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효정-
dc.creator안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6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informational books by investigating the subject, insertion of writer s brief history or the statement of supervision, style of information delivery, and the rate of domestic production of the informational books publish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list of informational books categorized based on life subjects from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o provide materials which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e detailed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1. What is the trend of the domain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published in Korea? 2. How is the insertion of writer s brief history or statement of supervision for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 How is the style of information delivery on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published in Korea? 4. What is the ratio of local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nd translated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published in Kore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784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from 1992 to 31st of March, 2001 published and circulated as independent volumes in Korea. The selection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was based on a pre-made list, and they came from one large bookstore, one children s bookstore, and one children s library. The list was created from the following sources: informational books for early childhood -- from one large bookstore, one children s library, and two specialty bookstores -- and picture book lists plus recommended informational picture book lists from 42 publishing companies. Additionally, questionaires were sent to 10 randomly chosen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ir recommended books were included, and also included were books from Child Care Society of Korea that cannot be purchased in bookstores but which are very much used in kindergartens. The informational books were chosen based on the library, category division in bookstores, and recommended reading age. The books on the pre-made list were inspected one by one to determine whether it was an informational book or not, and after this, the final subject of study was deter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domains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e researcher supplemented and used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 To evaluate the insertion of writer s brief history or statement of supervision for the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e contents from Huck, Helper and Hickman(1987) was partly modified with the help of an expert and used as a tool of study. Also, in order to evaluate the delivery of information in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used by Kim, Hyun-Hee(2000) -- on analysis of responses from a young child with respect to the pattern of information delivery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 -- was modified with the help of an expert and used as a tool of study. The method of data analysis were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domain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 insertion of writer s brief history or statement of supervision, pattern of information delivery, and whether the book was local or translated.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subjects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pu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life subjects from 6th Kindergarden Curriculum, over 80% of the subjects could be categorized into life topics. This not only shows that the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re diverse in subject, but also that informational picture books can be applied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life subjects in the field of Kindergarten education. Looking at each life subjects, animals was ranked as the highest, followed by earth and environment , and countries other that our own ,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subjects like healthy body and mind and special days was ranked relatively low. Also, there were some which was difficult to fit into any of the categories, and they could be categorized into several types. They were: concept books that deals with numbers, letters, shape, and color, books on arts that deals paintings and music in depth, books on scientific experiments and cooking that deals with changes in matters, and finally books like encyclopedia or dictionaries that contains diverse information in one book. Second, by examining weather or not there were writer s brief history or statement of supervision in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published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writer s history or statement of supervision on about half of them. This implies that the readers are not at the least provided with the chance of verifying by themselves the correctness of the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ird, the analysis of information delivery on informational picture books published in Korea showed that the mostly used method was to directly describe the factual information in text. This proves that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re based on nonfiction books. And for the pictures presented alongside the text, photography, real picture, and pictures using artistic representation showed almost the same percentage. Besides these, there were relatively many cases which deliver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fictitious stories in contrast to the form of describing factual information. Considering that the trend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 is towards delivering information through fictional stories, we should keep an eye on this trend. Finally, there were some informational books which had no text, but they were very few in numbers. Fourth, looking at the ratio of local informational picture book and translated informational picture book for early childhood published in Korea, it seems externally that the two are almost equal, and on the contrary, the proportion of local informational picture book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ranslated informational picture book.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informational picture books published by Child Care Society of Korea takes up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local informational book, a normal publishing company publishes more translated informational picture books than that of the local.;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정보그림책의 주제, 작가 약력 또는 감수 사항의 기재 여부, 정보그림책의 정보전달 양식, 국내 창작 비율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정보그림책의 현황을 분석한다. 정보그림책의 주제를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목록을 만들고, 정보그림책의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주제별 출판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작가 약력 또는 감수 사항의 기재 여부는 어떠한가? 3.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정보전달 양식은 어떠한가? 4.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국내창작물과 외국번역물과의 비율은 어떠 한가? 본 연구의 최종 연구대상은 1992년부터 2001년 3월 31일까지 국내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되어 유통되고 있는 유아대상 정보그림책 784권이다. 연구대상 정보그림책의 선정은 미리 작성된 기초 목록을 토대로 대형 서점 1곳, 어린이 서점 1곳, 어린이 도서관 1곳에서 이루어졌다. 기초 목록은 대형 서점 1곳, 어린이 도서관 1곳, 어린이 전문서점 2곳에서 소유하고 있는 유아 대상 정보그림책과 출판사 42곳의 유아용 그림책 목록과 정보그림책 추천을 참고로 작성되었다. 이에 덧붙여 임의로 선정한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 10곳에 질문지를 배부하여 유치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그림책을 추천받았으며, 서점에서 구입할 수 없으나 유치원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한국어린이육영회에서 출판한 정보그림책을 첨가한 것이다. 이때 도서관, 매장 내의 분류와 추천 대상 연령의 기준을 참고로 하여 정보그림책을 선정하였다. 미리 작성된 목록에 해당하는 도서에 대하여 직접 조사를 실시하고 정보그림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최종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정보그림책의 주제를 분류하기 위하여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주제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정보그림책에 작가 약력 또는 감수 사항의 기재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Huck, Helper와 Hickman(1987)이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연구자가 직접 연구도구를 작성하였다. 또한 정보그림책의 정보전달 양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김현희(2000)가 정보그림책의 정보전달 양식에 따른 유아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분류 기준을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수정한 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정보그림책의 주제, 작가 약력 또는 감수 사항의 기재 여부, 정보전달 양식, 국내창작물의 비율을 분석하기 위한 빈도와 백분율 산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 출판되어 있는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주제를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생활 주제로 분류해 본 결과 80% 이상이 생활 주제로 분류 가능하였다. 이는 정보그림책의 주제가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생활 주제에 따른 교육 자료로서 정보그림책이 적절히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생활 주제별로 살펴보면 동물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지구와 환경,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반면 건강한 몸과 마음, 특별한 날들을 주제로 한 정보그림책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또한 특정한 생활 주제로 분류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으며 이는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수, 글자, 모양, 색 등에 관한 개념을 다루는 개념책과 미술, 음악과 같은 예술에 관련된 주제에 관해 깊이 있게 다룬 책, 물질의 변화를 살펴보는 과학 실험과 요리에 관한 책, 여러 가지 정보가 한 권에 담겨있는 백과사전 또는 사전류이다. 기타의 경우에 해당되는 정보그림책은 하나의 특정한 생활 주제로 분류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내용 면으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주제에 상관없이 활용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둘째, 국내에서 출판된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작가 약력 또는 감수 사항의 기재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절반 정도의 정보그림책에 작가의 약력이나 감수 사항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자가 정보그림책의 정보에 대한 정확성을 스스로 검증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회마저 갖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국내에서 출판된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정보전달 양식을 분석한 결과 정보를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양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정보그림책이 넌픽션책에 기초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글과 함께 제시되는 그림에 있어서 사진, 사실적인 그림 또는 예술적인 표현방법을 이용한 그림의 활용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한편 사실을 서술하는 양식에 대비되는 허구화된 이야기 양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도 비교적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허구화된 이야기 양식의 활용이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추세임을 감안할 때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므로, 양상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끝으로 글 없는 정보그림책도 찾아볼 수 있었으나 그 수는 지극히 적었다. 넷째, 국내에서 출판된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국내창작 비율을 살펴보면 표면상으로는 국내창작과 외국번역의 비율이 거의 같고 도리어 국내창작의 비율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대상 중에 한국어린이육영회에서 출판된 정보그림책이 국내창작 정보그림책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일반 출판사에서 외국번역 정보그림책을 더 많이 출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정보그림책 의의 및 유형 = 6 1. 정보그림책의 개념 = 6 2. 정보그림책의 성격 = 8 3. 정보그림책의 유형 = 10 B. 정보그림책의 필요성 및 가치 = 12 1. 유아에 대한 정보그림책의 적합성 = 12 2. 유아교육에서 정보그림책의 활용가치 = 14 3. 유아문학에서 정보그림책의 위상 = 17 C. 좋은 정보그림책의 요건 = 18 1. 정보그림책 주제의 유용성 = 19 2. 정보그림책 정보의 정확성과 적기성 = 21 3. 정보그림책 정보전달 양식의 적절성 = 22 D. 정보그림책의 발달 추이 = 26 1. 외국의 추세 = 26 2. 국내의 상황 = 27 III. 연구방법 = 30 A. 연구대상 = 30 B. 연구도구 = 32 C. 연구절차 = 39 IV. 연구결과 및 해석 = 43 A.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주제 = 43 B.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작가 약력 또는 감수 사항 기재 여부 = 45 C.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정보전달 양식 = 46 D. 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국내창작 현황 = 48 V. 논의 및 결론 = 49 A. 논의 = 49 B.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1 부록 = 69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9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를 위한 정보그림책의 현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