 80 5.3. 환경색채계획의 원리 및 적용 = 82 5.3.1. 도시용도지역별 건축물 외부색채계획안 = 83 5.3.2. 옥외광고물 색채계획안 = 88 5.3.3. 가로시설물 색채계획안 = 90 5.4. 최종 환경색채계획안 = 91 5.5. 평가 = 95 6. 결론 = 98 참고문헌 = 101 부록 = 105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095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가로환경 색채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