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동섭-
dc.creator고동섭-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입학 초 대학생활 및 적응 특성, 그리고 예비교사적인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신학기 초 대학 생활과 적응 특성은 어떠한가? 3.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예비교사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각 도별 1개 대학의 2001년도 유아교육과 신입생으로 총 933명이며 2년제가 669명, 4년제가 264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W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2000)의 신입생·편입생 특성조사 설문지, Bragg(1994)의 신입생 첫 학기 적응에 대한 연구, 그리고 Bean과 Metzner(1985), Chartrand(1992)의 편입생 대학 적응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적 틀을 토대로 하였다. 또한 Brookhart와 Freeman(1992)의 연구에서 제시한 신입 예비교사 특징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요인들을 토대로 삼았으며 그 중 교사 이미지는 류칠선(1998)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4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부모님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대다수였으며 대학교 이상의 고학력은 소수였고 직업은 사무직, 판매직, 농어민 순이었다. 즉, 부모님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높지 않았다. 등록금 및 용돈 조달자는 대다수가 부모님이지만 전체적으로 여유를 느끼지 않고 있었다. 가족관계 및 가정생활 만족도는 대다수가 높은 편이며, 자신의 문제를 의논하는 대상자로 동성친구가 가장 많았다. 가족이나 친척 중에 유아교육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는 25.1%로 나타났고, 관련자의 직종은 유아교육기관 일반교사가 가장 많았고 유아교육기관장도 23.8%이었다. 둘째,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신학기 초 대학 생활과 적응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대학생의 역할로 학문적 지식 쌓기 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공관련 정보 나 자격증 제도 및 취득 에 대한 관심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에서 진로 및 취업 문제 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친구관계는 대다수가 긍정적이었고, 교수에게 인간적인 유대관계와 인생 상담을 가장 기대하고 있었다. 대학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영향을 준 것은 친구관계 로 나타났다. 신입생들은 유아교육의 유용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포부 또한 매우 높았다. 대다수가 유아교육과 전 과정을 수료할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예비교사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공 선택 시기는 수능이후가 가장 많았고, 유아교육과에 대한 정보원은 선배나 친구가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 대학홍보 책자, 인터넷 홈페이지 등의 정보원 사용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공 선택에는 본인의 의사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교육 선택 동기로는 호기심과 흥미, 적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나 신학기 초 전공에 대한 문제점으로 교육내용에 대한 낯설음과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교육내용 및 과제의 과중도 문제점으로 생각했다. 전공 외 능력개발로 영어 및 컴퓨터지식 습득문제에 관심이 많았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음도 문제시했다. 학과 친구 문제에 관해 대부분 만족하고 있었지만 집단 형성으로 인한 폭 넓은 관계의 어려움을 나타냈다. 경제적인 문제는 부수적인 교구교재 개발비에 대한 부담이 높았으며 진로문제는 공립 유치원 교사가 되기 위한 임용고시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가졌다. 졸업 직후의 계획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임용고시 준비가 가장 많았다.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유치원 교사로서의 자기 유능성을 매우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교직 만족도에 관해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는 비교적 긍정적이었지만 임금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이었다. 유치원 교사로서의 문제점으로 낮은 임금 및 인식과 같은 교사직 자체에 관한 것 에 가장 관심이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아이들·학부모·동료·상사와의 인간관계에 관한 문제 , 실제 수업에 관한 문제 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매우 높았고 하위 요인 중 유치원 교사의 인성적인 특성 에 대해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rst-semester life and adjustment characteristics, preservice teacher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 What are the first-semester life and adjustment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What are the preservice teacher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933 freshmen who entere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t each provincial university of the whole country in 2001, 264 are 4 years university students and the other 669 students belong to 2 years university. This study was use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this researcher fo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questionnaire was based on a general concept which have been used in follow cases; traditional student and nontraditional student characteristic survey (institute of student life guidance, 2000), first-semester freshman adjustment (Bragg, 1994), conceptual model of nontraditional undergraduate student adjustment (Bean & Metzner, 1985; Chartrand, 1992) . Also, based on major categories of variable have been studied for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 by Brookhart and Freeman (1992). And the teacher image of these categories used Assessment Scale of Profile of Kindergarten Teachers by Ruoo chil sun (1998). This study have been progressed for 4 weeks and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i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The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an education of their parents is mostly, high school graduation, just a few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over. And their occupations are arranged according to office clerks, salesmen, farmers & fishermen. That is, parents SES is not so high. They get their tuitions and personal expenses from their parents, but they do not think that it is enough. They express satisfaction at their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homelife. Person whom they consult when they need to discuss private problems is highest ranked as same sex friends. 25.1% of them have families and relatives who are conne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ost of the persons concerned ar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23.8% of them are the chief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semester life and adjustment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ir role as university student is to get knowledge of study. But they show their concerns in obtaining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and information of specialization. And their most important matters in university life are about the path in life and employment problems. They think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friends is positive, and what they want from their professors are humanities and consultation. They feel satisfaction at their own schools. They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fact which influence them in school life is "friend relationship". Entering teacher candidates have a positive attitude to the ut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y have a great ambition about it. Most of them seem to be ready to achieve those course. The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rvice teachers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chose their specialities after entrance examination (KOREA SAT), Mostly, they obtained their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ties from seniors&friends, and they samely obtain from parents, a publicity booklet, an internet homepage. They made their decisions for themselves in choosing specialities, their most motivation in choosing specialities are curiosities, interests, and aptitudes. Entering teacher candidat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eel satisfaction at their own specialities. But in specialities problem, they seem to be unfamiliar and have difficulties in their learning contents, overweight of contents and assignments. In ability development problem, they show their concern in learning computer and English, but they feel lack of free time. In friend problem,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branch friends but they feel it a little difficult to widen their friends relationship because of many small scale groups. In economic problems, their main concerns are development fees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way ahead problem, they show great concerns about examination to be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So, after graduation, most of them are scheduled to be teache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repare public employment examination. They perceive highly self-competence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In the situation of the teach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take a positive attitude toward a status of the teacher in a society, but negative about low payment. In teacher career problem, they think the problems may be as follows in order; the teachers poor conditions like low payment and perception,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such as kids, their parents, partners, seniors, the instruction problems. The imag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s fairly high, and among factors, the characteristics traits is highest percei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교사발달 = 5 1. 교사발달의 개념 = 5 2. 교사발달과 교사교육과정 = 8 B. 신입 예비교사 발달 = 10 1. 예비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소 = 10 2. 신입 예비교사의 학교적응 = 17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29 D. 자료분석 = 30 IV. 연구결과 및 해석 = 33 A. 일반적 특성 = 33 B. 대학생활 및 적응 = 43 C. 예비교사적 특성 = 50 V. 논의 및 결론 = 62 A. 논의 = 62 B. 결론 및 제언 = 75 참고문헌 = 80 부록 = 87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05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