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학교평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Title
학교평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Authors
이은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의 사회는 정보화·세계화와 다양성·창의성 등이 강조되는 사회라 특징지을 수 있다. 한국은 교육개혁을 통해 정보화·세계화 시대에 맞는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고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학교평가는 학교교육의 책무성 제고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학교교육에 대한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꾀하여 교육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학교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학교평가의 평가항목의 바람직한 정도 및 학교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교사들이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고찰과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고찰은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과 선행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교사 및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대상자로 서울, 경기, 인천 관내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7개교 총 14개 학교의 교사 319명을 표집하여 조사하였다. 통계 처리는 배경변인, 즉 성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직급별, 학교평가 참여경험 여부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평가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관심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다수의 교사들이 학교평가 결과가 교육의 질 개선과 학교의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학교평가 결과는 상부 기관의 보고 자료나 학교간 단순 비교 차원에 활용되고 있다고 상당수의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었다. 현행 학교평가의 결과를 활용함에 있어 실질적인 학교교육활동 및 경영활동의 개선자료로 활용되지 못하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는 학교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현행 학교평가 항목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학교평가가 학교 전반에 관한 종합적인 평가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대다수의 교사들은 지역·국가 수준에서보다 단위학교 수준에서 학교 자체 개선 자료로 활용될 때 교육적 활용이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평가 결과의 활용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단위학교의 자율성 보장에 거의 모든 교사가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으며, 결과의 공개 범위는 해당 학교 교직원에게만 공개하고, 공개 방법은 우수사례만 발굴하여 인쇄매체와 정보망을 통해 공개하는 방법을 교사들은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평가 결과가 교육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첫째, 학교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학교평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교평가는 학교를 관리·감독하는 것이 아닌 학교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실질적인 학교교육활동 및 경영활동의 개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단위학교의 자율성 보장, 평가의 신뢰성 등 학교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전제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며 학교평가 결과는 적절한 범위와 방법을 통해 공개되어야 한다.; Today s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by information intensiveness, globalization, diversity and creativity. Mean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foster through educational reforms the talented people conducive to the age of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the educational reforms emphasize the functions and roles of education, trying to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is regard, assessment of schools should be designed to review the conditions of school education in response to educational consumers needs and thereby,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mpetitiveness of school education.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how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 about the assessment of schools and the assessment points thereof as well as the educational use of the assessment results. To this end,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reup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be more specific, relevant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were examined, and thereup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ssistance from teachers and expert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7 middle schools and 7 high schools in Seoul, Kyonggi-do and Incheon were selected randomly to sample 319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for WINDOWS program for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chi square test; this test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assessment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es, career length, school grade, ranks and participation in school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s were less interested in school assessmen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school assessment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responsibility of schools. However,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urrent school assessment is used for purpose of report only or for a simple comparison between schools. Most of them perceived that the results of the school assessment are not used as materials or data to improve the schools educational activities or management, primarily because teachers are negative towards the school assessment. Second, most of the teachers surveyed perceived that the assessment points are appropriately chosen, which suggests that they think that the school assessment covers various activities of schools comparehensively. Third,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esults of school assessment would be more effectively used at unit school level rather than at the level of region or nation. Fourth, almost all of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about the autonomy of unit school, a precondition for feedback of the school assessment. However, many teachers hoped that the results would be open to the teachers and staff of the appropriate school and at the same time that model examples would be publicized through printed materials and on-lin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to more effectively use the results of school assessment have been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need of school assessment to make teachers aware of its positive effects. Second, the results of school assessment should be used not to manage or supervise each school but to diagnose the problems facing each school and thereby, improve schools educational and management activities. Third, some pre-conditions should be arranged to ensure autonomy of unit school and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and feed back the results of school assessment for educational purpo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chool assessment need to be publicized to a proper extent and through proper me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