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순임-
dc.creator이순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37-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직물 디자인은 신소재 개발의 눈부신 발전과 예술, 디자인과 기술 공학 그리고 과학과의 긴밀한 관계에서 진보된 모습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직물 디자인의 관점에서 소재의 응용에 따라 하나의 직물에 색과, 질감 그리고 형태면에서 복잡한 변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패션 디자이너의 고유함과 독창성을 나타내는 역할과 함께 소비자의 고정된 시각을 다양성으로 이끌며 새로운 수요 창출을 가져오고 있다. 현대 직물 산업의 중요한 문제는 무수히 많은 재료와 도구, 사용 가능한 기술들의 적절한 선택과 조합에 있다. 직물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재료와 기법의 선택과 조화는 근본적인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물 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관한 것으로 섬유의 일반적 특성과 화학적 성질에 따른 반응에 기초하여 합성섬유의 열가소성(Thermoplastic)과 화학적 처리(Chemical treatment)에 의한 가공으로 2차원적 평면 직물에서 그 범위를 넓혀 다양한 질감(Texture) 및 부조 효과와 3차원적(Three-dimentional)인 표현으로 패션 직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합성섬유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타이다이(Tie-Dye)와 시보리(Shibori) 등 전통적인 기법과 플리츠와 몰딩으로 입체감과 불규칙한 조화를 직물의 표면에 구성함으로서 자연스러우며 유동적인 표현과 감정적이고 촉각적인 질감으로 3차원적 특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 제작과 실험을 위한 이론으로는 섬유의 성질과 특성, 화학적 성질(특성)을 기초로 하였으며 제직과 실험에 있어서 섬유의 가소성(Plasticity)의 차이와 열과 수분 작용에 의한 수축률, 산과 알칼리에 대한 반응에 따라 계획적인 제직 설계와 제직물의 가공 처리로 직물의 3차원적 표현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소재 사용에 있어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교직과 제직 밀도, 가공 기법의 혼합에 따른 다양성을 통해 3차원적(Three-dimensional)인 표현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섬유의 가소성(Plasticity) 차이에 의한 제직과 타이다이와 시보리의 응용으로 직물의 불규칙한 표면의 부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합성섬유의 열가소성의 특성으로 플리츠의 응용과 몰딩에 있어서 3차원적 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또한 플리츠 가공직물에 반복된 열전사 프린팅 효과는 매우 흥미로운 것으로 2차원적 제직구조로 완결되는 직물에서는 볼 수 없는 우연성과 색의 변화와 깊이를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번 아웃(Burn-out)을 위한 레이온-폴리에스터/마-폴리에스터 제직위에 프린트한 복잡한 서체 문양은 저밀도의 교직 물에서도 식물성 섬유 분해가 가능하였다. 양모 섬유의 번 아웃은 처리 과정에서 의도한 수축으로 부피감 및 부조 효과와 함께 판염이나 타이다이 기법에 의한 패턴 표현이 가능하였다. 시보리 응용의 경우 자연스러운 주름과 함께 강한 부조 효과가 있었으며 울-폴리에스터 교직물의 염색에 의한 색상 변화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메탈릭과 폴리에스터 교직물의 금속성 용해( Melt-off )는 일반적으로 화학 용제에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알루미늄 금속성분이 뚜렷하게 남아야하지만 알루미늄은 산, 알칼리에 모두 민감하기 때문에 처리에 있어 까다로움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민감성으로 제직물에 여리게 남은 금속 성분은 봄의 잔설과 같은 느낌으로 직물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었다. 그리고 시보리 기법에 의한 주름은 강한 탄력성과 직물 전체 표면의 3차원적 표현이 깊이 있게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3차원적 표현의 직물은 감성적이고 촉각적인 질감(Texture)으로 패션 직물로서의 바디 프로포션에 대한 자유로움과 다양한 방향 제시가 가능하다. 가공 처리 과정에서의 형태와 질감, 색의 복잡한 변형으로 그 응용 범위는 매우 넓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직물의 가공(Aesthetic Finish)이 하나의 응용 디자인(Applied Design)으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부가 가치를 높이는 직물 디자인이기에 앞으로 더 많은 실험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Today s fabric design advances as the technology advances. Also it shows the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dazzling new materials, arts and design as well as the technological and science. These advancements are made, in terms of fabric design, in colour and texture of fabric by applying of materials and there is a complex transformation has been going on in terms of form. The fabric design also has the role of expressing the uniqueness and the originality of the fashion designers and making the new demands for consumers by leading the consumers with the variety to their fixed view. The important problem of the modern fabric industries is to harmonise the endless of materials with apparatuses as well as the appropriate choice of the useable techniques. The choice of materials and the techniques and their combination is the basic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fabric. Hence their importance is great. This study is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abric itself. The variety of textural expressions ranging from the 2-D fabric such as relief effects and 3-D expression researched. The effects due to the thermoplastic of synthetic fibre and the finishing process by the chemical treatment are pre-planned on the basis of the reac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fibre and the chemical structure. The possibility for the fashion fabric by applying these techniques was also studied. The relief effects and irregularities were constructed on the surface of textile due to the thermoplastic of synthetic fibres, tie-dye technique as well as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shibori, pleats and moulding techniques in order to emphasises liberation of movements and the emotional and tactile 3-D characteristics. The theoretical back ground for weaving and experiments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nature and the characteristes as well as the design of weabing by considering the variance due to the plasticity of fibre, contractility due to the heat and washing of textile and also the reaction to acid and alkali. The possibility to expand the textile in terms of 3-D expression was also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3-D expression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natural and synthetic fibres, weaving density and mixture of the finishing techniques. The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 Firstly, the irregularities of the surface effects contribute to deep and flexible relief effects on the textile surface was obtained by considering the variance of the plasticity of fiber in the weaving design stage and also applying the tie-dye and shibori techniques to the textile. The 3-D expression was emphasised due to the thermoplastic of synthetic fiber and the application of pleat and the moulding techniques. Secondly, the dessolve of the plant fibre on the textile, which has the complex typographic pattern printed on the surface, was possible even on the low densely combined textile made for the burnout such as rayon-polyester/linen-polyester combinations. The volume and the relief effects could be given to the wool fibre due to the shrinkage of the text in the burnout process. The expression of pattern was possible by applying the screen printing or tie-dye techniques. In the application of shibori, the natural pleat as well as the strong impression of the relief effects was obtained. Also it showed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colour transformation when the dyeing was applied to the wool-polyester combination. Thirdly, in the melt-off of the metallic and polyester combination, the aluminium metallic characteristic should remain on the part that was not exposed to the chemical in general. Due to the sensitiveness of aluminium to acid as well as to alkali, it was very difficult to process. But the lightly remained aluminium due to the sensitivity gave the impression of snow in early spring and reconciles well with the colour of the textile. The pleat made by shibori technique gave the strong elasticity to the textile and gave the deep 3-D expression all over the textile. Hence it was possible to give the liveration to the body proportion as a fashion textile and indicate various ways due to the sensual and tactile texture of the 3-D expression of the textile. The range of application was very wide since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 texture and colour due to the finishing process. It was conclud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finish as one of the applied design had to be recognised. Since the textile design supplements the value of the textile, there should follow more research and experiments has to be done on this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 1 2. 본론 = 3 2.1 현대패션에 있어서 소재의 변화 = 3 2.2 현대직물디자인의 변화 = 6 2.2.1 현대직물디자인의 특징 = 6 2.2.2 3-D 직물디자인 = 9 2.3 직물의 가공과 3-D 표현 = 19 2.3.1 직물의 가공 = 19 2.3.2 가공에 의한 3-D 표현 = 22 3. 작품제작 및 분석 = 27 3.1 작품배경 = 27 3.2 작품제작과정 및 분석 = 27 4. 결론 = 43 참고문헌 = 45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060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3차원적 직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공에 의한 2차 표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직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직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