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채정희-
dc.creator채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72-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자연의 섭리에 의해 태어나서 일생을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하고 동경함으로서 예술이란 형식을 통해 표현한다. 예술가의 직관적인 체험은 자신의 내면 의식과 만나는 것이며, 그것은 곧 자연의 본질로 환원하는 것이다. 자연에 대한 미의 인지는 개개인의 심상에 내적, 주관적 해석에 의해 다양한 표현양식을 만들고, 조형 활동을 통해 표현해낸다. 본 연구는 자연의 광범위한 미적 대상 중에서 나무 를 소재로 하였다. 나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간의 조형적인 특징을 발견하고, 불규칙한 변화를 강조하며 적절한 배치와 생략, 과장, 대비, 절단, 결합의 과정을 거친 후, 생물학적인 특성을 더하여 생명력이 있는 도자 조형물로 형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무의 조형성을 원활히 표현하기 위해서 문헌을 통한 자연과 예술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나무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나무의 개념과 자연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얻어진 생태적 특징, 형태적 구조를 알아 보았다. 그리고 나무의 조형적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예술적인 표현 대상으로 파악한 후, 주관적 조형화라는 측면에서도 고찰해 보았다. 이와 함께 나무를 소재로 한 선행 작품들을 제시하면서 형태와 표현방법 속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작품 조형 과정에서는 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잎, 등의 구성요소들간의 조형적 특징을 파악한 후, 생동감 있는 동세로 형태화 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유기적인 선의 미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코일링(coiling)기법을 이용했고 형태에 따라 물레성형 기법, 모델링 기법을 병행했다. 또한 같은 단위체의 반복을 통한 군집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 점토를 석고틀에 찍어내는 가압 성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고, 유약은 형태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의 무광택유를 주로 사용해 붓으로 바르기, 스펀지로 찍어주기, 분무하기 등의 방법으로 시유 하였다.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880℃를 마침 온도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을 한 후, 2차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1250℃를 마침온도로 8시간 산화염, 환원염 소성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나무의 조형성을 응용한 도자 조형물을 제작해봄으로서 나무가 자연을 표현하는 대상의 하나로 무한한 창조의 가능성을 가진 소재라는 것을 알았다. 나무는 그 조형적 아름다움과 생명력으로 인해 내면세계를 통한 무궁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소재를 조형화 하는 과정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형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주관에 의해 새롭게 창조되는 것임을 알았다. 이에 어떠한 대상에 대해 보다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자신만의 표현방법 구사할 수 있도록 사고의 폭을 넓히고 기법을 다양화시키는 지속적인 연구를통하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조형 세계를 추구하고자 한다.; Human are born under the laws of nature and live their life in accord with the nature s order. In the viewpoint that all human are merely a part of natur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xpress the nature itself in the form of art by directly experiencing and aspiring after the aesthetics the nature provides. An artist s intuitive experience is to encounter the inner self, and thus restoring oneself to the essence of nature. An aesthetic perception of nature provides in one s image a subjective interpretation, which creates diverse styles of expression, and are manifested through formative art. In this study, tree has been selected among vast diverse subjects in nature. The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which constitutes trees, emphasize its irregularities, and via process of appropriate omission, exaggeration, contrast, cutting and cohesion, then adding biological qualities, and finally to form into life-filled ceramic moldings. Research has been done on literatures of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and art to fully express the formativeness of trees. And general examinations have been made on conception of tre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structures, which it has acquired through surviving in nature. After grasping the tree s formative aesthetics and life as an artistic subject, the study considers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formation. Also by presenting preceding works, the study observes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ir forms and styles. In the process of formative process, after examining formative features between the elements such as root, stem, branch, and leaf, the study expresses the forms in a dynamic manner. Coil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express the aesthetics of organic lines, and jiggering and modeling techniques have been also appli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o express the group form which repeats same units, press molding technique using gypsum mold have also been used.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for all works. For glazing, different colors of matt-glaze have been applied to effectively express the cubic effect, through painting, sponging, and spraying techniques. The work was first fired to 880℃ for 8 hours in a 0.5㎥ down draft kiln. And was refired in a 0.5㎥ down draft gasoline kiln completing in 1250℃ with oxidized firing. In the process of creating ceramic works applied to forms of trees, I have become to comprehend tree as one of the subjects to express nature, a material with unlimited possibility of creation. I have come to understand tree, with its formative beauty and life energy, makes possible boundless aesthetic expressions and formation of this natural material is not just a simpl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intact but a recreation by means of artist s subjectivity. I intend to pursue creative and original artistic expressions by attentively observing aesthetic subjects and continuously researching to extend my view of artistic concep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1 II. 자연과 예술 A. 자연과 예술 = 3 B. 생명력과 조형예술 = 5 III. 나무의 조형적 연구 A. 나무의 일반적 고찰 = 7 B. 나무의 특징 및 조형성 = 9 C. 나무를 소재로 한 도자조형 연구 = 12 IV. 작품제작 및 해설 A. 조형 과정 = 20 B. 작품제작 과정 = 33 C. 작품 해설 = 39 V. 결론 = 59 참고문헌 = 61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921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나무의 조형성을 응용한 도자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