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언아-
dc.creator김언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개념, 학습스타일이 자아 효능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을 가지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예비 유아교사들의 자아개념은 자아 효능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예비 유아교사들의 학습스타일 유형에 따라 자아 효능감은 어떠한가? 2-1. 예비 유아교사들의 학습스타일 유형의 경향은 어떠한가? 2-2.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습스타일에 따른 효능감에 집단간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4년제 사립대학교 유아교육과 2, 3, 4학년에 재학중인 학부학생 109명이었다. 예비 유아교사들의 자아개념, 학습스타일, 자아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자아개념은 송인섭(1989)의 자아개념 도구를 수정·축소하여 사용하였다. 학습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하여 Kolb의 학습스타일 검사지(learning style inventory; LSI)를 박성희(1998)가 번역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 자아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는 김아영(1997)의 일반적 자아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dow 용)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 Pearson의 단순 상관 분석, 일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은 자아효능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자아개념 전체와 자아 효능감 전체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특히 자아개념 전체와 정서, 정체, 가족 자아개념은 자아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기 조절 효능감과 매우 높은 상관이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학습스타일은 융합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분산자, 그리고 적응자와 수렴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적으로 융합자와 분산자가 많고 적응자와 수렴자는 적었다. 다음은 학습스타일에 따른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학습스타일에 따라 효능감은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there is any relation, and, if any , to pursue what kind of relation is, beween pre-service teachers` self concept, learning style and their self efficiency.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Does pre-service teachers` self concept have any relation to their self efficiency? 2. Does the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style have any relation to their self efficiency? 2-1. What is the tendency of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style?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 efficiency among the groups form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style? One hundred and nine woman collegians except freshmen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They are now register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teachers college of a private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self concept, Song`s Self Concept Inventory(1989) was reduced and adopted to this study. To survey the learning style, Kolb s Learning Style Inventory(LSI, 1985) which had been stranslated into Korean by Sung hee Park(1998) was used. To look into self efficiency, Kim`s Measurement of Self-efficiency(1997) was used for a study tool.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ata, SPSS(for Window)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in dealing wit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service teachers` self concept is closely related to their self efficiency. Family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self-esteem self-concept, and finally physical self-concept are related to their self efficiency. All the scales of the self concept are very closely related to all of the self efficiency. Especially emotion, entity and family self concept of all the scales are highly related to the self control efficiency above all the other sub-scales. Secondly, the tendency of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style shows the largest number of assimilators, less divergers, and still less accomodators and convergers. In a wider perspective, the number of assimilators and divergers is larger than that of accomodators and convergers. There appear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 efficiency among the groups based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sty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교사의 자아개념 = 6 1. 자아개념의 정의 및 특성 = 6 2. 교사 자아개념 = 8 B. 학습 스타일 = 9 1. 학습 스타일의 개념 = 9 2. 학습스타일의 유형과 특징 = 11 3. 학문 분야와 학습 스타일 = 14 C. 효능감 = 15 1. 자아 효능감 = 15 2. 교사 효능감 = 17 D. 관련 연구 = 18 III.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연구도구 = 23 C. 연구절차 = 26 IV. 연구결과 및 해석 = 30 A. 자아개념과 학업 성취 및 자아 효능감과의 관계 = 30 B.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업 성취 및 자아 효능감 = 32 V. 논의 및 결론 = 34 A. 논의 = 34 B.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2 부록 = 5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1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 학습스타일과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